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만인 대학생의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의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ealth Status Perception of Obes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0 no.3, 2017년, pp.336 - 343  

김미진 (대동대학교 간호학과) ,  김경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perception of obese college students. Methods: We used the data from the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951 obese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비만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위험요인으로 간과하기 쉬운 비만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이들을 위한 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시기에 건강관리가 평생의 건강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건강행태인 흡연, 음주, 신체활동과 정신건강인 우울, 스트레스, 수면시간은 일반대학생, 노인, 비만인 성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12-16]. 대학생 시기는 그 어느 연령대보다도 더 많은 건강위험 행위에 노출 되고 어른의 간섭 없이 무질서하고 자유롭게 생활함으로써 스스로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건강위험 행위들이 습관화 되어 버리기 쉬운 취약 계층이다. 그리고 한번 습관화되면 성인기까지 이어지게 된다 [17]. 하지만 대학생 시기는 발달 과정 상 자아의식이 성립이 되고 부모로부터 독립된 생활을 하게 되면서 스스로 자신의 건강관리를 해 나갈 수 있는 때이며[18], 건강위험 행위들이 완전히 고착되기 전으로 성인에 비해 수정 가능성이 더 크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19]. 그러므로 대학생시기에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행태와 정신건강을 확인하고 수정해 나가는 것은 평생의 건강관리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어떠한 위험이 있는가? 비만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그치지 않고 개인의 건강행태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2].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높을수록 죽상경화증, 심혈관질환, 암으로 사망할 위험이 더 높았으며, 한국인의 사망률 증가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 비만인 경우 자신에게 발생 할 건강문제의 위험성을 인지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건강상태를 실제 건강상태보다 더 좋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5].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이란?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이란 자신의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건강상태에 대해 자기 스스로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써 이러한 평가는 자신의 건강 관련 행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5]. 주관적 건강상태는 건강문제 및 사망률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 됨에도 불구하고[7,8] 자신의 건강상태를 바르게 인식하지 못하고 만약 잘못된 건강상태로 인식을 하게 된다면 향후 건강관리 소홀로 인한 질병이환의 위험성은 더 높아질 것이다[5,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ronic Disease Management Division in Disease control center. Announcing results of the 2016 Community Health Survey: 2008-2016 Regional Health Statistics at a Glance [Book 1 Summary]. Disease Control Center. 2017;1-302. 

  2. Park SH. The developmen to fWEB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udy the nutrition knowledge for obesity, dietary behavior for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Konkuk University; 2010. p. 1-81. 

  3. Jee SH, Sull JW, Park J, Lee SY, Ohrr H, Guallar E, et al. Bodymass index and mortality in Korean men and wome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6;355(8):779-787. 

  4. Lee BH.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perception in Korea Women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p. 1-48. 

  5. Idler EL, Angel RJ.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in the NHA NES-1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9;80(4):446-452. 

  6. Cho BY, Lee JY, Yong JH. Behavioral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obesit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Health & Fundamental Medical Science. 2012;5(2):58-63. 

  7. Jylhaa M. What is self-rated health and why does it predict mortality? Towards a unified conceptual model. Social Science & Medicine. 2009;69(3):307-316. 

  8. MacLean J, Kinley DJ, Jacobi F, Bolton, JM, Sareen J.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onditions and suicidal behavior among those with mood disorder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1;130(1):245-250. 

  9. Mossey JM, Shapiro E. Self-rated health: A predictor of mortality among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82;72(8):800-808. 

  10. Kasl SV, Cobb S. Health behavior, illness behavior, and sick role behavior. I. and Illness behavior. Archives of Environmental Health, 1966;12(2):246-266. 

  11. World Health Organization. Mental health: A state of well-being 2014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ited 2017 April 19]. Available from: http://www.who.int/features/factfiles/mental_health/en/ 

  12. Ahn BC, Joung H. Self-rated health and its indicators: A case of the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06;8(1):38-42. 

  13. Lee HS.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self rated health among obese Korean men and women. Seoul: Yonsei University; 2015. p. 1-92. 

  14. Nam YH, Nam JR.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elderly people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11;16(4):145-162. 

  15. Lee HY, Baek JT, Cho YC. Factors associate with self-rated health status for the elderlies in urban area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0):569-581. 

  16. Yoo SY, Shim YS. The effect of weight control intention and it's results on perceived subjective health.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16;11(3):287-296. 

  17. Lee JJ, Lee CW, Woo BW. Youth risk behavior survey of students at a university in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003;29(2):106-117. 

  18. Kim JH, Han JY. The effect health promotion behaviors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2;21(1):259-270. 

  19. Cho BY, Lee JY, Yong JH. Behavioral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obesit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Health & Fundamental Medicine Science. 2012;5(2):58-63. 

  20. Kwon SJ, Kang JH, Kim NJ, Kim RJ, Kim SY, Kim SI, et al.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behaviors with smoking, drinking situation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university.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2012;129(2):145-153. 

  21. Kim AJ, Park HS. Relationship of stre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Yangsaeng in Korean part-time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9;15(2):241-250. 

  22. Na BS, Kim WK, Park MS, Kim WK. Differe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0;19(2):969-977. 

  23. Oh HS, Lee WJ. Analysis for confounding effects of gender and self perception body image on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in obese college student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5;41(4):63-74. 

  24. Kwak HK, Lee MY, Kim MJ. Comparisons of body image perception, health 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ased on the self-rated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1;16(6):672-682. 

  25. Kim JH. The impact of health care service utilization on disparities in self-rated health: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care service utiliz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015;46:1-24. 

  26. Lee SG, Kim HJ, Cho UH, Nam JM, Jung WJ, Chang SJ. The effects of regional contextual factors on self-rated health status. The 54th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nference in 2002. 

  27. Lee MJ, Cho YC. Self-perceived psychosocial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2013;14(6):2828-2838. 

  28. An JS, Kim HJ.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ealth inequality in Korea. Studies on Korean Youth. 2013;24(2):205-2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