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인계수시스템을 이용한 대형할인점의 재실자밀도 예측
Prediction of Occupant Load Density using People Counting System in Discount Store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1 no.6, 2017년, pp.53 - 59  

서동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도시연구소) ,  황은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도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대형할인점에 대한 재실자밀도 예측을 통하여 현행 기준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연구로서, PCS (People Counting System)을 이용한 실측조사와 내부자료조사를 수행하여 전국의 대형할인점에 대한 재실인원 및 95% 신뢰구간을 도출하였다. 실측조사의 결과, 최대재실인원이 발생되는 시각은 16~18시로 나타났으며, 크리스마스이브와 설날 전 주말에 최대재실인원이 나타났다. 최대재실인원의 결과는 판매건수에 의한 내부자료와의 관계를 통해 회귀식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 식은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50개의 대형할인점의 내부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95% 신뢰구간은 $2.7{\sim}2.9m^2/pers.$ 으로 도출되었고, 국내외 기준과 비교했을 때 오차는 크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수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대형할인점의 재실자밀도 기준$2.7m^2/pers.$ 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current standards by predicting the density of the occupant load density for discount stores. An internal data survey as well as an actual survey using a People Counting System (PCS) were employed to ascertain the number of occupants and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형할인점의 재실자밀도 기준의 적합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자동으로 입‧출입을 감지하고 이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시간 입력이 가능한 무인계수시스템(People Counting System; PCS)을 이용한 실시간 정보를 수집(이하, 실측조사)하는 방법과 조사대상물 내에서 자체적으로 수집하는 판매건수(이하, 내부자료조사)를 조사하였다. 또한 실측조사와 내부자료조사의 결과를 비교하여 관계식을 도출하고 선행연구보다 확장된 자료 로서 현행기준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 선행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진행(4,5)하였지만 이벤트의 주위기간을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느 시점에 최대 재실인원이 존재할 것이라는 예상은 연구조건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벤트 일자의 주위도 고려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더욱이 평일과 주말과의 차이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조사시 기는 2016년 10월 3일부터 2017년 2월 5일까지 4개월간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 재실인원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대형할인점의 유형 및 지역여건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표본의 수집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바와 같이 내부자료조사(판매건수)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여기서 판매건수는 유형 및 지역여건 등의 상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전국의 대형할인점 중 동일한 점포에 대하여 유형 및 지역으로 구분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인계수시스템이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형할인점의 재실자밀도 기준의 적합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자동으로 입‧출입을 감지하고 이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시간 입력이 가능한 무인계수시스템(People Counting System; PCS)을 이용한 실시간 정보를 수집(이하, 실측조사)하는 방법과 조사대상물내에서 자체적으로 수집하는 판매건수(이하, 내부자료조사)를 조사하였다. 또한 실측조사와 내부자료조사의 결과를 비교하여 관계식을 도출하고 선행연구보다 확장된 자료로서 현행기준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건축물 내 상주하는 인원을 예측하여 활용하는 곳은? 건축물 내 상주하는 인원을 예측하는 것은 건축‧환경설계, 성능위주 화재안전설계, 피난용량산정, 소방시설 설치 및 위험성평가 등 인적인자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재실인원은 이용하는 건물의 용도 및 특성별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고, 정원(Fixed number of people)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PCS는 유동인력을 파악해 검출, 추적 및 계수하는 것인데 그 목적은 무엇인가? PCS는 유동인력을 파악해 검출, 추적 및 계수(Counting)하는 것으로서 제한된 구역 내 재실인원을 측정하는 시스템이다. 대형상가나 쇼핑몰, 공연장 및 박물관 등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건물에서 실시간 방문인원 또는 이동 동선 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13) 일반적으로 PCS는 오버헤드(Overhead) 시점에 설치된 단일 카메라 시스템으로 입 ‧ 출입하는 인원을 계수하여 컴퓨터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방식을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 G. Seo and E. K. Hwang,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Occupnat Load Density Considering Safety Ratio of Design",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6, No. 2, pp. 27-33 (2016). 

  2. G. D. Sanctis, J. Kohler and M. Fontana, "Probabilistic Assessment of the Occupant Load Density in Retail Buildings", Fire Safety Journal, Vol. 69, pp. 1-11 (2014). 

  3. S. R. Park and E. K. Hwang, "A Study on the Improvement through the Comparison of Occupant Density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4, No. 3, pp. 253-261 (2014). 

  4. Y. I. Kim, M. O. Youn, J. H. Kim and W. H. Kim, "The Improvement of Evacuation Performance for Discount-Store in Underground",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5, No. 1, pp. 93-99 (2001). 

  5. D. G. Seo, Y. C. Shin, J. Y. Lee and Y. J. Kwon, "An Investigation Study on the Coefficient of Occupants Density for Performance Evacuation Capacity Computation in Building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3, No. 5, pp. 1-8 (2009). 

  6. T. X. Gan, X. G. Xie and Z. R. Hu, "Application of Sample Inventorying Methodology in Surveying Occupant Density at Public Spaces", Procedia Engineering, Vol. 52, pp. 112-118 (2013). 

  7. D. G. Seo and E. K. Hwang, "A Study on the Adequacy Evaluation of Criteria of Occupant Load Factor in Residential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 27, No. 6, pp. 145-153 (2016). 

  8. W. H. Kim, R. Hu and H. Kim, "A Occupant Load Density and Computer Modelling of Evacuation Time in Office Building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3, No. 3, pp. 35-42 (1999). 

  9. E. K. Hwang and H. J. Youn, "A Basic Survey for the Guideline of the Office Occupant Load",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1, No. 6, pp. 45-51 (2011). 

  10. International Code Council (ICC), "International Building Code", Section 1004, Occupant load, Table 1004.1.2. (2012). 

  11. NFPA 101, "Life Safety Code",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USA (2003). 

  12. V. Brannigan and C. Smidts, "Performance Based Fire Safety Regulation under International Uncertainty", Proceedings of Human Behaviour in Fire the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Belfast, Northern Ireland, pp. 411-420 (1998). 

  13. G. N. Ko, Y. S. Lee and N. M. Moon, "People Counting System by Facial Age Group",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51, No. 2, pp. 69-75 (2014). 

  14. The Building Center of Japan, "The Verification Method for Egress Safety, Calculation Examples and Commentray", 2001 Edition, Inoueshoin (2001). 

  15. Department of Building and Housing, "Extract from the New Zealand Building Code", Clauses C1-C6 Protection from Fire (2012). 

  16. Building Department (BD), "Code of Practice for Fire Safety in Buildings", Part B, B4(Assessment of Occupant Capacity), Hongkong (2011). 

  17. BS 9999, "Code of Practice for Fire Safety in the Design, Management and Use of Buildings", BSI Standards Publication, British Standard Institution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