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copolamine유도 치매쥐에서 산수유 추출물의 항치매 효과
Anti-dementia Effects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extract on the Scopolamine Induced Dementia in Mouse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8 no.4, 2017년, pp.304 - 313  

손기호 (경성대학교 약학대학) ,  김정숙 (경성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se days, as the average span of population's life increases, the number patients of dementia also increases. But Research on Korean medicine is stilled limited. The research evaluates the effect of the extract from Cornus officinalis S.et Z on cognitive impairment induced by scopolamine in mi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예로부터 동의보감에서 신장의 기를 보하고 두풍을 낫게 한다고 알려졌으며 두통, 이명 고열증상을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copolamine으로 치매 유발한 ICR-mouse에 미치는 산수유 열수 추출물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산수유가 항치매 효과 및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동물 실험은 ICR-mouse에 산수유 열수 추출물의 4주간의 투여(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관성 치매의 약물 치료법의 한계는? 최근까지 치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형 치매(Alzheimer’s disease, AD)의약물치료는콜린성가설(cholinergic hypothesis)을 근거로4) 한 대증치료제를 주로 사용해왔지만 제한적인 약효를 보이고 있을 뿐이다. 또한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의 약물 치료는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cholinesterase inhibitor)인 donepezil, rivastigmine, galantamine 등과 비콜린성(non-cholinergics)인 memantine, nimodipine, hydergine, nicergoline, CDP-choline, folic acid, posatirelin, propentofylline, pentoxifylline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까지 약효가 완벽하게 증명되지 않았고 단지 증상을 개선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6) 이러한 약물은 치매가 발병하는 유도단계, 잠복단계와 증상발현단계 가운데 주로 진단이 되는 증상 단계 이전의 특정 경로를 목표로 개발되었으나 치료에 대한 뚜렷한 경로를 아직까지 입증 못하고 있다.
치매는 무엇인가? 치매는 후천적 뇌질환에 의한 다발성 인지장애가 일상생활의 장애를 일으키는 상태로 70여 가지에 이르는 원인들에 의해 유발되는 임상 증후군이나5) 아직까지 치매의 원인과 발병기전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어서 뚜렷한 질병과 변형치료법(disease modifying therapy)이 없는 실정으로 현재 많은 약물들의 유효성과 안전성 검정을 위해 임상연구가 진행 중이다.
치매 치료를 위해 개발된 약물들이 치료에 대한 뚜렷한 경로를 아직 입증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6) 이러한 약물은 치매가 발병하는 유도단계, 잠복단계와 증상발현단계 가운데 주로 진단이 되는 증상 단계 이전의 특정 경로를 목표로 개발되었으나 치료에 대한 뚜렷한 경로를 아직까지 입증 못하고 있다. 이는 치매의 발병 기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한국치매협회. http://www silverweb.or.kr/test/html/ml_03.asp. 

  2. 헬스코리아뉴스. 한국인, 혈관성 및 혼합성 치매 비율 높아. 2010. 10. 25. Available URL; http://www.hkn24.com/news/artocleVies. htm? dxno58417. 

  3. 통계청 (2009) 연령별 사망원인. 2017. 9. 14. Available URL;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34E12&vw_cdMT_ZTITLE&list_idD1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4. Roberson, M. R. Kolasa, K. Parsons, D. S. and Harrell, L. E. (1997) Cholinergic denervation and sympathetic ingrwoth result in persistent changes in hippocampal muscarinic receptors. Neuroscience 80: 413-418. 

  5. 한원주, 김상태, 이충식, 박보라, 정은영, 김대현, 윤종현, 김진우, 강형원, 류영수, 김태헌 (2008) 壯元丸加減方 煎湯液이 APP로 유도된 형질전환 초파리에서의 항치매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2: 1215-1222. 

  6. Man, S. C., Chan, K. W., Lu, J. H., Durairajan, S. S., Liu, L. F. and Li, M. (2012) Systemic review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s for vascular dementia. Evi-Based Corn. and Alt. Med. 22: http://dx.doi.org/10.1155/2012/426215. 

  7. Han, S. H. (2009) Novel pharmacotherapies for Alzheimer'x disease. J. Korean Med. Assoc. 52: 1059-1068. 

  8. Yoon, Y. K. (2004) Explanation for traditional herbal formula. 3-17. Esung dang, Seoul. 

  9. Vinjar, F., Sameline, G., Harald, W. C., Ritenbaugh, A., Johan, N. and Hugh, M. (2007) Researching complementary and altermative treatments-the garekeepers are mot at home. BMC. Med. Res. Merthods 7: https://doi.org/10.1186/1471-2288-7-7. 

