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무만족도에 따른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다중집단경로분석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Nurses: A Multiple-Group Path Analysis across Job Satisfa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6, 2017년, pp.770 - 780  

백지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  현대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전산통계학과) ,  장세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직업환경의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on nurse's turnover intention and examine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따른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소진 간의 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된 제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다중집단 경로분석을 이용한 검증을 통하여 직무만족도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 간의 이직의도에 대한 감정노동과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와 소진의 역할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이해하고 간호조직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효율적인 인사관리 정책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따른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소진간의 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다중집단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따른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다중집단 경로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따른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따른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소진 간의 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된 제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다중집단 경로분석을 이용한 검증을 통하여 직무만족도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 간의 이직의도에 대한 감정노동과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와 소진의 역할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이해하고 간호조직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효율적인 인사관리 정책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해야 하는 이유는? 0%[4]에 비해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간호사는 의료기관 인력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정보와 관련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병원의 경영 전략 중 합리적이고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2].
이직의도가 높은 간호사는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이직자체 보다 이직의도에 관심을 갖는 이유로는 이직은 인구특성과 같은 개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더 크게 받지만, 이직의도는 조직 스트레스, 리더십 등 조직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또한 이직의도가 높은 간호사는 그렇지 않은 간호사에 비해 조직이나 업무에 대한 몰입도가 낮아져서 업무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다른 근무자에게 불만족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다른 이직을 부추 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직을 결정짓는 가장 큰 선행요인인 이직의도의 원인 변수를 파악하여 조직에서 가능한 중재를 수행하는 것이 이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5].
감정을 노동의 개념으로 파악하는 주안점은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가? 감정을 노동의 개념으로 파악한 것은 Hochschild [9]에 의해 처음으로 제기되었으며, 감정노동에 관한 개념연구는 연구자들마다 차이가 있다. Hochschild [9]는 감정노동의 연출적인 측면과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 중 노력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Ashforth와 Humphrey [13]는 감정노동을 인상관리의 한 형태로 보며 외적 표현 행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Morris와 Feldman [14]은 상호주의적인 관점을 취하며 감정노동을 다양한 차원들을 근거로 개념화하고 감정표현의 빈도, 바람직한 감정표현에 요구되어지는 주의 집중도, 감정표현의 다양성, 감정의 부조화로 개념화하고 있으며, Grandey 등[8]은 감정노동에 대한 선행 연구의 개념을 통합하여 개인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감정과 표현을 조절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감정노동이 근로자에게 미치는 영향으로는 소진, 감정부조화, 이직의사, 직무 불만족,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부정적인 건강상태를 유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8-10,15,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Global Health Workforce Alliance. Global health workforce crisis: Key message [Internet]. Geneva: WHO; c2014 [cited 2017 Aug 15]. Available from: http://www.who.int/workforcealliance/en/. 

  2. Hospital Nurses Association. Man power loading chart of hospital. Annual report of hospital nurses association [Interne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c2016 [cited 2017 Aug 15]. Available from: http://www.khna.or.kr/web/information/resource.php. 

  3. Nursing Solutions Inc. 2017 National healthcare care retention & RN staffing report [Internet]. East Petersburg (PA): Nursing Solutions Inc.; c2017 [cited 2017 Aug 15]. Available from: http://www.nsinursingsolutions.com/. 

  4. Health Education England. Growing nursing numbers: Literature review on nurses leaving the NHS [Internet]. UK: NHS; c2014 [cited 2017 Aug 15]. Available from: http://hee.nhs.uk/work-programmes/nurse-return-to-practice. 

  5. Jourdain G, Chenevert D. Job demands-resources, burnout and intention to leave the nursing profession: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0;47(6):709-722.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9.11.007 

  6. Flinkman M, Leino-Kilpi H, Salantera S. Nurses' intention to leave the professio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7):1422-1434.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0.05322.x 

  7. Kim JK, Kim MJ. A review of research on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538-550.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4.538 

  8. Grandey A, Diefendorff J, Rupp DE. Emotional labor in the 21st century: Diverse perspectives on emotion regulation at work. New York (NY): Routledge; 2013. p. 3-27. 

