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근로여건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사의 웰빙과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orking Conditions on Professionalism: Conside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nd Well-being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3, 2019년, pp.21 - 38  

최윤경 (육아정책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ent working conditions such as welfare and wages, working hours, ECEC center'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parental involvement and community engagement o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Method...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유아 교사의 근무시간 및 임금보상체계와 같은 근로복지와 기관이 갖는 물리적·인적 환경과 부모지역사회 관계 등의 기관환경이 교사가 경험하는 제반 근로여건으로서 교사의 효능감과 웰빙,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그 직간접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은 그 간 교사정책의 추진을 통해 가설로 논의된 근로복지 및 보상체계의 향상과 기관의 환경, 부모지역사회와의 관계 등의 제반 근로여건이 교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실증적인 효과와 그 경로의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최근 연구 동향을 통해 교사의 역량과 전문성을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등장한 교사의 효능감과 웰빙이 갖는 직간접의 설명력을 본 연구모형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그 간 선행연구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 구성 요인과 교사의 전문성이 교육·보육의 질과 상호작용, 아동의 성과 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논의가 있던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과된 교사의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매개변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필요성도 있었다.
  • 이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근로환경과 누리과정 수행 및 교실내 상호작용에 관한 주요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전국의 3-5세 유아교사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중 988명의 유효한 응답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사 조사를 위해 주요 변인별(기관유형, 기관규모, 지역)로 유의할당을 하여 표집였으며, 기관유형별로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가 거의 동수로 표집되도록 하였다.
  • 이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은 그 간 교사정책의 추진을 통해 가설로 논의된 근로복지 및 보상체계의 향상과 기관의 환경, 부모지역사회와의 관계 등의 제반 근로여건이 교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실증적인 효과와 그 경로의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최근 연구 동향을 통해 교사의 역량과 전문성을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등장한 교사의 효능감과 웰빙이 갖는 직간접의 설명력을 본 연구모형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그 간 선행연구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 구성 요인과 교사의 전문성이 교육·보육의 질과 상호작용, 아동의 성과 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논의가 있던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과된 교사의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매개변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필요성도 있었다.
  • 따라서 이 연구는 유아 교사의 근무시간 및 임금보상체계와 같은 근로복지와 기관이 갖는 물리적·인적 환경과 부모지역사회 관계 등의 기관환경이 교사가 경험하는 제반 근로여건으로서 교사의 효능감과 웰빙,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그 직간접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교사의 근로시간 및 근무환경의 개선에 대한 논의가 교사의 웰빙과 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결과적으로 교사의 전문성(누리과정 계획과 수행, 유아와의 상호작용, 유아에 대한 행동관리)의 실행력 제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의 심리적·정서적 과정의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 결과, 둘째, 근로여건의 제 요인이 교사의 전문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효능감과 웰빙은 모두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이 웰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웰빙을 매개로 교사 효능감이 교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최근 연구결과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교사의 효능감과 웰빙의 설명력을 본 연구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교사의 효능감이 교사가 체감하는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방향성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인지이론에 기반한 효능감의 특징은 무엇인가? 교사의 인지적·정서적 측면의 중요성이 논의됨에 따라, 사회인지이론에 기반한 효능감이 교사의 역량과 전문성을 지지하는 개념으로 강조되었다. 효능감 연구에서 한국 교사의 자기효능감 프로파일과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한국 유아교사의 효능감은 다차원적인데(교수학습 효능감, 정서적 효능감 등), 각 차원은 고유한 선행요인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질의 교육·보육을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필요한가? 교실에서 민감하게 반응하고 적절한 자극을 주는 교사 와의 상호작용은 아동의 언어 습득과 학업적, 사회적 능력을 예측하며(Burchinal et al., 2008a), 양질의 교육·보육을 위해서는 교사-아동 간의 친밀한 관계와 빈번하고 민감한 상호작용, 그리고 교사가 제공하는 높은 수준의 수업(instruction)과 교사의 효과적인 유아행동관리가 필요하다(Burchinal, Hyson, & Zaslow, 2008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교육부 (2018). 유아교육발전 기본계획(2018-2022). 교육복지정책국 유아교육정책과.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2&boardSeq74965&lev0&searchTypenull&statusYNC&page1&smoe&m0301&opTypeN에서 2019년 4월 30일 인출 

  2. 김미진, 김병만 (2017).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행복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 및 조절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2), 191-215. doi:10.22155/JFECE.24.2.191.215 

  3. 김영실, 정영실 (2016). 영아의 공동주의와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6(1), 133-152. doi:10.18023/kjece.2016.36.1.006 

  4. 김은설, 안재진, 최윤경, 김의향, 양성은, 김문정 (2009). 보육종사자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수탁보고: 2009-05). 서울: 보건복지가족부.육아정책연구소. http://www.kicce.re.kr/kor/publication/02_04.jsp?modeview&idx3295&startPage60&listNo30&codereport03&search_item&search_order&order_list10&list_scale10&view_level0에서 2019년 1월 30일 인출 

