$\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학과 핵심역량 요소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과학 글쓰기 수업의 효과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Classes based on Science Core Competencies in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6 no.4, 2017년, pp.346 - 355  

김은혜 (금란초등학교) ,  박재근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encourages students to cultivate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such as scientific thinking, science process skills,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To fill this p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사실에 바탕을 두어,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핵심역량 요소를 반영한 과학 글쓰기 활동을 개발하고, 핵심역량 요소의 개발을 위한 도구적 수단으로서 과학 글쓰기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으로는 첫째, 과학과 핵심역량요소를 기반으로 과학 글쓰기 전략의 개발, 둘째, 이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 이러한 사실에 바탕을 두어,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핵심역량 요소를 반영한 과학 글쓰기 활동을 개발하고, 핵심역량 요소의 개발을 위한 도구적 수단으로서 과학 글쓰기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으로는 첫째, 과학과 핵심역량요소를 기반으로 과학 글쓰기 전략의 개발, 둘째, 이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그러나 과학적 사고력에서부터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에 이르는 5가지 핵심역량 요소의 개념 자체가 상당 부분 중첩되어 있고, 과학 글쓰기 주제 및 방향이 특정 핵심역량 요소 한 가지에만 국한되기 어렵다는 점, 또한 모든 핵심역량요소의 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 도구 및틀의 부재 등이 이 연구의 한계로 인식된다.
  • 관련 핵심역량 요소는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능력 등이다. 이 문항은 사막의 날씨가 모래의 밤낮 온도 변화에 따른 일교차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과학적 사실을 반영하여 효과적인 대비책과 준비물을 서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이 탐험에 필요한 대비책과 준비물을 서술하는 과정에 사막 기후의 특성을 고려하고, 대비책에 타당한 논리가 제시되어야 하므로 과학적 사고력이 요구되며, 계획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모둠별 논의와 활발한 의사소통 과정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요구된다.
  • 본 연구는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본격적인 실행에 앞서 과학과 핵심역량 요소를 배양할 수 있는 중요한 수업 활동의 하나로 과학 글쓰기를 도입하여 이의 적용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발된 과학 글쓰기 활동은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5학년 2학기에 제시된 4개 단원의 내용을 기반으로 총 12차시 분량으로 구성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량에 대한 국어사전적 의미는? 역량에 대한 국어사전적 의미는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 힘’을 의미한다(Naver Online Dictionary, 2017). 즉, 역량이란 일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내재적 능력을 말하며, 핵심역량(core competency)이란 다양한 상황에서 효과적인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최소한의 지식, 기술, 태도의 집합체를 가리킨다(Dubois, 1993; Kim & Kim, 2017; Park et al.
기존 글쓰기와 차별화된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 글쓰기 활동의 긍정적인 영향은? 둘째,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 글쓰기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며, 하위 영역 중에서 주인의식, 메타인지, 정보탐색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 글쓰기와 차별화 된 활동은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글쓰기 패턴으로 인해 메타인지의 향상에도 도움을 주었으며,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적 사고력의 중요한 범주로 여겨지는 논리적,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지과정을 활용하는 글쓰기 전략의 개발이 절실하며, 이러한 산물이 교과서에도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필요가 있겠다.
과학과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고 필수적인것은? 이러한 세계적 흐름을 반영하여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에서도 다양한 탐구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기본 개념의 통합적인 이해 및 탐구 경험을 통하여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등의 핵심역량 요소를 함양하도록 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과학과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과정에서는 교과 속에 핵심역량이 자연스럽게 통합되어 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며(Kwak, 2013), 과학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함께 과학적 지식을 활용한 창의적 활동이 가능하려면 과학지식과 핵심역량이 긴밀하게 연계되는 것이 필수적이다(Griffin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hn, J. & Park, J. (2017).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6(1), 49-60. 

  2. Anderson, T., Howe, C., Soden, R., Halliday, J. & Low, J. (2001). Peer interaction and the learning of critical thinking skills in further education students. Instructional Science, 29, 1-32. 

  3. Boyd, S. & Watson, V. (2006). Shifting the frame: Exploring integration of the key competencies at six normal schools. New Zealand: New Zealand Council for Education Research. 

