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성찰질문과 글쓰기를 이용한 디브리핑의 효과 - 복부수술 후 환자 간호에서
The Effect of Debriefing using Reflective Questions and Writing in Simulation Training - Post Operative Care of Abdominal Surgery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3 no.4, 2017년, pp.463 - 473  

방설영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은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ebriefing using reflection questions and writing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efficacy, and clinical judgement ability in simulation of post-operative care of abdominal surgery. Methods: The research method was a nonequiva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HPS(Laerdal®SimMan®, Medical., NY, USA)를 이용하여 복부수술 후 환자를 대상으로 디브리핑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복부수술 후 환자 간호시뮬레이션을 하고 LCJR을 이용한 성찰질문과 글쓰기를 이용한 디브리핑의 효과를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효능감, 임상판단력으로 파악하여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효과적인 디브리핑 방법을 제안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복부수술 후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행하고, LCJR을 이용한 성찰질문과 글쓰기를 이용한 디브리핑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 임상판단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복부수술 후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행하고 LCJR을 이용한 성찰질문과 글쓰기 디브리핑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부수술 후 환자 간호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실시하고, LCJR을 이용한 성찰질문과 글쓰기 디브리핑을 한 후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과 임상판단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효과적인 시뮬레이션 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가설2. 실험군은 대보군보다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부가설 3-3.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반응 영역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1.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비판적 사고성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부가설 3-4.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성찰 영역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부가설 3-1.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인지 영역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3.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임상판단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부가설 3-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해석 영역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에서 임상실습 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간호학에서 임상실습 교육의 목적은 간호과정을 직접 체험하여 임상실무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Shepherd, Kelly, Skene, White, 2007). 그러나 간호교육기관의 증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습기관(Fanning & Gaba, 2007; Ha, 2014) 및 간호대학생의 간호행위에 대한 법적근거가 없고, 의료소비자들의 권리의식 강화 및 환자 안전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의료 환경으로 인해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이 직접적인 간호 수행보다는 관찰, 또는 보조 업무 위주로 이루어져 임상실무능력을 함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초래한다(Joo, Sohng, & Kim, 2015).
디브리핑은 어떤 교수학습 전략인가? 시뮬레이션 교육의 마지막 과정인 디브리핑은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근거로 수행한 간호활동에 대해 성찰과 토론, 피드백을 통해 경험을 구조화하여 학습 성과를 성취하는 중요한 시간이다(Kang, Kim, & Oh, 2013). 그리고 교수와 학습자가 임상적 상황을 재검토하는 과정으로 성찰적 학습과정을 통한 임상추론과 판단능력 개발을 촉진하고 성찰 학습을 통해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경험했던 임상문제의 해결을 촉진하는 교수 학습 전략이다(Fanning & Gaba, 2007). 특히 구조적 디브리핑은 시뮬레이션 경험을 조직화하고 생각을 구조화시킴으로써 임상판단력, 문제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 자신감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하였다(Lasater, 2007, 2011).
간호과정에서 임상실무능력을 함양하는데 어려움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학에서 임상실습 교육의 목적은 간호과정을 직접 체험하여 임상실무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Shepherd, Kelly, Skene, White, 2007). 그러나 간호교육기관의 증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습기관(Fanning & Gaba, 2007; Ha, 2014) 및 간호대학생의 간호행위에 대한 법적근거가 없고, 의료소비자들의 권리의식 강화 및 환자 안전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의료 환경으로 인해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이 직접적인 간호 수행보다는 관찰, 또는 보조 업무 위주로 이루어져 임상실무능력을 함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초래한다(Joo, Sohng, & Kim, 2015).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교육을 실시하는데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대학생이 강의에서 습득하게 되는 지식과 능력을 임상현장에 적용할 수 있고(Cato, Lasater, & Peeples, 2009), 임상해결능력을 학습함으로써 비판적 사고를 통해 간호역량이 향상되어 전 세계적으로 학습프로그램에 적용되고 있다(Lasater, 2007, 2011; Lasater & Nielsen, 2009; Lestander, Lehto, & Enqstrom,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dura, A. (1997). The anatomy of stages of change.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 8-10. 

  2. Cant, R. P., & Cooper, S. J. (2010).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1), 3-15.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9.05240.x 

  3. Cato, M. L., Lasater, K., & Peeples, A. I. (2009). Nursing students' self-assessment of their simulation experience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2), 105-108. 

