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단 인지정서행동요법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Group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on the Nurses'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8 no.4, 2018년, pp.432 - 442  

김혜련 (영남외국어대학 간호학과) ,  윤숙희 (인제대학교 건강과학연구소.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Group REBT program with group counseling for nurses and test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on their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집단 REBT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직업건강심리 변인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감소, 직무태도 변인인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증가 및 이직의도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함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 집단 REBT 프로그램을 중재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직무스트레스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 가설 2. 집단 REBT 프로그램을 중재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소진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 가설 3. 집단 REBT 프로그램을 중재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직무만족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4. 집단 REBT 프로그램을 중재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조직몰입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5. 집단 REBT 프로그램을 중재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이직의도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란? 간호사는 병원 종사 인력 중에서 가장 큰 전문인력 집단이며, 병원의 효율성 증진 및 경쟁력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요소[1]로서 병원의 조직관리에서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간호사는 제한된 인적자원과 다양한 역할을 요구하는 직무환경으로 인해 점차 직무스트레스가 증가되고 있고[2]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간호업무 특성상 다른 직업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평가된다[3].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끼치는 부정적 영향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흔히 환자를 돌보는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과는 반대로 행동해야 하는 감정적 부조화를 겪으면서 발생한다. 이런 간호사는 직업건강심리 상태의 부정적인 경험들로 인해 점차 소진에 이르게 되고[5], 또한 주요 직무태도 변인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과적으로 이직을 경험하게 된다[2]. 따라서, 이들 변인들을 관리하기 위해 조직적 차원에서의 관리와 함께 개인적 차원의 대처 전략에 대한 중재가 필요한데[4], 개인적 차원의 대처기술 훈련 중 하나로 인지적 모델을 적용하여 간호사의 비합리적인 신념을 합리적인 신념으로 바꾸어 주어,합리적인 생각과 행동으로 바뀌게 하여 스트레스와 소진,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다[6].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증가되는 이유는? 간호사는 병원 종사 인력 중에서 가장 큰 전문인력 집단이며, 병원의 효율성 증진 및 경쟁력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요소[1]로서 병원의 조직관리에서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간호사는 제한된 인적자원과 다양한 역할을 요구하는 직무환경으로 인해 점차 직무스트레스가 증가되고 있고[2]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간호업무 특성상 다른 직업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평가된다[3]. 따라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리는 간호사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환자에게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oon SJ, Han SS. A predictive model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5):633-641. https://doi.org/10.4040/jkan.2011.41.5.633 

  2. Mosadeghrad AM, Ferlie E, Rosenberg D.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quality of working life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employees. Health Services Management Research. 2011;24(4):170-181. https://doi.org/10.1258/hsmr.2011.011009 

  3. AbuAlRub RF. Job stress, job performance, and social support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4;36(1):73-78. 

  4. Kim JH, Park SA.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job stress responses of the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3;9(2):217-232. 

  5. Brewer EW, Clippard L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student support services personnel.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2002;13(2):169-186. https://doi.org/10.1002/hrdq.1022 

  6. Ohue T, Moriyama M, Nakaya T. Examination of a cognitive model of stress, burnout, and intention to resign for Japanese nurses.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1;8(1):76-86. https://doi.org/10.1111/j.1742-7924.2010.00161.x 

  7. Ellis A. Changing rational-emotive therapy (RET) to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EBT). Journal of Rational Emotive and Cognitive Behavior Therapy. 1995;13(2):85-89. 

  8. Park KA, Back HS, Han JS. The effects of REBT group counseling on the job stress,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self-esteem of nurse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7;8(3):951-963. 

  9. Baek HS, Yu SJ. Effects of REBT group counseling o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nurses with high scores on dysfunctional attitud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5;11(4):415-423. 

  10. Kwon JO, Kim EY.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4):414-423.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4.414 

  11. Kang KN.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2):155-165.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2.155 

  12. Choi GH.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an empowerment program for clinical nurses [dissertation]. Busan: Kosin University; 2014. p. 1-110. 

  13. Oh EY, Jung MS. Effects of a cognitive training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1):1-13. https://doi.org/10.4040/jkan.2017.47.1.1 

  14. Kim CK, Lee SY, Lee YJ, Jeong JJ, Choi WY.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2nd ed. Seoul: Hakjisa; 2016. p. 13-337. 

  15. Chang SJ, Koh SB, Kang D,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 Medicine. 2005;17(4):297-317. 

  16. Demerouti E, Bakker AB, Vardakou I, Kantas A. The convergent validity of two burnout instruments: A multitrait-multimethod analysis.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2003;19(1):12-23. https://doi.org/10.1027//1015-5759.19.1.12 

  17. Kim MY.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ain and burnout [master's thesis]. Cheongju: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04. p. 1-75. 

  18. Slavitt DB, Stamps PL, Piedmont EB, Haase AM.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1978;27(2):114-120. 

  19. Park HT.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of the nurse administrators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nursing service.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97;27(1):228-241. https://doi.org/10.4040/jnas.1997.27.1.228 

  20. Mowday RT, Steers RM, Porter LW.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979;14(2):224-247.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72-1 

  21. Kim KJ. An empirical study on the turnover making process model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1986. p. 1-100. 

  22. Mobley WH.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Reading (MA): Addison-Wesley; 1982. p. 10-11. 

  23. Kim JH. A meta-analysis of effects of job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s (SM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4):529-539. https://doi.org/10.4040/jkan.2007.37.4.529 

  24. Na BJ, Kim EJ. A study o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occupational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3):260-269.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260 

  25. Cho WS, You MS. Problems and prospects of nursing research on job stres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1):63-75.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1.63 

  26. Han YH, Sohn IS, Park KO, Kang KH.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ism, job involv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2):17-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