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수용 보류 집단의 성별, 연령별 집단 차이 비교
Consumer Resistance to Smartwatches: Gender and Age Differenc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2, 2017년, pp.447 - 460  

김효정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  나종연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스마트 워치 수용을 보류하고 있는 소비자 집단을 중심으로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40대 소비자 407명의 설문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19.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 분석, t-test, 그리고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적 이점은 모든 성별과 연령 집단에서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복잡성은 여성 소비자 집단, 20대, 그리고 40대 소비자 집단에서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디자인 심미성은 남녀 소비자 집단, 20대 소비자 집단에서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주관적 규범은 여성 소비자 집단, 20대, 그리고 30대 소비자 집단에서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프라이버시 위험은 남성 소비자 집단과 40대 소비자 집단에서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스마트 워치 수용보류 집단의 소비자 저항을 이해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consumer resistance of smart watches, focusing on consumer groups. SPSS 19.0 was used to conduct a descriptive analysis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of the data. This study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 data of 407 consumers. The re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스마트 워치의 수요도가 낮은 이유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어떠한 이유로 소비자들이 스마트 워치 수용을 지연하고 거부하는지에 대한 연구들도 부족한 실정이다[3][5]. 그러므로 본 연구는 스마트 워치에 대한 수용을 보류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 워치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성별과 연령별 소비자 집단으로 분류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Steck & Tan(2016)[8]은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폰의 연장판(extension)으로 뉴스, 날씨, 게임, 소셜 네트워크 등에 접근 가능하며,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기기라고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의 정의를 기반으로 스마트 워치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들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악세사리 기능을 가진 스마트 기기라고 정의하였다.
  • 본 연구는 성별 및 연령별 소비자 집단에 따라 상대적 이점, 복잡성, 디자인 심미성, 주관적 규범, 프라이버시 위험, 기능적 위험 수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표 5]와 같다.
  • 본 연구는 스마트 워치 수용 보류 집단의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성별과 연령별 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스마트 워치 수용을 보류하고 있는 소비자 집단을 성별, 그리고 연령별(20, 30, 40대)로 나누어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스마트 워치의 비용과 효용의 관점에서 소비자 저항에 미치는 긍정적, 그리고 부정적 요인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비용과 효용의 관점에서 혁신 저항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은 첫째, 소비자학 관점에서 효용은 소비자들이 스마트 워치를 통해 얻고자 하는 가치나 혜택들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며, 비용은 스마트 워치와 관련된 잠재적인 소비자 문제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 Ram(1987)[11]의 혁신 저항 모델(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은 소비자의 혁신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인지된 혁신 특성, 소비자 특성, 그리고 확산 메커니즘으로 분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지된 혁신 특성 중에서 소비자 종속적 요인에 초점을 두고 상대적 이점, 복잡성, 그리고 인지된 위험을 중심으로 혁신 저항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혁신 저항 모델을 기반으로 스마트 워치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혁신 저항 모델은 신기술이 확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혁신 저항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으며, 혁신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들과 감소시키는 요인들에 대한 파악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6]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 본 연구의 결론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기 때문에 소비자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스마트 워치 수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지 못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 워치의 장점은 무엇인가? 스마트 워치의 장점은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스마트 워치는 신체에 착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들고 다니기 위한 별도의 가방이나 주머니가 필요하지 않다. 둘째, 스마트 워치 사용 시 양손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햅틱(haptic), 동작 인식, 음성 인식과 같이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자유롭게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스마트 워치는 신체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의 움직임이나 신체 변화를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스마트폰의 경우 신체에 착용 가능할 정도로 가볍지 않아 가방이나 옷의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 스마트 워치를 무엇이라 정의하였는가? Steck & Tan(2016)[8]은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폰의 연장판(extension)으로 뉴스, 날씨, 게임, 소셜 네트워크 등에 접근 가능하며,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기기라고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의 정의를 기반으로 스마트 워치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들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악세사리 기능을 가진 스마트 기기라고 정의하였다.
스마트 워치의 배터리 소모가 빠른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스마트 워치는 배터리 용량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폰과 같이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과 연동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항상 온라인에 연결되어 있어 배터리 소모가 빠른 단점을 가지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R. Rawassizadeh, B. A. Price, and M. Petre, "Wearables: Has the Age of Smartwatches Finally Arrived?,"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58, No.1, pp.45-47, 2015. 