  10. Kim, H. G. and Oh, M. S. (2012) Herbal medicin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zheimer'x diseases. Current Pharm. Design. 18: 57-75. 

  11. Morris, R. (1984) Developments of a water-maze procedure for studying spatial learning in the rat. J. Neuro. Sci. Methods 11: 47-60. 

  12. Van der Zee, E. A., Biemans, B. A. M., Gerkema, M. P. and Daan, S. (2004) Habituation to a test apparatus during as sociative learning is sufficient to enhance muscarinic acethylcholine receptor immuno reactivity in rat supra chiasmatic nucleus. J. Neuro. sci. Res. 78: 508-519. 

  13. Ellman, G., Lcourtney, K. D., Anders, V. Jr. and Feathers-Stone, R. M. (1961) A new and rapid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io. chem. Pharmaco. 7: 88-95. 

  14. Hestrin, S. (1949) Thereaction of acetylcholine and other carboxylic acid derivatives with hydroxylamine, and its analytical application. J. Biol Chem. 180: 249-261. 

  15. Lowry, O. H., Rosebrough N. J., Farr A. L. and Rendall R. 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30. 

  16. Kruger, N. J. (1994) The Bradford method for protein quantitation.-Basic protein and peptide protocols. Springer, Cham, Switzerland. 

  17. Woolf, N. J. (1997) A possible role for cholinergic neurons of the basal forebrain and pontomesence phalonin consciousness. Conscious Cong. 6: 574-596. 

  18. Fan, Y., Hu, J., Li, J., Yang, Z., Xin, X., Wang, J., Ding, J. and Geng, M. (2005) Effect of acidic oligosaccharide sugar chain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rats and its related mechanisms. Neurosci. Lett. 374: 222-226. 

  19. Yan, A. and Wang, K. (2012) Quantitative structure and bioactivity relationship study on human acetylcholine-esterase inhibitors. Bioorg. Med. Chem. Lett. 22: 3336-3342. 

  20. Sears, C., Markie, D., Olds, R. and Fitches, A. (2011) Evidence of associations between bipolar disorder and the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gene. Bipolar. Disord. 13: 630-637. 

  21. Han, J. C., Liu, Q. R., Jones, M., Levinn, R. L., Menzie, C. M., Jefferson-George K. S., Adler-Wailes, D. C., Sanford, E. L., Lacbawan, F. L., Uhl, G. R., Rennert, O. M. and Yanovski, J. A. (2011)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obesity in the WAGR syndrome. N. Engl. J. Med. 359: 918-927. 

  22. Bourtchuladze, R., Frenguelli, B., Blendy, J., Cioffi, D., Schutz, G. and Silva, A. J. (1994) Deficient long-term memory in mice with a targeted mutation of the cAMP-responsive elementbinding protein. Cell 79: 59-68. 

  23. Blendy, J. A. (2006) The role of CREB in depression and antidepressant treatment. Biol. Psychiatr. 59: 1144-1150. 

  24. Lee, B., Sur, B., Shim, J., Hahm, D. H. and Lee, H. (2014) Acupuncture stimulation improves scopolamine-induced cognitive impairment via activation of cholinergic system and regulation of BDNF and CREB expressions in rats. BMC Complement Altern. Med. 14: 338. 

  25. Riberson, M. R., Kolasa, K., Parsons, D. S. and Harrell, L. E. (1997) Cholinergic denervation and sympathetic ingrowth result in persistent changes in hippocampal muscarinic receptors. Neuroscience 80: 413-418. 

  26. Man, S. C., Chan, K. W., Lu, J. H., Durairajam Liu, S. S., Liu, L. F. and Li M. (2012)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s for vascular dementia. Evi. Based Complement Altermat. Med. doi: 10.1155/2012/426215. 

  27. Han, S. H. (2009) Novel pharmacotherapies for Alzheimer's disease. J. Korean Med. Assoc. 52: 1059-1068. 

  28. Woolf, N. J. (1997) A possible role for cholinergic neurons of the basal forebrain and pontomesencephalon in consciousness. Conscious Cong. 6: 574-596. 

  29. Chen, J., Long, Y., Han, M., Wang, T., Chen, Q. and Wang, R. (2008) Water-soluble derivative of propolis mitigates scopolamine-induced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in mice. Pharmacol. Biochem. Behav. 90: 441-4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