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Child's Peer Competenc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6, 2017년, pp.1 - 20  

차혜정 (수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송승민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empathy ability,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Methods: 180 teachers and 360 children from 3 to 5 years old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research variables were measured by teachers' self-report throu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각 변인들의 교사변인과 유아변인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고, 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매개적 역할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긍정적인 사회관계 형성과 또래발달을 위해 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유아관계의 중요함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며, 교사 공감능력 및 교사-유아관계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다음으로 교사 공감능력과 유아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 갈등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첫 번째 단계에서 교사 공감능력은 교사-유아관계 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이는 동일한 보육현장이라 할지라도 학급을 운영하는 교사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교사-유아관계의 경우에는 교사 관련변인이 교사-유아관계에 잠재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교사 개인과 관련된 변인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요구된다는 김수희(2015)의 연구를 볼 때 교사-유아관계의 교사 관련 변인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에 대한 연구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 수 있는 교사 관련 변인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교사와 만 3,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교사변인에 따라 교사 공감능력, 교사-유아관계 및 유아변인에 따라 또래 유능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고, 세 변인들 간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 외에도 교사 공감능력과 유아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매개적 역할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교사와 만 3,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교사변인에 따라 교사 공감능력, 교사-유아관계 및 유아변인에 따라 또래 유능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고, 세 변인들 간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 외에도 교사 공감능력과 유아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매개적 역할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유아관계, 유아의 또래 유능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직접적인 관찰연구와 질적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또래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형성하는 시기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유아관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교사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 향상을 위한 교사의 공감능력 향상 프로그램과 교사-유아관계 증진을 위한 교사 교육의 실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이에 본 연구는 각 변인들의 교사변인과 유아변인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고, 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매개적 역할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긍정적인 사회관계 형성과 또래발달을 위해 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유아관계의 중요함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며, 교사 공감능력 및 교사-유아관계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 또래관계는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증가하는 이유는? 유사한 지위의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는 유아의 또래관계는 상호간 새로운 역할 모델을 제시하며 유아의 행동과 사고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또래 집단과 바람직한 상호작용은 인지 및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 기술 획득 및 탈중심화, 올바른 성역할 정립,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에 기여하므로 유아기 또래관계는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증가하게 된다(김창순, 2013). 이와 대조적으로 유아기에 경험하는 또래관계 문제는 성장함에 따라 비 사교성, 비행문제, 심리적 장애, 신경증, 성격 일탈 등의 심각한 성격장애를 야기할 수 있으며(김영희, 2006), 이로 인해 부정적인 자기평가 혹은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Hymel, Bowker, & Woody, 1993).
또래 유능성이란? 또래 유능성이란 또래와 사회관계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기능을 말하는데(Howes, 1987), 이는 함께 놀이하고 우정을 나누고, 의사소통을 매개로 상호 교류하며,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문제발생시 타협하는 사회적 기술을 나타낸다(박주희, 2001). 또래 유능성이 높은 유아는 또래와의 관계에서 보다 사교적이고 친사회적 행동을 하며(송길연, 김수정, 이진연, 양돈규, 2000; 위영희, 2004), 주도적인 상호작용으로 성공적인 또래관계를 유지하는 바람직한 사회성을 보여준다(Coie, Dodge, & Kupersmidt, 1990).
유아의 긍정적인 사회관계 형성과 또래발달을 위해 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유아 관계의 중요함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연구문제 1. 교사의 공감능력, 교사-유아관계, 유아의 또래 유능성은 교사 배경변인(나이, 경력, 결혼유무, 자녀유무, 담당연령)과 유아 배경변인(성별,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는 매개적 역할을 하는가?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강정원 (2002). 교사의 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분석 연구. 열린교육연구, 10(2), 43-60. 

  2.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경미 (2017). 유치원 교사의 수업화법능력과 공감능력 및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간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경숙 (2016).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교사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명신 (2017).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미진 (2013).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연구, 15(1), 137-163. 

  7. 김선희 (2009).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조절양식을 매개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송희 (2014). 의도적 통제와 어머니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수희 (2015).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희 (2006).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은경, 하영례 (2013). 공감적 교사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보육교사의 이해와 행동의 변화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5), 267-289. 

  12. 김창순 (2013). 공감능력향상 집단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단현국 (2004).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함수풀이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교과 교육 공동연구소 편, 교과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방안 모색 (pp. 3-13). 청원, 충북: 한국교원대학교 출판부. 

  14. 배윤정 (2011). 유아의 연령, 성별 및 부모의 연령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과 또래 유능성.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백민선 (2015).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또래 유능성.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경일 (2013). 흄의 공감론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성희 (1996). 공감의 구성요소와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학회지, 34(5), 143-166. 

