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위성자료를 활용한 한반도 전역의 가뭄 통합 모니터링 방안
Towards an Integrated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satellite Data Products Over Korean Peninsular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3 no.6 pt.1, 2017년, pp.993 - 1001  

김영욱 (몬타나 대학교) ,  심창섭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뭄은 전 지구차원의 다방면에 걸쳐 피해를 주는 자연 재해이다. 21세기 들어 최근까지 다양한 위성관측 기기를 활용하여 다양한 가뭄의 유형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었는데, SMAP위성토양수분, GRACE 위성의 생태계 물 저장량, Terra & Aqua의 생태계 생산량과 증발산량 그리고 위성 강우 관측 등이 그 예이다. 이들 위성 자료의 분석을 통해 지역적 수자원 현황 및 가뭄과 이로 인한 (수)생태계 영향, 농업 등의 산업, 그리고 인간사회의 영향을 시공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가시광선부터 마이크로파까지 채널 (밴드)마다 관측할 수 있는 기상 및 환경 변수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센서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원격탐사자료는 한반도 전역을 대상으로 가뭄에 대한 수자원 변화와 연관된 피해를 시공간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상호 보완적이며 효과적인 수단이다. 따라서 이러한 위성자료들을 통해 국가 재난 대응 차원의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ought is a worldwide natural disaster with extensively adverse impacts on natural ecosystems, agricultural products, social communities and regional economy. Various global satellite observations, including SMAP soil moisture, GRACE terrestrial water storage, Terra and Aqua vegetation productivity...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위성자료의 공간정보 표출 기법에 의해 현재의 가뭄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도구도 개발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종의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한반도 전역의 가뭄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가뭄 등의 재난 대응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효과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 위성 자료의 분석을 통해 지역적 수자원 현황 및 가뭄과 이로 인한 (수)생태계 영향, 농업 등의 산업, 그리고 인간사회의 영향을 시공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가시광선부터 마이크로파까지 채널 (밴드)마다 관측할 수 있는 기상 및 환경 변수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센서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원격탐사자료는 한반도 전역을 대상으로 가뭄에 대한 수자원 변화와 연관된 피해를 시공간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상호 보완적이며 효과적인 수단이다. 따라서 이러한 위성자료들을 통해 국가 재난 대응 차원의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뭄의 유형에는 무엇이 있는가? 가뭄은 일반적으로 예년 평균 강수량보다 적은 강수량인 경우에 발생하는데 그 유형이 크게 Meteorological(기상학적), agricultural(농업), hydrological(수문학적), ecological(생태적), socioeconomic(사회경제적) 가뭄의 다섯 가지로 구분된다(Wilhite and Glantz, 1985). 현재 많은 위성 관측으로부터 개발된 다양한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여러 형태의 가뭄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Zhang et al.
수문학적 가뭄의 원인 및 피해는 무엇인가? 수문학적 가뭄(Hydrological drought)의 경우 강수량의 감소와 증발산량의 증가가 생기는 경우에 발생하는데, 이런 종류의 가뭄은 강의 유속, 저수지의 수량 그리고 지하수의 저장량도 감소시키게 되고 이것은 농업용수,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의 부족 등의 원인이 된다(Thomas et al.,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oats, S., J. E. Smerdon, K. B. Katrnauskas, and R. Seager, 2016. The improbable but unexceptional occurrence of megadrought clustering in the American West during the Medieval Climate Anomaly,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11(7): 074025. 

  2. Dee, D. P., S. M. Uppala, A. J. Simmons, P. Berrisford, P. Poli, S. Kobayashi, U. Andrae, M. A. Balmasewda, G. Balsamo, P. Bauer, P. Bechtold, A. C. M. Beljaars, L. van de Berg, J. Bidlot, N. Bormann, C. Delsol, R. Dragani, M. Fuentes, A. J. Geer, L. Haimberger, S. B. Healy, H. Hersbach, E. V. Holm, L. Isaksen, P. Kallberg, M. Kohler, M. Matricardi, A. P. McNally, B. M. Monge-Sanz, J. J. Morcrette, B. K. Park, C. Peubey, P. de Rosnay, C. Tavolato, J. N. Thepaut, and F. Vitart, 2011. The ERAInterim reanalysis: configuration and performance of the data assimilation system,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137(656): 553-597. 

  3. Ji, L. and A. J. Peters, 2003. Assessing vegetation response to drought in the northern Great Plains using vegetation and drought indic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7(1): 85-98. 

  4. Jia, W., L. Zhang, Q. Chang, D. Fu, Y. Cen, and Q. Tong, 2016. Evaluation an enhanced vegetation condition index (VCI) based on VIUPD for drought monitoring in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Remote Sensing, 8(3): 224. 

  5. van Hoek, M., L. Jia, J. Zhou, C. Zheng, and M. Menenti, 2016. Early drought detection by spectral analysis of satellite time series of precipitation an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Remote Sensing, 8(5): 422. 

  6. Kim, H., J. Park, J. Yoo, and T. Kim, 2015. Assessment of drought hazard, vulnerability, and risk: A case study for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outh Korea, Journal of Hydro-environmental Research, 9(1): 28-35. 

