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Pregnant women and those of childbearing age are a well-known sensitive population for human mercury exposur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and enrich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to reduce the adverse health effects of mercury exposure. Methods: A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인체 수은 노출의 민감집단인 임신부와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인체 수은 노출의 지식과 위험 인식, 위해도 소통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우리나라 인체 수은 저감 정책과 중재활동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임신부와 가임기 여성의 인체 수은 노출의 위험에 대한 지식과 인식을 자기기입 설문조사를 이용한 단면연구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15-17) 인구사회적 특성(6 문항), 인체 수은 노출 위험에 대한 지식과 인식(16 문항), 건강정보 문해력(2 문항), 인체 수은 노출 정보 습득(5 문항), 수은과 건강에 대한 인식(22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Table 1 & Supplement 1).

가설 설정

  • 우리나라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03년, 환경부국립과학원이 2010년, 한국수은관리연구회가 2010 년 어패류 섭취 권고를 발표한 바 있다. 우리나라 전체 국민과, 특별한 관심이 더 필요한 임신부와 가임기 여성에게 이미 마련된 생선섭취 지침의 인지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이 인체 수은 노출 저감을 위한 정책과 중재활동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부와 가임기 여성은 인체 수은 노출의 위험도를 다른 위험 요인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로 인식하고 있는가? 0-9점 시각평가척도를 이용하여 16개 환경적 건강 위험요인의 주관적 위험 인식 점수를 비교한 결과 수은은 5위를 차지하여 비교적 높은 등수를 나타내 었다. 주관적 위험 인식 점수 평균의 등수는 폭염, 탄 음식, 곰팡이, 음주, 식중독보다 높았으며, 방사능물질, 흡연, 농약, 석면보다 낮았다. 아주 조금이 라도 수은이 몸에 들어오면 피해를 유발한다는 응답이 41.
수은에 대한 국제적 공동 대응을 위한 협약은 무엇인가? 유엔환경계획(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의 수은에 대한 국제적 공동대응을 위한 ‘미나마타협약(Minamata Convention on Mercury)’은 취약·민감 인구집단을 포함하여 인체 수은 노출 저감을 위한 근거기반 전략, 프로그램 수행, 공공정보 제공을 통한 인식 제고를 요구하고 있다. 3) 우리나라는 2014년 미나마타협약에 서명하였고 발효를 대비한 국내 이행기반을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태아의 수은 노출 경로는 무엇인가? 22)로 감소하는 추세이나 여전히 서구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4) 수은은 태반 장벽(placental barrier)과 뇌장벽(blood brain barrier)을 쉽게 통과할 수 있어 모체에서 태아로 전달될 수 있다. 5,6) 우리나라 임신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혈중 총 수은과 메틸수은의 제대혈 대 모체의 비는 각각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ATSDR's Substance Priority List. Available: https://www.atsdr.cdc.gov/spl/index.html [accessed 30 August 2017] 

  2.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ATSDR). Toxicological Profile for Mercury;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tlanta, USA, 1999. 

  3. UN Environment. Minamata Convention on Mercury: http://www.mercuryconvention.org/Portals/11/documents/Booklets/Minamata%20Convention%20on%20Mercury_booklet_English.pdf [accessed 30 August 2017] 

  4. Seo JW, Kim BG, Kim YM, Kim RB, Chung JY, Lee KM, et al. Trend of blood lead, mercury, and cadmium levels in Korean population: data analysi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2015;187(3):146. 

  5. Gundacker C, Hengstschlager M. The role of the placenta in fetal exposure to heavy metals. Wiener medizinische Wochenschrift. 2012;162(9-10):201-206. 

  6. Caserta D, Graziano A, Lo Monte G, Bordi G, Moscarini M. Heavy metals and placental fetal-maternal barrier: a mini-review on the major concerns. European review for medical and pharmacological sciences. 2013;17(16):2198-2206. 

  7. Kim YM, Chung JY, An HS, Park SY, Kim BG, Bae JW, et al. Biomonitoring of Lead, Cadmium,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Levels in Maternal Blood and in Umbilical Cord Blood at Birth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15;12(10):13482-93. 

  8. Seo JH, Kim BG, Kim YM, Kim RB, Chung JY, Hong YS. Lead, Mercury and Cadmium Concentration in Blood and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Preschoolers. J Environ Health Sci. 2014;40(4):279-293. 

  9. Wigle DT, Arbuckle TE, Turner MC, Berube A, Yang Q, Liu S, et al. Epidemiologic evidence of relationships between reproductive and child health outcomes and environmental chemical contaminants. J Toxicol Environ Health B Crit Rev. 2008; 11(5-6):373-517. 

  10. Jin L, Zhang L, Li Z, Liu JM, Ye R, Ren A. Placental concentrations of mercury, lead, cadmium, and arsenic and Athe risk of neural tube defects in a Chinese population. Reproductive toxicology. 2013; 35:25-31. 

  11. Cohen JT, Bellinger DC, Shaywitz BA. A quantitative analysis of prenatal methyl mercury exposure and cognitive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05;29(4):353-365. 

  12. Kim DS, Ahn SC, Chung HU, Kwon YM, Choi KS. A Study on Schoolchildren’s Mercury Exposure and Related Health Effects in High Mercury Exposure Areas in Korea. J Environ Health Sci. 2015;41(4):268-276. 

  13. Taylor CM, Golding J, Emond AM. Lead, cadmium and mercury levels in pregnancy: the need for international consensus on levels of concern. Journal of developmental origins of health and disease. 2014;5(1):16-30. 

  14.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Risk Communication. Available: https://www.epa.gov/risk/risk-communication [accessed 30 August 2017] 

  15. Gen S. 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ffect Verification System of Risk Communication by MFDS. Osong: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P. 22-23. 

  16. Korea Environment Institute. A Study on Establishing a Risk Communication System to Respond to Environmental Health Issues. Inche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2013. p. 133-142 

  17. Yoshida M, Mizoguchi S, Yamashita M, Nakatsuka M. Recognition of benefits of folate and feto-toxicities of mercury in Japanese pregnant women. Matern Health. 2010;50:568-574. (In Japanese) 

  18. Passos CJ, Mergler D, Lemire M, Fillion M, Guimaraes JR. Fish consumption and bioindicators of inorganic mercury exposure. Sci Total Environ. 2007;373(1):68-76. 

  19. You CH, Kim BG, Kim YM, Lee SA, Kim RB, Seo JW, et al.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mercury intake and blood mercury level in Korea. J Korean Med Sci. 2014;29(2):176-182. 

  20. Taylor CM, Golding J, Emond AM. Blood mercury levels and fish consumption in pregnancy: Risks and benefits for birth outcomes in a prospective observational birth cohort. Int J Hyg Environ Health. 2016;219(6):513-520. 

  21. Ser PH, Watanabe C. Fish advisories in the USA and Japan: risk communication and public awareness of a common idea with different backgrounds. Asia Pac J Clin Nutr. 2012;21(4):487-49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