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판단모델에 근거한 디브리핑 적용이 임종간호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비무작위 대조시험설계
Effect of Debriefing Based on the Clinical Judgment Model on Simulation Based Learning Outcomes of End-of-Life Care for Nursing Students: A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6, 2017년, pp.842 - 853  

정경인 (대동대학교 간호학부) ,  최자윤 (전남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effects of debriefing based on the clinical judgment model for nursing students on their knowledge, skill performance, clinical judgment, self-confidence and learner satisfaction during simulation based end-of-life care (ELC) education. Methods: Simul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임종간호 교육을 개발하고 Tanner [13]의 임상판단모델에 근거한 디브리핑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 관련 지식, 임상수행능력, 임상판단력, 자신감 및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며, 기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직접 관찰을 통해 임상수행능력과 임상판단력을 사전·사후 평가함으로써 효과적인 디브리핑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시뮬레이션 임종간호 교육 시 임상판단모델에 근거한 디브리핑을 적용한 중재군은 일반적인 디브리핑을 적용한 대조군에 비해 임종간호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시뮬레이션 임종간호 교육 시 임상판단모델에 근거한 디브리핑을 적용한 중재군은 일반적인 디브리핑을 적용한 대조군에 비해 임상수행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3. 시뮬레이션 임종간호 교육 시 임상판단모델에 근거한 디브리핑을 적용한 중재군은 일반적인 디브리핑을 적용한 대조군에 비해 임상판단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4. 시뮬레이션 임종간호 교육 시 임상판단모델에 근거한 디브리핑을 적용한 중재군은 일반적인 디브리핑을 적용한 대조군에 비해 자신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5. 시뮬레이션 임종간호 교육 시 임상판단모델에 근거한 디브리핑을 적용한 중재군은 일반적인 디브리핑을 적용한 대조군에 비해 만족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음은 무엇인가? 죽음은 모든 인간이 필연적으로 맞게 되는 중대하면서도 자연적이고 정상적인 삶의 한 과정이다. 우리나라 사망통계 자료에 따르면 고령화와 함께 만성적인 질환뿐만 아니라 갑작스러운 사고로 인해 사망자 26만 명 중 18만 명(70%)이 의료기관에서 사망하였고 향후 10년 내 전체 사망자 중 의료기관 내 사망비율은 95% 수준을 넘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1].
최근 시뮬레이션 교육의 주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최근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구조화된 디브리핑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국내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주제는 수술전후환자간호, 수혈환자간호, 전문 혹은 기본 소생술, 흡인간호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디브리핑의 종류는 비디오 활용 디브리핑, 구두 디브리핑, 임상판단모델 활용 디브리핑 등을 다루고 있고 이들 디브리핑을 서로 비교하여 우수한 디브리핑을 확인한 연구와 구조화된 디브리핑을 적용하여 효과를 확인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결과변수로는 지식,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판단력 등이 확인 되었다[5,7-10].
시뮬레이션 교육은 어느 단계로 나누어지는가? 이 방법은 간호대학생이 강의에서 습득한 지식을 임상현장에 적용할 수 있게 실제 임상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여 안전하면서도 실제 임상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간호를 반복 재현하여 연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5]. 시뮬레이션 교육은 브리핑, 시뮬레이션, 디브리핑의 세 단계로 나누어지는데, 이 중 디브리핑은 시뮬레이션 학습의 핵심요소로 학습성과를 가장 많이 얻을 수 있는 교수전략이다[6]. 디브리핑을 통해 학습자는 수행과정에 대해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며, 이러한 자기성찰을 통해 수행과정으로부터 교훈을 얻게 되어 앞으로 반복될 상황에서 똑같은 실수를 하지 않게 됨으로써 수행 자신감을 얻기 때문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2015 [cited 2017 May 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 Caton AP, Klemm P. Introduction of novice oncology nurses to end-of-life care.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6;10(5):604-608. https://doi.org/10.1188/06.CJON.604-608 

  3. Hamilton CA. The simulation imperative of end-of-life educ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010;6(4):131-138. https://doi.org/10.1016/j.ecns.2009.08.002 

  4. Sorensen R, Iedema R. Emotional labour: Clinicians' attitudes to death and dying. Journal of Health Organization and Management. 2009;23(1):5-22. https://doi.org/10.1108/14777260910942524 

  5. Eun Y, Bang SY. Effects of the Lasater's clinical rubric of debriefing in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train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4):516-527.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516 

  6. Raemer D, Anderson M, Cheng A. Fanning R, Nadkarni V, Savoldelli G. Research regarding debriefing as part of the learning process. Simulation in Healthcare. 2011;6 Suppl:S52-S57. https://doi.org/10.1097/SIH.0b013e31822724d0 

  7. Kim EJ. Nursing students'clinical judgment skills in simulation: Using Tanner's clinical judgment model.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2):212-222.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212 

  8. Kim HJ. The effects of suction care self video-based debriefing-assisted learning in the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5;22(1):88-97. 