  7. Kim, B., J. H. Sung, B. H. Lee, and D. J. Kim, 2013. Evaluation on the impact of extreme droughts in South Korea using the SPEI and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2): 97-1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Y, 2013. Drought and elevation effects on MODIS vegetation indices in northern Arizona eco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4(14): 4889-4899. 

  9. Kim, D. H., C. Yoo, and T. Kim, 2011. Application of spatial EOF and multivariate time series model of for evaluating agricultural drought vulnerability in Korea, Advances in Water Resources, 34(3): 340-350. 

  10. Kim, D., H. Byun, and K. Choi, 2009. Evaluation,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Effective drought index to 200-year drought climatology of Seoul, Korea, Journal of Hydrology, 378(1-2): 1-12. 

  11. Kim, S., B. Kim, T. J. Ahn, and H. S. Kim. 2009. Spatio-temporal characterization of Korean drought using severity-area-duration curve analysis, Water and Environment Journal, 25(1): 22-30. 

  12. Keyamtash, J. and J. A. Dracup, 2002. The quantification of drought: An evaluation of drought indic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3(8): 1167-1180. 

  1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6. 2016 abnormal climate report. 

  14. Kwak, J., D. Kim, S. Kim, and V. P. Singh, 2013. Hydrological drought analysis in Manhan river basin, Korea,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19(8): 1-10. 

  15. Lee, J., J. Seo, and C. Kim, 2012. Analysis on trends, periodicities and frequencies of Korean Drought using drought indice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1): 75-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Marj, A. F. and A. M. J. Meijerink, 2011. Agricultural drought forecasting using satellite images, climate indice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2(24): 9709-9719. 

  17. Mu, Q., M. Zhao, and S. W. Running, 2011. Improvements to a MODIS global terrestrial evapotranspiration algorithm,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5(8): 1781-1800. 

  18. Pachepsky, Y., D. E. Radcliffe, and H. M. Selim, 2003. Scaling methods in soil physic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19. Schlaepfer, D. R., J. B. Bradford, W. K. Lauenroth, S. M. Munson, B. Tietjen, S. A. Hall, S. D. Wilson, M. C. Duniway, G. Jia, D. A. Pyke, A. Lkhagva, and K. Jamiyansharav, 2017. Climate change reduces extent of temperature drylands and intensified drought in deep soils, Nature Communications, 8: 14196. 

  20. Schlesinger, W. H., M. C. Dietze, R. B. Jackson, R. P. Phillips, C. C. Rhoades, L. E. Rustad, and J. M. Vose, 2016. Forest biogeochemistry in response to drought, Global Change Biology, 22(7): 2318-2328. 

  21. Schroeder, R., K. C. McDonald, M. Azarderakhsh, and R. Zimmermann, 2016. ASCAT MetOp-A diurnal backscatter observations of recent vegetation drought patterns over the continuous U.S.: An assessment of spatial extent and relationship with precipitation and crop yield,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77: 153-159. 

  22. Sur, C., J. Hur, K. Kim, W. Choi, and M. Choi, 2015. An evaluation of satellite-based drought indices on a regional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6(22): 5593-5612. 

  23. Thomas, B. F., J. S. Famiglietti, F. W. Landerer, D. N. Wiese, N. P. Molotch, and D. F. Argus, 2017. GRACE Groundwater drought index: Evaluation of California Central Valley groundwater drough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98: 384-392. 

  24. Vicca, S., M. Balzarolo, I. Filella, A. Granier, M. Herbst, A. Knohl, B. Longdoz, M. Mund, Z. Nagy, K. Pinter, S. Rambal, J. Verbesselt, A. Verger, A. Zeileis, C. Zhang, and J. Penuelas, 2016. Remote-sensed detection of effects of extreme droughts on gross primary production, Scientific Reports, 6: 28269. 

  25. Viltard, N., C. Burlaud, and C. D. Kummerow, 2006. Rain retrieval from TMI Brightness temperature measurements using a TRMM PR-based database,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45(3): 455-466. 

  26. Wang, J., A. L. Kessner, C. Aegerter, A. Sharma, L. Judd, B. Wardlow, J. You, M. Shulski, S. Irmak, A. Kilic, and J. Zeng, 2016. A multi-sensor view of the 2012 central plains drought from space, Frontiers in Environmental Science, 4: 45. 

  27. Westerling, A. L, 2015. Increasing western US forest wildfire activity: sensitivity to changes in the timing of spr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B, 371(1696): 20150178. 

  28. Wilhite, D.A. and M.H. Glantz, 1985.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The Role of Definitions, Water International, 10(3): 111-120. 

  29. Wu, D., J. J. Qu, and X. Hao, 2015.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using MODIS-based drought indices over the USA Corn Bel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6(21): 5403-5425. 

  30. Zhang, L., W. Jiao, H. Zhang, C. Huang, and Q. Tong, 2017. Studying drought phenomena in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in 2011 and 2012 using various drought indic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90: 96-106.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