  4. Choi, Y. A. (2006). A Study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imcheon Science College, 32, 17-23. 

  5. Eun, Y., & Bang, S. Y. (2016). Effects of the Lasater's clinical rubric of debriefing in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train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4), 516-527. http://doi.org/10.5392/JKCA.2016.16.04.516 

  6. Fanning, R. M., & Gaba, D. M. (2007). The role of debriefing in simulation-based learning. Simulation in Healthcare, 2(2), 115-125. 

  7. Ha, Y. K. (2014). The Effects of debriefing utilizing the clinical judgment rubric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judgment,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8. Hur, H. K., Park, S. M., Shin, Y. H., Lim, Y. M., Kim, K. Y., Kim, K. K., et al. (2013).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evaluation of an emergent care management simulation practicum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2), 228-240. https://dx.doi.org/10.5977/jkasne.2013.19.2.228 

  9. Hur, H. K., & Roh, Y. S. (2013). Effects of a simulation based clinical reasoning practice program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5), 574-584. http://doi.org/10.5977/jkasne.2013.19.2.228 

  10. Joo, G. E., Sohng, K. Y., & Kim, H. J. (2015). Effects of a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on nursing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for blood transfusion. Korean Journal of Fundamantals of Nursing, 22(1), 49-58. https://doi.org/10.7739/jkafn.2015.22.1.49 

  11. Jung, K. I. (2015). The Effect of end-of-life care(ELC) education applied by the debriefing based on the clinical judgment model on learning outcomes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2. Kang, H. Y., Kim, E. J., & Oh, Y. J. (2013). Development of a scenario and evaluation for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patients with hyperkalemia of liver cirrhosis in emergency uni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9), 312-321. http://doi.org/10.5392/JKCA.2013.13.09.312 

  13. Kim, A. Y.(1997). A study on the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its correlates. Korea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1(2), 1-19. 

  14. Kim, E. J. (2014). Nursing students' clinical judgment skills in simulation: using Tanner's clinical judgment model. The Journal of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 212-222. http://doi.org/10.5977/jkasne.2014.20.2.212 

  15.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2015, April). Medical simulation term search. Retrieved September 20, 2016 from http://kossh.or.kr/kossh_resource/definition_search.php 

  16. Lasater, K. (2007). Clinical judgement development: Using simulation to create an assessment rubric.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6(11), 496-503. 

  17. Lasater, K. (2011). Clinical judgment: The last frontier for evaluation.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1(2), 86-92. https://doi.org/10.1016/j.nepr.2010.11.013 

  18. Lasater, K., & Nielsen, A. (2009). Reflective journaling for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8(1), 40-44. 

  19. Lestander, O., Lehto, N., & Enqstrom, A. (2016). Nursing students's perceptions of learning after high fidelity simulation: Effects of a three-step post simulation reflection model. Nurse Education Today, 40(May), 219-224. http://doi.org/10.1016/j.nedt.2016.03.011 

  20. Mariani, B., Cantrell, M. A., Meakim, C., Prieto, P., & Dreifuerst, K. T.(2013). Structured debriefing and students' clinical judgment abilities in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9(5), 147-155. http://dx.doi.org/10.1016/j.ecns.2011.11.009 

  21. Nielsen, A., Stagnell, S., & Jester, P. (2007). Guide for reflection using the clinical judgement model.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6(11), 513-516. 

  22. Oh, H. K. (2015). Effects of simulation based practice education on critical thinking, clinical judgement, and learning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5(5), 187-194. http://dx.doi.org/10.14257/AJMAHS.2015.10.12 

  23. Oh, Y. J. (2016). The Application of a debriefing based on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to nursing simullation learning and its effec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24. Park, I. H. (2014). The Effects of video-aided feedback in pre and post operative nursing simulation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ersiy, Asan. 

  25. Petranek, C. (2000). Written debriefing: The next vital step in learning with simulations. Article in Simulation & Gaming, 31(1), 108-118. 

  26. Shepherd, I. A., Kelly, C. M., Skene, F. M., & White, K. T. (2007). Enhancing graduate nurses' health assessment knowledge and skills using low-fidelity adult human simulation. Simulation in Healthcare, 2(1), 16-24. http://doi.org/10.1097/SIH.0b013e318030c8dd 

  27. Shin, H. S., & Sim, G. G. (2010).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ped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2), 147-155. https://doi.org/10.4094/chnr.2015.21.2.160 

  28. Sim, G. G. (201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asater clinical judgement rubric in Korea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9. Yoon, J. (1999).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30. Yu, B. M., Jeon, J. C., & Park, H. J. (2013). The Effects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type of reflec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9(4), 837-8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