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교사권리 인식에 대한 개념도 분석
Analysis of Concept Mapping about the Perception of Teacher's Rights by Childcare Teach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8 no.1, 2022년, pp.51 - 70  

장경화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임선아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In order to promote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there is a need to identify problems and demands about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rights in order to identify the concepts of teacher rights. Methods:...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39)

  1. 강재희, 김진영 (2013).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 76, 121-138. 

  2. 구은미, 정혜영 (2016).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의 교사권리에 대한 개념도 분석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96, 1-27. 

  3. 권기남, 김유미 (2021). 보육교직원 관점에서 본 어린이집 이용 부모의 역할과 책임. 아동과 권리, 25(3), 305-334. doi:10.21459/kccr.2021.25.3.305 

  4. 김광병, 김기화 (2015).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법적 지위 비교 분석. 교육문화연구, 21(5), 203-227. doi:10.24159/joec.2015.21.5.203 

  5. 김길숙 (2016). 유치원.어린이집 교사 권익 관련 법제도 분석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10(1), 31-47. 

  6. 김길숙, 문무경, 이민경 (2015). 유치원.어린이집 교사 권익 보호 실태 및 증진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 

  7. 김연 (2012). 보육교사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8. 김영주, 박선홍 (2014). 보육교사가 갖는 개인적.전문적 어려움과 관심사. 유아교육학논집, 18(6), 237-262. 

  9. 김은영, 조혜주 (2013).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 수행빈도, 중요도, 난이도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7(2), 215-244. 

  10. 김정원, 민희숙 (2013). 유아교육기관장의 도덕적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자율성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2), 237-257. doi:10.18023/kjece.2013.33.2.011 

  11. 김주선 (2018). 특수교육 대상자의 치료지원 효과에 대한 관련 주체의 인식 차이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진숙, 서영숙 (2012).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 항목: 보육교사가 인식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133-162. 

  13. 류기정 (2015). 아동의 권리증진과 영유아교사의 인권 토론문.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17-120. 

  14. 박영미 (2017).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과 보육교사 헌신도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안지혜 (2012). 교사-부모 의사소통에서 교사가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2(2), 21-46. 

  16. 양다경 (2011). 교권에 대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연합뉴스 (2018. 10). 학대 의심만으로 마녀사냥...예비 신부 보육교사의 비극. https://www.yna.co.kr/view/AKR20181016073151065?input1179m에서 2018년 10월 16일 인출 

  18. 염지숙, 이명순, 조형숙, 김현주 (2018). 유아교사론. 서울: 정민사. 

  19. 육아정책연구소 (2010). 보육 선진화를 위한 보육인력의 전문성 제고방안(세미나자료 2010-04).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 윤경준, 지경빈 (2011).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정책적 시사점: 서울형어린이집의 구조적 특성과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5(2), 171-197. 

  21. 이미정, 강란혜 (2011). 보육교사의 처우 및 근무실태 개선을 위한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11(3), 27-44. 

  22. 이민아, 임선아 (2018).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6), 53-67. doi:10.14698/jkcce.2018.14.06.053 

  23. 이서영, 양성은 (2018). 보육교사의 권리에 대한 경험적 인식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8(4), 39-50. doi:10.21213/kjcec.2018.18.4.39 

  24. 정수경 (2019).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과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교사권리 인식의 매개효과 분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주리 (2017). 유아교사의 교권실행 실태와 유아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실행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찬석, 이은경, 김현주 (2004). 청소년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의 도움경험 분석: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21-35. 

  27. 조숙영, 원혜경 (2015).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과 교사몰입의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의 도덕적 자율성의 매개효과. 교육문화연구, 21(6), 191-219. doi:10.24159/joec.2015.21.6.191 

  28. 최수미, 김주선, 김동일 (2018).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조기선별을 위한 학습자 속성 탐색 연구: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15(3), 345-365. doi:10.47635/KJLD.2018.15.3.345 

  29. 최윤경, 박진아, 이솔미, 조현수 (2017). 누리과정 성과 제고를 위한 교사 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0. 한상미 (2019). 어린이집 교사의 교권 및 교권침해에 대한 인식과 실태. 부산 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황미연, 이지연 (2016).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상담요구 분석. 사회과학연구, 42(2), 191-211. doi:10.15820/khjss.2016.42.2.009 

  32. 황보영란 (2011). 유치원 교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1(5), 87-112. doi:10.18023/kjece.2011.31.5.004 

  33. Giorgi, A.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34. Gol, A. R., & Cook, S. W. (2004). Exploring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cop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2), 155-171. doi:10.1521/jscp.23.2.155.31021 

  35. Kane, M., & Trochim, W. M. K.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Thousand Oaks, CA: Sage. 

  36. Polkinghorne, D. E. (2005). Language and meaning: Data collection in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37-145. doi:10.1037/0022-0167.52.2.137 

  37. Seidman, I. (1998).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NY: Teachers College Press. 

  38. Trochim, W. M. K. (1985). Pattern matching, validity, and conceptualization in program evaluation. Evaluation Review, 9(5), 575-604. doi:10.1177/0193841X8500900503 

  39. Trochim, W. M. (1989).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1), 1-16. doi:10.1016/0149-7189(89)90016-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