  5. 보건복지부 (2017).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 2019년도 시행계획. 보건복지부보육정책관.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3320&SEARCHKEYTITLE&SEARCHVALUE%EC%A4%91%EC%9E%A5%EA%B8%B0%EB%B3%B4%EC%9C%A1에서 2019년 4월 30일 인출 

  6. 박은혜, 박선혜 (2017). 유치원 교사 및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 관점 성향 분석. 육아지원연구, 12(2), 27-49. doi:10.16978/ecec.2017.12.2.002 

  7. 박희숙 (2014). 24시간 어린이집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이 영유아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9(1), 267-285. doi:10.16978/ecec.2014.9.1.011 

  8. 신지혜, 김남희, 김규태 (2018). 유아교사의 조직행동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4(6), 459-481. doi:10.24159/joec.2018.24.6.459 

  9. 이미화, 최윤경, 이정원, 도남희, 권미경, 박진아, 이혜민, 김영원 (2016). 2015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10. 이종각, 문수백 (2011)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165-184 

  11. 이희은 (2017). 유아교사의 직무수행과 관련변인 간 구조관계 분석: 직무만족, 행복감, 관계지향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1), 231-256. doi:10.22155/JFECE.24.1.231.256 

  12. 조숙영, 이용주 (2016).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행복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2), 191-211. 

  13. 최윤경, 박진아, 이솔미, 조현수 (2017). 누리과정 성과 제고를 위한 교사 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연구보고 2017-25).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www.kicce.re.kr/kor/publication/02_03.jsp?modeview&idx24693&startPage0&listNo22&codereport05&search_itemsubject&search_order누리과정&order_list10&list_scale10&view_level0에서 2019년 1월 30일 인출 

  14. 한국보육진흥원 (2018). 비전보육(Vol.24).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15. 허주, 최수진, 김이경, 김갑성, 김용현 (2015). 교원 및 교직환경 국제비교연구: TALIS 2주기 결과를 중심으로(RR2015-22).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https://www.kedi.re.kr/khome/main/research/selectPubForm.do에서 2019년 1월 30일 인출 

  16. 홍세희 (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17. Boyd, M. (2013). "I love my work but..." The profession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Qualitative Report, 18(36),1-20. 

  18. Bullock, A., Coplan, R. J., & Bosacki, S. (2015). Exploring links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o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room management self-efficacy beliefs. Canadian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47(2), 175-183. doi:10.1037/a0038547 

  19. Burchinal, M., Howes, C., Pianta, R., Bryant, D., Early, D., Clifford, R. et al. (2008a). Predicting child outcomes at the end of kindergarten from the quality of pre-kindergarten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instruction. Applied Development Science, 12(3), 140-153. doi:10.1080/10888690802199418 

  20. Burchinal, M., Hyson, M., & Zaslow, M. (2008b). Competencies and credentials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What do we know and what do we need to know. NHSA Dialog Briefs, 11(1), 1-24. 

  21. Danielson, C. (2013). The Framework for teaching: Evaluation instrument. Princeton, NJ: Danielson Group. 

  22. Early, D. M., Bryant, D. M., Pianta, R. C., Clifford, R. M., Burchinal, M. R., Ritchie, S. et al.(2006). Are teachers' education, major, and credentials related to classroom quality and children's academic gains in pre-kindergart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2), 174-195. doi:10.1016/j.ecresq.2006.04.004 

  23. Early, D. M., Maxwell, K. L., Burchinal, M., Alva, S., Bender, R. H., Bryant, D. et al. (2007). Teachers' education, classroom quality, and young children's academic skills: Results from seven studies of preschool programs. Child Development, 78(2), 558-580. doi:10.1111/j.1467-8624.2007.01014.x. 

  24. Guo, Y., Justice, L. M., Sawyer, B., & Tompkins, V. (2011). Exploring factors related to preschool teachers' self-efficac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7(5), 961-968. doi:10.1016/j.tate/2011.03.008 

  25. Hall-Kenyon, K. M., Bullough, R. V., MacKay, K. L., & Marshall, E. E. (2013). Preschool teacher well-be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2(3), 153-162. doi:10.1007/s10643-013-0595-4 

  26. Hamre, B. K., Pianta, R. C. Downer, J. T., DeCoster, J., Mashburn, A. J., Jones, S. M., and Hamagami, A. (2013). Teaching through interactions: Testing a developmental framework of teacher effectiveness in over 4,000 classroom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13(4), 461-487. 

  27. Hoy, W. K., & Woolfolk, A. E. (1990). Socialization of student teacher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7(2), 279-300. doi:10.3102/00028312027002279 

  28. Kim, Y. H. & Kim, Y. E. (2010).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or's multi-dimensional teacher self-efficacy and ECE center climate and depression severity in teachers as contributing facto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5), 1117-1123. doi:10.1016/j.tate.2009.06.009 

  29. OECD(2016). Supporting teacher professionalism: Insights from TALIS 2013. Paris: OECD Publishing. 

  30. Palardy, G. J., & Rumberger, R. W. (2008). Teacher effectiveness in first grade: The importance of background qualifications, attitudes, and instructional practices for student learning.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30(2), 111-140. doi:10.3102/0162373708317680 

  31.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1070. doi:10.1037/0022-3514.54.6.106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