  2. M. E. Cecchinato, A. L. Cox, and J. Bird, "Smartwatches: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In Proceedings of the 33rd Annual ACM Conference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2133-2138, 2015. 

  3. J. Choi and S. Kim, "Is the Smartwatch an IT Product or a Fashion Product?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Smartwatch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63, pp.777-786, 2016. 

  4. https://www.digitaltrends.com/wearables/apple -watch-apps-comparison/ 

  5. S. H. W. Chuah, P. A. Rauschnabel, N. Krey, B. Nguyen, T. Ramayah, and S. Lade, "Wearable Technologies: The Role of Usefulness and Visibility in Smartwatch Adop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65, pp.276-284, 2016. 

  6. E. M.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s, Free Press. New York, 2003. 

  7. http://www.seattletimes.com/business/apple-wa tch-becomes-a-study-on-attention/ 

  8. K. Steck and H. Tan, "Transformation of the Digital Watch: The Evolution and What It Signals," IEEE Consumer Electronics Magazine, Vol.5, No.1, pp.89-92, 2016. 

  9. K. J. Kim and D. H. Shin, "An Acceptance Model for Smart Watches: Implications for the Adoption of Future Wearable Technology," Internet Research, Vol.25, No.4, pp.527-541, 2015. 

  10. https://www.forbes.com/sites/paullamkin/2015/ 05/11/101-million-smartwatch-shipments-by-2020-with-apple-and-google-leading-the-way/# 3a44055a42ae 

  11. S. Ram, "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 ACR North American Advances, Vol.14, pp.208-212, 1987. 

  12. S. Ram and J. N. Sheth, "Consumer Resistance to Innovations: The Marketing Problem and Its Solution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6, No.2, pp.5-14, 1989. 

  13. K. Sin Tan, S. Choy Chong, B. Lin, and U. Cyril Eze, "Internet-based ICT Adoption: Evidence from Malaysian SMEs,"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Vol.109, No.2, pp.224-244, 2009. 

  14. Z. Mani and I. Chouk, "Drivers of Consumers' Resistance to Smart Products,"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Vol.33, No.1, pp.76-97, 2017. 

  15. R. A. Bauer and D. F. Cox, Risk Taking and Information Handling in Consumer Behavior, Bost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67. 

  16. J. W. Taylor, "The Role of Risk in Consumer Behavior," The Journal of Marketing, Vol.38, No.2, pp.54-60, 1974. 

  17. Cui Ming, 이승신, "중국 상품에 대한 지각된 위험이 상품평가, 신뢰 및 구매지연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제19권, 제2호, pp.1-21, 2016. 

  18. 김준우, 박수현, 이건희, 곽현호, "스마트 워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 혁신성의 조절효과," 2016년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pp.81-88, 2016. 

  19. 배재권, "웨어러블 디바이스 소비자의 혁신특성, 소비자특성, 혁신저항, 그리고 수용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혁신저항모형과 인지된 위험이론을 기반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25권, 제4호, pp.87-104, 2016. 

  20. V. P. Rindova and A. P. Petkova, "When Is a New Thing a Good Thing? Technological Change, Product form Design, and Perceptions of Value for Product Innovations," Organization Science, Vol.18, No.2, pp.217-232, 2007. 

  21. P. A. Rauschnabel, A. Brem, and Y. Ro, Augmented Reality Smart Glasses: Definition, Conceptual Insights, and Managerial Importance, The University of Michigan- Dearborn, College of Business, 2015. 

  22. M. Horton, J. C. Read, D. Fitton, L. Little, and N. Toth, "Too Cool at School-understanding Cool Teenagers," PsychNology Journal, Vol.10, No.2, pp.73-91, 2012. 

  23. N. Southgate, "Coolhunting With Aristotle Welcome to the Hunt," International Journal of Market Research, Vol.45, pp.167-189, 2003. 

  24. Y. Jung, S. Kim, and B. Choi, "Consumer Valuation of the Wearables: The Case of Smartwatch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63, pp.899-905, 2016. 

  25.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Addison-Wesley, 1975. 

  26. T. Bhatti,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Mobile Commerce," Journal of Internet Banking and Commerce, Vol.12, No.12, pp.1-13, 2007. 

  27. D. H. Shin, "MVNO Services: Policy Implications for Promoting MVNO Diffusion," Telecommunications Policy, Vol.34, No.10, pp.616-632, 2010. 

  28. 안대천, 김상훈, "이용자의 성별 세분화에 따른 모바일커머스 수용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Vol.88, pp.7-36, 2011. 