  9. Hochschild AR.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1983. p. 89-136. 

  10. Bakker AB, Heuven E.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and in-role performance among nurses and police offic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2006;13(4):423-440. https://doi.org/10.1037/1072-5245.13.4.423 

  11. Lee H, Cummings GG.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front line nurse manager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8;16(7):768-783. https://doi.org/10.1111/j.1365-2834.2008.00879.x 

  12. Kim YS. Nurses job stress influencing on the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1. p. 1-70. 

  13. Ashforth BE, Humphrey RH. Emotion in the workplace: A reappraisal. Human Relations. 1995;48(2):97-125. https://doi.org/10.1177/001872679504800201 

  14.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6;21(4):986-1010. https://doi.org/10.5465/AMR.1996.9704071861 

  15. van Gelderen BR, Bakker AB, Konijn EA, Demerouti E. Daily suppression of discrete emotions during the work of police service workers and criminal investigation officers. Anxiety, Stress, & Coping. 2011;24(5):515-537. https://doi.org/10.1080/10615806.2011.560665 

  16. Heuven E, Bakker A.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among cabin attendants.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3;12(1):81-100. https://doi.org/10.1080/13594320344000039 

  17. Franco M, Trombetta M. Cybernetic theory as a new approach to studying workers'well-being. Croatian Economic Survey. 2010;12(1):163-198. 

  18. Maslach C, Jackson SE.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981;2(2):99-113.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19. Guleryuz G, Guney S, Aydin EM, Asan O.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sational commitment of nurses: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8;45(11):1625-1635.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8.02.004 

  20. Bakker AB, Demerouti E.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State of the ar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07;22(3):309-328. https://doi.org/10.1108/02683940710733115 

  21. Mobley WH.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Reading (MA): Addison-Wesley; 1982. p. 88-102. 

  22. Niven K, Totterdell P, Holman D, Cameron D. Emotional labor at the unit-level. In: Grandey A, Diefendorff J, Rupp DE, editors. Emotional Labor in the 21st Century: Diverse Perspectives on Emotion Regulation at Work. New York (NY): Routledge; 2013. p. 101-124. 

  23. Lee HY. Research methodology. 2nd ed. Seoul: Cheongram; 2012. p. 531-556. 

  24. Chang SJ, Kang HT, Kim SY, Kim IA, Kim JI, Kim HY, et al. The development of Korean emotional labor scale and Korean violence scale 2013. Seoul: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4. p. 70-73. 

  25. Choi HY. Perfectionism tendency,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ors [master's thesis].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2. p. 1-96. 

  26. Pejtersen JH, Kristensen TS, Borg V, Bjorner JB. The second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0;38(3 Suppl):8-24. https://doi.org/10.1177/1403494809349858 

  27. Park IS. The relationships among nursing workload, nurse manager's social support, nurses'psychosocial health and job satisfaction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p. 1-112. 

  28. Lee HS, Lim J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4. Seoul: Jyphyunjse; 2017. p. 253-266. 

  29. Andela M, Truchot D.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The moderating role of team reflexivity and re-evaluation. Stress and Health. 2017;33(3):179-189. https://doi.org/10.1002/smi.2695 

  30. Hulsheger UR, Lang JW, Maier GW. Emotional labor, strain, and performance: Testing reciprocal relationships in a longitudinal panel stud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010;15(4):505-521. https://doi.org/10.1037/a0021003 

  31. Bartram T, Stanton P, Leggat S, Casimir G, Fraser B. Lost in translation: Exploring the link between HRM and performance in healthcare.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2007;17(1):21-41. https://doi.org/10.1111/j.1748-8583.2007.00018.x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