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병원간호사의 근골격계증상 영향 요인
Factors associate with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4 no.3, 2017년, pp.159 - 170  

정지수 (순천제일대학교 간호학과) ,  은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6 nurses working in Jeonnam. We used self administration questionnai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소병원간호사의 근골격계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방의 중소병원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증상 정도를 파악하고, 개인적 특성, 작업 관련 특성, 건강 관련 특성, 직무 스트레스, 사회심리 스트레스, 건강행위가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요인을 규명하여 중소병원 환경에 맞는 근골격계증상 완화 방안 및 중소병원간호사에 맞는 업무개선 대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골격계증상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중소병원간호사의 근골격계증상 예방을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전체 병원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300병상이하의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중소병원간호사의 근골격계증상 실태를 파악하고, 근골격계증상과 개인적 특성, 작업 관련특성, 건강 관련특성, 직무 스트레스, 사회심리 스트레스 및 건강행위가 근골격계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들이 근골격계질환 발생이 자주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상대적으로 인력이 줄어든 중소병원간호사의 업무강도는 높아지고 있으므로 지방중소병원 간호사들의 업무 부담이 간호사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Cho & You, 2013; Kim, Park, You, Kim, & Kim, 2009). 간호직은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질환 발생 위험률이 높은 10대 직종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는데 (Occupation Safety and Health Act [OSHA], 2000), 간호사들의 주 업무가 대인관계 서비스를 비롯하여 주로 서서 일하거나, 환자의 부축 및 체위변경, 환자를 들어 옮기기,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옮기는 것, 환자의 이동을 돕는 행위, 활력 증상 측정, 주사를 놓는 것, 침대 이동 및 조작, 처방전달 체계로 인한 컴퓨터 작업 등으로 목, 어깨, 손, 등, 허리, 다리, 무릎, 발 등의 근골격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Jeong & Koo, 2006).
근골격계증상과 관련이 있는 작업환경 요인은 무엇인가? 근골격계증상과 관련이 있는 작업환경 요인은 근무경력, 교대근무, 직위, 근무자세, 하루 평균 근무시간, 주당 평균 근무일수 등이며, 보호자 없는 병실에 근무하는 경우 증상 호소율이 높다(Bang, Sim, & Lee, 2015; Kim, Park, & Park, 2009; Seo, Kim, Song, Kim, & Kim, 2012).
근골격계증상에 관해 사람마다 증상의 차이가 나는 개인적인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근골격계증상은 개인적 요인과 작업환경 요인, 심리적 또는 사회적 스트레스,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Wendy, 2012). 개인적인 요인으로 연령, 결혼여부, 나이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Kim, Park, & Park, 2009; Woo & Kim,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ng, M. R., Sim, S. S., & Lee, D. S. (2015). Comparison of patientsitter ward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ccupational stres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7(2), 169-178. https://doi.org/10.7586/jkbns.2015.17.2.169 

  2. Bongers, P. M., Kremer, A. M., & Laak, J. T. (2002). Are psychosocial factors, risk factors for symptoms and signs of the shoulder, elbow, or hand/wrist?: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1(5), 315-342. https://doi.org/10.1002/ajim.10050 

  3. Chang, S. J. (2000). Standardization of collect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statistics data. Seoul: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4. Chang, S. J., Hoh, S. B., Kang, D. M., Kim, A. S., Kang, M. H., Lee, C. G., et al.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 Medicine, 17(4), 297-313. 

  5. Cho, W. S., & You, M. S. (2013). Problems and prospects of nursing research on job stres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1), 63-75.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1.63 

  6. Choi, S. Y. (2008). A comprehensive model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hospital workers based on ergonomic risk and psychosocial fac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7. Chung, M. J. (2012). A study on burden-index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For electronic indust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8. Feurstein, M. (1996). Work style: Definition, empirical support, and implications for prevention,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of occupational upper extremity disorders. In S. D., Moon, S. L. Sauter (Ed.), Beyond biomechanics and psychosocial aspect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Office (pp.177-206). Bristol, PA: Taylor and Francis. 

  9. Jeong, E. H., & Koo, J. W. (2006). Analysis of musculoskeletal burdened work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5(3), 97-103. https://doi.org/10.5143/JESK.2006.25.3.097 

  10. Jung, H. S. (2004). Work-related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Gimhae. 

  11. Kee, D. H., & Seo, S. R. (2007).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nursing personnel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37(3), 207-212. https://doi.org/10.1016/j.ergon.2006.10.020 

  12. Kim, I. H., Bae, K. J., Kwon, S. C., & Song, J. C. (2010).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sychosocial factor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4), 465-471. https://doi.org/10.5143/JESK.2010.29.4.465 

  13. Kim, J. S., & Kim, C. J. (2016). Association of job stress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health status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4), 311-319. https://doi.org/10.5807/kjohn.2016.25.4.311 

  14. Kim, M. A., Park, K. O., You, S. J., Kim, M. J., & Kim, E. S. (2009). A survey of nursing activities in small and medium-size hospitals: Reasons for turnove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1), 149-165. 

  15. Kim, M. J. (2013). Factors influencing musculoskeletal symptoms for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16. Kim, N. J. (2009). The study on musculoskeletal discomforts of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7. Kim, Y. I. (2011). Effect factors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of shift work nurses,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3), 256-364. https://doi.org/10.5807/kjohn.2011.20.3.356 

  18. Kim, Y. S., Park, J. Y., & Park, S. Y. (2009).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6(1), 13-25. 

  19.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2). KOSHA GUIDE H-9-2012. Retrieved October 20, 2017, from http://m.kosha.or.kr/koshaguide/gd.php?c1&b1724&g5&num551 

  20. Lee, H. Y., & Choi, S. Y. (2012). Effect of emotional labor, job and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of beauty industry workers on the perceived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14(4), 51-58. 

  21. Lee, J. (2011). Relationships of musculoskeletal symptoms to stress and fatigue among radiological technologis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Gimhae. 

  22. Lee, S. H., & Yoo, I. Y. (2010). A study of psychosocial distress, intention to quit and nursing performance in general ward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9(2), 236-245. 

  23. Lee, Y. J., Lee, S. Y., Kim, S. L., Jung, H. S., Yang, K. M., & Lee, J. E. (2007). The association of health behaviors with musculoskeletal diseases im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1), 102-111. 

  24. Macdonald, W. (2012). Conceptual framework for development of a toolkit for prevention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ork, 41(Suppl 1), 3933-3936. https://doi.org/10.3233/WOR-2012-0689-3933 

  25. Occupation Safety and Health Agency Act 3125. (2000). Ergonomics: The study of work. Retrieved October 20, 2017, from https://www.osha.gov/Publications/osha3125.pdf 

  26. Park, J. K., Jang, S. H., Kim, D. S., Hur, K. H., Lee, H. Y., Choi, E, Y., et al. (2010, October).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job stress risk factors in general hospital nurses: Nursing task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s. Paper presented at the fall conference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Pyeongchang. 

  27. Park, J. Y., Kwon, I. S., & Cho, Y. C. (2011).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elated factors among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5), 2163-2171. https://doi.org/10.5762/KAIS.2011.12.5.2163 

  28. Seo, Y. J., Kim, B. W., Song, Y. E., Kim, J. W., & Kim, C. H. (2012). Difference in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caregivers by rehabilitation hospital. Journal of Wellness, 7(4), 25-34. 

  29.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https://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30. Woo, N. H., & Kim, S. Y. (2009).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general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2), 270-280. 

  31. Yun, S. N., & Kim, J. H. (1999).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8(2), 130-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