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교사의 영유아 권리 인식의 실행 노력에 대한 연구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mpts to Implement Perception on Rights of Young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6, 2017년, pp.127 - 141  

김호현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rights of young children and what they do to implement the perceived rights of you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settings. Methods: Two individual and two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irst, individua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 권리에 대한 교사 인식의 강화는 어떤 점에서 고무적인가? 교사 인식의 강화에는 교사 권리교육의 시행이 한몫을 하면서(구미향, 황소영, 2014; 김덕순, 유경애, 2012; 김진숙, 서영숙,서혜정, 2010; 유해미, 김은설, 황옥경, 김재원, 2011) 교사들은 영유아 권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높은 인식을 가지고(서영숙, 서혜정, 김진숙, 2009; 이명순, 이은주, 2013; 이영애, 곽정인,2013; 이재연, 이소라, 1998; Hart & Zeidner, 1993; Hart, Zeidner, & Pavlovic, 1996), 영유아의 권리존중을 위한 자신의 역할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곽정인, 나귀옥, 2015; 서혜정, 고지민, 2014). 영유아 권리에 대한 교사 인식의 강화는 권리 보장을 실천하기 위한 바탕이 된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1991년 이후 권리보호의 인식 단계에서 어떤 것이 권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강화 및 인권 보장을 현실적으로 실천하려는 사회적 노력에 한몫을 했는가? 우리나라가 UN아동권리협약을 비준한 1991년 이후 권리보호의 인식 단계에서 실천 단계로의 진화(이영호, 문영희, 2016)와 최근의 왕따, 학대, 세월호 사건이 불러온 인간의 가치에 대한 논의(김녕, 2016; 장승희, 2015)는 권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강화 및 인권 보장을 현실적으로 실천하려는 사회적 노력에 한몫을 했다. 이에 영유아의 권리는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교사들의 영유아 권리의 실행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경험에 대한 연구로 권리 실행이 어려운 이유를 밝힌 연구가 있다. 정해진 일정, 교사 대 영유아의 비율 및 제한된 공간의 활용(Te One, 2011), 부족한 권리 인식, 부차적 과업에 의한 스트레스, 휴식공간의 부족, 부족한 일손(최은혜, 2017), 교실을 자주 비우거나 강압적으로 유아를 대하는 교사(서혜정, 고지민, 2014), 유아가 제시한 대답하기 곤란한 질문에 대한 제재와 응답 사이에서의 참여권 실행의 어려움(유해미 등, 2011), 혹은 권리침해 상황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모호하여 실행이 어려운 경우가 그러하다(김호현, 장희선, 2017). 그렇다면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교사들은 영유아의 권리에 대한 인식을 실천하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하는지 관심을 가져볼만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고은경, 정계숙 (2009). 유아의 실외 집단놀이 규칙 만들기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생태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구, 8(4), 187-209. 

  2. 구미향, 황소영 (2014).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관한 인식 변화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0(7), 119-137. 

  3. 곽정인, 나귀옥 (2015). 아동의 권리를 존중하는 유아교사의 역할탐구: 참여권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1001-1026. 

  4. 권경숙, 황인애 (2016). 영유아 권리존중에 관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담론.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2), 399-421. 

  5. 권미량, 하연희 (2014). 유아교육기관의 부모와 교사의 관계성 탐색. 유아교육연구, 34(4), 281-302. 

  6. 권혜진 (2014). 낮잠시간 영유아 참여권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3, 5-30. 

  7. 김녕 (2016). '인성교육진흥법'의 발상과 함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생명연구, 39, 55-102. 

  8. 김덕순, 유경애 (2012). 보육실습과 아동권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4(1), 25-38. 

  9. 김보영, 김현주 (2013). 교사-부모 관계에서 경험하는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73-106. 

  10. 김윤숙, 조희숙 (2011). 영아 초기적응 과정에서의 교사-영아, 교사-부모와의 관계에서 드러난 교사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31(6), 121-146. 

  11. 김정화 (2014).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343-364. 

  12. 김진숙, 서영숙 (2012).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 항목: 보육교사가 인식한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의 실행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133-162. 

  13. 김진숙, 서영숙, 서혜정 (2010). 아동권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 인식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4(6), 35-60. 

  14. 김호현 (2009). 유아에게 부여된 지위와 역할의 교육적 의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김호현 (2017a).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부모 관여의 허용과 불허용 영역에 대한 연구. 아동과 권리, 21(2), 17-38. doi: 10.21459/kccr.2017.21.2.135 

  16. 김호현 (2017b). UN 아동권리협약에 명시된 진화하는 능력 개념의 발달심리학적 이해. 유아교육학논집, 21(3), 269-287. 