  18. 박인숙 (2011).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유치원 적응과의 관련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주희 (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박주희, 이은해 (2001).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1), 221-232. 

  21. 서원경 (2006). 야간보육교사의 애착에 대한 인식 및 상호작용 변화에 따른 영아와의 애착 증진 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213-247. 

  22. 석민아 (2016). 부모의 스트로크 유형 및 자기표현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송명자 (1995). 발달이론체계의 최근동향 개관.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1, 29-47. 

  24. 송길연, 김수정, 이지연, 양돈규 (2000). 발달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25. 양인아 (2009). 5세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자기조절력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우은주 (2017).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위영희 (2004). 유아의 정서 능력과 또래 유능성. 유아교육학회저널, 23(1), 137-158. 

  28. 유정미 (2009). 교사-유아관계,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윤정원 (2015).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빛나 (2015). 교사의 유아 성에 따른 특성 인식 및 지도의 어려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상미 (2012).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 놀이신념 및 유아의 놀이행동과 또래 유능성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상순 (2008).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 교사의 공감능력 및 학생의 교사신뢰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승미 (2015).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영선 (2016). 유아의 기질, 자아탄력성, 또래관계, 교사-유아관계가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이진숙 (2001). 유아의 애착표상과 교사-유아관계 및 사회적능력 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장혜영 (2011). 부모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자기효능감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전경아 (2003). 유아의 또래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전미연 (2016).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교사관계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최선희, 황혜정 (2011).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어린이미디어학회, 10(3), 1-18. 

  40. 최연정 (2016).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표은경 (2016).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관계가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허애수 (2003).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 유능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한선희 (2014). 유아의 정서지능,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한은미 (2008). 초등학교 교사의 공감수준이 아동과의 갈등 및 대응방식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황인호, 장성화 (2012).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공감능력, 직무효율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컨텐츠학회, 12(2), 232-242. 

  46.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47.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Psychology, 35(1), 61-79. doi:10.1016/S0022-4405(96)00029-5 

  48. Coie, J. D., Dodge, K. A., & kupersmidt, J. B. (1990). Peer group behavior and social statu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Shaffer, D. R., & Kipp, K. (2014).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발달심리학(송길연, 김수정, 이지연, 양돈규 옮김). 서울: 박영스토리(원판 2007). 

  50.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1), 85-103. 

  51. Gage, N., & Berliner, D. (1998). Education psychology (2nd ed.). Boston, MA: Houghton Mifflin. 

  52. Hamre, B. K., & Pianta, R. C. (2001). Early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trajectory of children's school outcomes through eighth grade. Child Development, 72(2), 625-638. doi:10.1111/1467-8624.00301 

  53. Howes, C. (1987).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in young children: Developmental sequences. Developmental Review, 7(3), 252-272. doi:10.1016/0273-2297(87)90014-1 

  54. Howes, C., & Hamilton, C. E. (1992). Children's relationship with childcare teachers: Stability and concordance with parental attachment. Child Development, 63(4), 867-878. doi:10.1111/j.1467-8624.1992.tb01667.x 

  55. Hymel, S., Bowker, A., & Woody, E. (1993). Aggressive versus withdrawal unpopular children: Variations in peer and self-perceptions in multiple domains. Child Development, 64(3), 879-896. doi:10.1111/j.1467-8624.1993.tb02949.x 

  56. Kesner, J. E. (2000). Teacher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of child-teacher relationship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8(2), 133-149. doi:10.1016/S0022-4405(99)00043-6 

  57. Lipps, T. (1903). Empathy and aestheic pleasure. Aesthetic Theories: Studies in the Philosophy of Art, 1(4), 403-412. 

  58. Pianta, R. C. (1994). Patterns of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2(1), 15-31. 

  59. Pianta, R. C., & Walsh, D. (1996). High-risk children in the school: Creating sustaining relationships. NY: Routledge. 

  60. Krznaric, R. (2014). Empathy, 공감하는 능력(김병화 옮김). 서울: 길벗(원판 2014). 

  61. Stoffer, D. L. (1970). Investigation of positive behavioral change as a function of genuineness, non-possessive warmth and empathic understand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rch, 63(1), 225-228. doi:10.1080/00220671.1970.10883992 

  62. Trawick-Smith, J. (2000).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 multicultural perspective. Columbus, Ohio: Meril. 

  63. Truax, C. B., & Tstum, C. D. (1966). An extension from the effective pstchotherapeutic model to constructive personality change in preschool children. Childhood Education, 42(1), 456-462. 

  64. Wollfolk, A. (1998). Educational psychology (6th ed.). Boston, MA: Allyn Bac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