  29. E. Garbarino and M. Strahilevitz,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Risk of Buying Online and the Effects of Receiving a Site Recommenda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7, No.7, pp.768-775, 2004. 

  30. B. Yang and D. Lester, "Gender Differences in e-commerce," Applied Economics, Vol.37, No.18, pp.2077-2089, 2005. 

  31. J. Meyer-Levy and D. Madeswaran, "Exploring Differences in Males' and Females' Processing Strateg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8, No.1, pp.63-70, 1991. 

  32. M. J. Sanchez-Franco, A. F. V. Ramos, and F. A. M. Velicia,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Relationship Quality and Loyalty Toward Internet Service Providers," Information & Management, Vol.46, No.3, pp.196-202, 2009. 

  33. H. Nysveen, P. E. Pedersen, and H. Thorbjornsen, "Explaining Intention to Use Mobile Chat Services: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22, No.5, pp.247-256, 2005. 

  34. S. Rodgers and M. A. Harris, "Gender and e-commerce: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43, No.3, pp.322-329, 2003. 

  35. H. Dittmar, K. Long, and R. Meek, "Buying on the Internet: Gender Differences in Cn-line and Conventional Buying Motivations," Sex Roles, Vol.50, No.5, pp.423-444, 2004. 

  36. G. Hofstede, Culture's Consequences: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s, Sage publications, 2003. 

  37. 조화, 스마트폰 이용자의 성별.연령별 이용현황 에 대한 연구, Internet & Security Focus, 2003. 

  38. Y. B. Chiu, C. P. Lin, and L. L. Tang, "Gender Differs: Assessing a Model of Online Purchase Intentions in e-tail Service,"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Industry Management, Vol.16, No.5, pp.416-435, 2005. 

  39. 강현모, 김지헌, "소셜커머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Vol.38, No.2, pp.117-139, 2013. 

  40. 이종옥, 김용문,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앱북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8, No.3, pp.45-67, 2013. 

  41. 정재욱. 연령대별 스마트폰의 수용 및 사용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2. A. Morris, J. Goodman, and H. Brading, "Internet Use and Non-use: Views of Older Users," Universal Access in the Information Society, Vol.6, No.1, pp.43-57, 2007. 

  43. 진선진, 하규수, 기술혁신수용유형에 따른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수요도,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44. 최정일, 장예진, "스마트 폰의 연령별 이용 형태와 보안의 필요성," 융합보안논문지, Vol.15, No.6, pp.89-97, 2015. 

  45.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 /09/0200000000AKR20170109149600017.HTML 

  46. R. C. Tzou and H. P. Lu, "Exploring the Emotional, Aesthetic, and Ergonomic Facets of Innovative Product on Fashi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Vol.28, No.4, pp.311-322, 2009. 

  47. H. Verkasalo, C. Lopez-Nicolas, F. J. Molina-Castillo, and H. Bouwman, "Analysis of Users and Non-users of Smartphone Application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27, No.3, pp.242-255, 2010. 

  48. Z. Jiang, C. S. Heng, and B. C. Choi, "Research Note-Privacy Concerns and Privacy-Protective Behavior in Synchronous Online Social Interaction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24, No.3, pp.579-595, 2013. 

  49. R. Thakur and M. Srivastava, "A study on the Impact of Consumer Risk Perception and Innovativeness on Online Shopping in India,"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Vol.43, No.2, pp.148-166, 2015. 

  50. J. F. Hair, W. C. Black, B. J. Babin, R. E. Anderson, and R. L. Tatham, SE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variate data analysis, Pears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2006. 

  51. 여정성, 전상민, 김소연, 소비자연구방법, 교문사, 2012. 

  52. L. Shashaani and A. Khalili, "Gender and Computer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Iranian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Computers," Computers & Education, Vol.37, No.3, pp.363-375, 2001. 

  53. 정수경, 홍정표, "국가 간 선호 디자인의 심미성 요소 비교연구-한.중 소비자 선호휴대폰의 심미성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감성과학, 제9권, 제1호, pp.49-61, 2006. 

  54. 이웅규, 박진훈, "브랜드 애착과 지각된 심미성이 새로운 스마트폰에 대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정보시스템연구, 제23권, 제4호, pp.147-168, 2014. 

  55. V. Venkatesh, M. G. Morris, and P. L. Ackerman, "A Longitudinal Field Investigation of Gender Differences in Individual Technology Adoption Decision-making Process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83, No.1, pp.33-60,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