  17. 김호현, 장희선 (2017). 영유아교사의 영유아 권리침해 인식의 모호성과 그 근거에 관한 혼합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1(2), 169-194. 

  18. 나석희, 이현진 (2012). 어린이집 교사들이 보육경험과정에서 겪는 인간관계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유아교육학논집, 16(1), 69-94. 

  19. 류수정 (2012). 아동권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아동권리 보장 실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 (2009).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3), 215-232. 

  21. 서혜정, 고지민 (2014). 보육실습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존중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3(4), 79-108. 

  22. 성은영, 최승연 (2015). 만 1세 신입영아교사의 어려움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3), 385-403. 

  23. 유해미, 김은설, 황옥경, 김재원 (2011). 육아지원기관에서의 아동권리 실태와 증진방안 연구(연구보고 2011-10).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4. 이성옥, 이순형 (2015). 아동 참여권의 재해석과 영유아보육현장 적용. 인간발달학회, 22(3), 67-88. 

  25. 이명순, 이은주 (2013). 아동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이행수준. 아동과 권리, 17(2), 265-284. 

  26. 이영애, 곽정인 (2013). 영유아권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988-1003. 

  27. 이영호, 문영희 (2016). UN 아동권리협약의 변천과 한국의 이행 성과와 과제. 비교교육연구, 26, 1-25. doi: 10.20306/kces.2016.26.6.1 

  28. 이유미, 안지혜 (2014).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 차이 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 569-591. 

  29. 이재연, 이소라 (1998). 아동의 권리에 대한 아동.부모.교사의 인식. 아동과 권리, 2(1), 25-41. 

  30. 장승희 (2015).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의 본질과 인성교육의 방향: 행복담론을 중심으로. 윤리교육연구, 37, 75-104. 

  31. 장희선, 김호현 (2017). 영유아권리침해 정도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개념도 분석. 아동교육, 26(1), 323-339. doi: 10.17643/KJCE.217.26.1.17 

  32. 정혜영, 구은미 (2016).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아동과 권리, 20(2), 199-221. doi: 10.21459/kccr.2016.20.2.199 

  33. 최은혜 (2017). 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 및 어려움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홍경자, 안영혜, 홍순옥 (2015). 장애아전문어린이집 보육교직원들의 아동권리존중에 대한 인식과 실행. 한국영유아보육학, 94, 65-91. 

  35. Aubel, J. (1994). Guidelines for studies using the group interview technique.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ffice. 

  36. Bae, B. (2009). Children's right to participate-challenges in everyday interactions.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17(3), 391-406. 

  37. Chamberlin, R. (2012). Free Children and Democratic Schools, 아동의 자유와 민주주의(김정래 옮김). 서울: 원미사(원판 1989). 

  38. Hart, S. N., & Zeidner, M. (1993). Children's perspectives of youth and education: Early finding of a cross national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Rights, 1, 165-199. 

  39. Hart, S. N., Zeidner, M., & Pavlovic, Z. (1996). Children's right: Cross-national research on perspectives of children and their teachers. In M. John (Ed.), Children in charge: The child's rights to a fair hearing (pp. 38-55). London, Bristol-Pennsylvani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40. Jones, P. (1999). Human rights, group rights, and peoples' rights. Human Rights Quarterly, 21(1), 80-107. 

  41. Lansdown, G. (n.d.). The evolving capacities of the child. Retrieved October 10, 2017, from https://www.unicef-irc.org/publications/pdf/evolving-eng.pdf 

  42. Ledogar, R. J. (1993). Implementing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through national programmes of action for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Rights, 1, 377. 

  43.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Vol. 75).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44. Malone, B. G., Bonitz, D., & Rickett, M. M. (1998). Teacher perceptions of disruptive behavior: Maintaining instructional focus. Educational Horizons, 76(4), 189-194. 

  45. Milligan, I., & Stevens, I. (2006). Balancing rights and risk the impact of health and safety regulations on the lives of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Journal of Social Work, 6(3), 239-254. 

  46. Ross, H. (2013). Children's rights and theories of righ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Rights, 21(4), 679-704. 

  47. Te One, S. (2011). Implementing children's rights in early education. Australas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36(4), 54-61. 

  48. UNICEF. (n.d.). General comments of the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Retrieved October 12, 2017, from https://www.unicef.org/ southafrica/SAF_resources_crcgeneralcomments.pdf 

  49. Yin, R. K. (2011). Qualitative research from start to finish. NY: Guilford Publication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