  4. Chae, H. & Noh, S. (2015). Analysis of the conceptual definition in cross-curricular and science core competenc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7), 23-40. 

  5. Cheon, J. (2006) Science writing activities for developing scientific thinking.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6. Cheon, J. & Son, J. (2004). A type analysis of creative thinking abilities in science writing -With focus o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7(2), 285-304. 

  7. Choi, Y. & Lim, H. (2013).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expressive writing in the wrap-up stage in science classe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7(3), 891-908. 

  8. Dubois, D. D. (1993).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Amherst, MA: HRD. 

  9. Griffin, P., McGaw, B. & Care, E. (2012).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New York: Springer. 

  10. Guglielmino, L.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Georgia. 

  11. Gunel, M., Hand, B. & McDermott, M. A. (2009). Writing for different audiences: Effects on high-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biology. Learning and Instruction, 19(4), 354-367. 

  12. Jang, H. & Shin, Y. (2009). Effect of the activity after reading books on science toward creativity.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2), 187-196. 

  13. Kim, D. & Kim, S. (2017). Understanding and issues on core competency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higher education. The Journal of Core Competency Education Research, 2(1), 23-45. 

  14. Kim, H., Byeon, J. & Kwon, Y. (2012). The effect of class based on creative science writing for the interest in biology and the scientific attitud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2), 198-215, 

  15. Kim, H., Jeong, W. & Jeong, J. (1998). National assessment system develop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8(3), 357-369. 

  16. Kim, J., Ko, Y. & Lee, H. (2017). Enhancing student key competencies through socio scientific issues instruc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8), 339-362. 

  17. Kim, J. & Park, Y. (2003). Valid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diagnostic scale for elementary higher grader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16(1), 183-199. 

  18. Klein, P. D. (1999). Reopening inquiry into cognitive processes in writing-to-lear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1(3), 203-270. 

  19. Kwak, Y. (2012a).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2), 162-169. 

  20. Kwak, Y. (2012b).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methods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5), 855-865. 

  21. Kwak, Y. (2013). Ways of restructuring key competencies for a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4), 378-387. 

  22. Kwon, J. & Kim, B. (1994).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4(3), 251-264. 

  23. Lee, E.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28(15), 1-22. 

  24. Lee, E. & Kim, Y. (2014).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on the metacognition and scientific creativ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7(1), 54-63. 

  25. Lee, S., Kim, E. & Jang, H. (2011).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heuristic(SWH) instru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589-600. 

  26. Lemke, J.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orwood, NJ: Ablex. 

  27. Luke, A. & McArdle, F. (2009). A model for researchbased state professional development policy.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7(3), 1-21. 

  28. Ministry of Education (2015). Science curriculum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1-361.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0. Naver Online Dictionary (2017). Competency. Retrieved September 1, 2017 from http://dic.naver.com 

  31. Norris, S. P. & Phillips, L. M. (2003). How literacy in its fundamental sense is central to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ion, 87(2), 224-240. 

  32.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aris. 

  33. OECD (2006). Schooling for tomorrow: Think scenarios, rethink education. OECD: Paris. 

  34. Park, G. & Park, Y. (2017). The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of analysis tool for the components of science core competency: Analysis on science core competency presented in STEAM program. Oral Session presented at the 2017 KASE Conference, Tongyeong, Korea. 

  35. Park, J., Yoon, J. & Kang, S. (2014). The development on core competency model of scientist and its verification for competency-based science gifted educ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4(4), 509-541. 

  36. Park, S. & Jeong, Y. (2012).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heuristic(SWH) on scientific Inquiry skills, logical thinking, and meta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Biology Education, 40(3), 367-383. 

  37. Prain, V. (2006). Learning from writing in secondary scienc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 179-201. 

  38. Prain, V. & Hand, B. (1996). Writing for learning in secondary science : Rethinking practic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2(6), 609-626. 

  39. So, K., Lee, S., Lee, J. & Heo, H. (2010). Review on curriculum reform in the New Zealand: Implementation of key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20(2), 27-50. 

  40. Song, Y., Yang, I., Kim, J. & Choi, H. (2011). A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writ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5), 788-800. 

  41. Wellington, J. &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