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참여행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Youth Participation Behavior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2, 2017년, pp.605 - 613  

조성희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웅수 (한일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참여행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J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 1,07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경로분석 방법을 통해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접적인 영향력과 참여행동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하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과 참여행동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하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시켜 주었으며, 특히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청소년의 참여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융복합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behavi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olescents. Using the data of 1,077 adolescents residing in J region, this study used the path analysis to see the mediating e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진로준비행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청소년들의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과 매개효과의 간접적인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청소년 1,077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경로분석을 통하여 검증한 연구의 주요 결과와 이를 기반으로 하여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참여행동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연구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접적인 영향력과 참여행동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 역시 연구가 가지는 의의라 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참여행동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갖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청소년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며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진로를 위해 교육, 사회복지, 지역사회정책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융복합적인 접근과 이러한 접근에 있어서 다양한 체계들의 융복합적인 관계에 기반한 개입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참여행동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갖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청소년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며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진로를 위해 교육, 사회복지, 지역사회정책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융복합적인 접근과 이러한 접근에 있어서 다양한 체계들의 융복합적인 관계에 기반한 개입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준비행동이란 무엇인가? 청소년의 참여행동은 진로준비행동과 연관성이 있다. 진로준비행동은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막연한 생각이 아닌 직업정보를 수집하고, 진로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제적인 참여행동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활동이다[6]. 청소년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참여하는 다양한 청소년활동경험을 토대로 자신의 진로를 설계하고 구체화하는 진로준비행동을 하게 된다.
2009년부터 실시된 창의적 체험활동과 2013년도 도입된 자유학기제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입되었는가?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진로준비는 학교 내에서 실시되는 진로검사와 상담 위주의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진로체험과 같은 활동위주의 방식보다는 입시위주의 교육 풍토로 인해 청소년들은 직업에 대한 충분한 준비와 탐색 없이 대학입시를 목적으로 하는 학습으로 인해 스트레스에 시달리면서 성적에 맞게 자신의 전공을 찾아가곤 한다. 많은 청소년들이 자신의 진로를 성적에 맞추어 결정하기 때문에 자신의 재능과 적성을 고려하여 진로를 결정하는 과정 없이 대학에 진학한 뒤 학업에서의 중도 탈락, 미래에 대한 높은 불안감, 졸업에 대한 부담감 및 막연한 취업준비로 인한 어려움 등을 경험하게 된다[1].
우리나라의 진로교육은 어떤 목표에 맞추어 있는가? 우리나라의 진로교육은 대부분 높은 교육열을 토대로 대학 진학이라는 목표에 맞추어 있다. 직업은 삶의 있어서 근간을 이루는 척추와 같이 중요하며, 청소년기의 중요한 발달과제 중 하나인 재능과 적성에 맞게 진로선택을 하고 체계적인 준비를 통해 직업을 결정하는 것은 이와 관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 S. Kim, J. H. Lee, M. O. Yang, "A Qualitative Study on living as a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1, pp. 565-574, 2014. 

  2. E. M. Sung, H. J. Jung, "Community's Participating Strategies for Facilitating Experience-based Youth Career Educatio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6, No. 4, pp. 49-63, 2013. 

  3. G. H. Jung, "Community-based Career Guidance Education for Youth." The Journal of Civic Youth Studies, Vol. 5. No. 1. pp. 1-35. 2014. 

  4. G. H. Jung, W. S. Kim, K. H. Kim, "The study on the effect citizenship recognition of Youth Activity in Jeonbuk's." Youth,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Vol. 10, No. 4, pp. 179-198, 2013. 

  5. Y. N. Kim, G. H. Jung, Y. J. Choi, "The effect of Youth Self-Governing Activity on empowerment." Korean Journal of Youth Welfare, Vol. 12, No. 3, pp. 1-23, 2010. 

  6. I. H. Jung, B. C. Lim, "Students of factors affecting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entering on students studying Dental Technology Daegu Gyeongbuk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nvergence, Vol. 3, No. 3, pp. 13-19, 2012. 

  7. B. O. Choi,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n Career-related and Emotion-related Factors." Teacher Education research, Vol. 53, No. 4, pp. 693-705, 2014. 

  8. B. K. Song, J. B. Park,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activity experience and readiness of career choice."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19, No. 2, pp. 33-50, 2006. 

  9. W. S. Kim, W. S. Lee, S. H. Cho, "Mediating Effects of Prosocial Behavior in the Relation Between Youth Participation and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 Environment, Vol. 15, No. 2, pp. 221-228, 2017. 

  10. Y. N. Kim, "A Study on the Analysis of affecting policy activities factor to Youth leaders life competencie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Vol. 10, No. 2, pp. 19-30, 2012. 

  11. K. M. Lee, C. H. Bum,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in golf majo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3, pp. 265-273, 2017. 

  12. J. J. Lee, C. G. Chu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School Life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 23, No. 1, pp. 241-255, 2016. 

  13. E. S. Cho, "The Effects of The Youth Internship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4, No. 4, pp. 191-208, 2011. 

  14. Betz, N. E., Klein, K., & Taylor, K.,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 4, pp. 47-57, 1996. 

  15. K. Y. Park, "The Effect of Work-based Experiential Learning on Career Plann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Adolescence."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Vol. 5, No. 3, pp. 115-130,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