  9. Koh JH, Hur HK.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basic life support utilizing video-assisted debriefing on non-technical and technical skills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6;28(2):169-179. https://doi.org/10.7475/kjan.2016.28.2.169 

  10. Oh HK. Effects of debriefing applying the clinical judgment rubric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skill performance and simulation effectiveness.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Letters. 2015;116:104-109. https://doi.org/10.14257/astl.2015.116.22 

  11. Levett-Jones T, Lapkin 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 debriefing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2014;34(6):e58-e63. https://doi.org/10.1016/j.nedt.2013.09.020 

  12. Al Sabei SD, Lasater K. Simulation debriefing for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A concept analysis. Nurse Education Today. 2016;45:42-47. https://doi.org/10.1016/j.nedt.2016.06.008 

  13. Tanner CA.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6;45(6):204-211. 

  14. Lasater K.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Using simulation to create an assessment rubric.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7;46(11):496-503. 

  15. Nahm FS. Understanding effect sizes. Hanyang Medical Reviews. 2015;35:40-43. https://doi.org/10.7599/hmr.2015.35.1.40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troduction to hospice palliative care for palliative medical team members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c2012 [cited 2017 May 1]. Available from: http://hospice.cancer.go.kr/index.do. 

  17. METI. Program for Nursing Curriculum Integration (PNCI) 2. Seoul: Yaksan Publishing Co.; 2007. p. 1-50. 

  18. Shin H, Park CG, Shim K. The Korean version of the Lasater clinical judgment rubric: A validation study. Nurse Education Today. 2015;35(1):68-72. https://doi.org/10.1016/j.nedt.2014.06.009 

  19. Moreland SS, Lemieux ML, Myers A. End-of-life care and the use of simulation in a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2012;9(1). https://doi.org/10.1515/1548-923X.2405 

  20. Kim CS. Development and effect of high fidelity patient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dissertation]. Seoul: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2. p. 1-55. 

  21. Jeong KI. Attitudes toward death and terminal car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Daedong University. 2013;20:235-249. 

  22. Jeffries PR. A framework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imulations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005;26(2):96-103. 

  23. Ryoo EN, Ha EH. The importance of debriefing in simulation-based learning: Comparison between debriefing and no debriefing.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2015;33(12):538-545. https://doi.org/10.1097/CIN.0000000000000194 

  24. Chronister C, Brown D. Comparison of simulation debriefing method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012;8(7):e281-e288. https://doi.org/10.1016/j.ecns.2010.12.005 

  25. Kelly MA, Hager P, Gallagher R. What matters most? Students' rankings of simulation components that contribute to clinical judgment.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4;53(2):97-101. https://doi.org/10.3928/01484834-20140122-08 

  26. Lavoie P, Pepin J, Boyer L. Reflective debriefing to promote novice nurses' clinical judgment after high-fidelity clinical simulation: A pilot test. Dynamics. 2013;24(4):36-41. 

  27. Ha YK, Koh CK. The effects of mechanical ventilation simulation on the clinical judgment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2;9(2):119-126. 

  28. Mariani B, Cantrell MA, Meakim C, Prieto P, Dreifuerst KT. Structured debriefing and students' clinical judgment abilities in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013;9(5):e147-e155. https://doi.org/10.1016/j.ecns.2011.11.009 

  29. Ha EH, Song HS. The effects of structured self-debriefing using on the clinic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after simul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5;21(4):445-454.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4.445 

  30.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ECD PISA in Focus [Internet]. Seou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2015 [cited 2017 Sep 1]. Available from: http://mcms.mofa.go.kr/webmodule/htsboard/template/read/hbdlegationread.jsp?typeID15&boardid11076&seqno1170376&cTITLE&t&pagenum1&tableNameTYPE_LEGATION&pc&dc&wc&lu&vu&iu&d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