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아동을 위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연구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Group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2, 2017년, pp.516 - 524  

박정임 (서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확산되고 있는 장애아동을 위한 자기결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통합하여 제시하고, 보다 효과적인 자기결정 집단프로그램의 실천전략을 제시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6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 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메타분석의 대상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17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서는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은 '자기결정 집단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이었다. 연구결과, 랜덤효과모형에 따라 자기결정력의 효과크기는 1.695, 사회기술은 1.316로 나타나서 모두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연구문제 2는 '자기결정 집단프로그램은 조절변수에 따라 효과크기가 다른가?' 이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는 '자기결정력'에 있어서 연령, 장애유형, 총 횟수, 주당 횟수, 1회당 시간, 진행자 전공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과와 함의를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elf-Determination Group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by using method of meta-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up to June, 2017 were systematicall...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장애아동을 위한 자기결정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한 논문 중 최종분석을 실시한 논문은 총 17편으로 [표 1]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 연구물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효과성의 종속변수들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하였다. 왜냐하면, 개별연구에서 다양하게 조사된 종속변수들을 모두 통합해서 제시하는 경우는 종속변수의 다양성을 간과하는 한계가 있었고, 일부 종속변수의 경우에는 1편에서만 활용된 경우가 있어서 메타분석을 하는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 한편, 국내 199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집단상담 및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메타분석한 김계현(2002)의 연구에서는 집단프로그램 메타분석의 효과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로 집단구성원들의 특성(연령, 상담필요성여부), 집단상담 처치의 특징(접근이론, 목적과 내용, 집단진행의 구조, 회기수, 한회기의 길이, 집단크기), 기타 연구방법상의 특성(추수평가기간, 집단배정의 무작위성)들을 분석하였으며, 실증적으로 효과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로 집단을 진행하는 구조나 방법 등(효과크기가 큰 경우: 정기적인 회기인 경우, 10-14회기 인 경우, 46-75분인 경우, 실험집단인원이 20명 이상인 경우, 무선배정인 경우 등)을 제시하였다[14].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 등을 바탕으로 자기결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내의 개별연구에서 장애아동을 위해 시행된 자기결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메타분석’이라는 연구방법을 통해서 점검해보고, 이를 통해 향후 보다 효과적인 장애아동을 위한 자기결정 집단프로그램의 전략과 내용 등을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ield와 Hoffman(1996)이 자기결정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한 목적은? 이와 같은 자기결정의 개념에 대한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외국에서는 장애아동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유형이 개발되었다. Field와 Hoffman(1996)은 지적장애 및 학습장애 학생과 비장애학생들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지식, 기술, 신념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자기결정훈련프로그램(Step to Self-Determination)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자기인식, 자기가치알기, 계획수립, 활동하기, 결과에 대한 평가와 반성 등의 5단계 순환적인 과정으로 되어 있으며, 10가지 전략을 사용하여 총 16개 단원에 걸쳐 적용하도록 되어 있다[7].
사회복지분야에서 자기결정이란? 자기결정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개념이다.사회복지분야에서 자기결정은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삶에 대해서 스스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욕구와 권리로써, 가장 중요한 사회복지실천의 원리 중의 하나로써 강조되어 왔다. 심리학 분야에서 자기결정은 외적인 힘이나 압력이 아닌,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자신의 능력으로 동기와 관련된 개념으로 강조되어 왔다.
자기결정훈련프로그램은 어떤 과정으로 되어 있는가? Field와 Hoffman(1996)은 지적장애 및 학습장애 학생과 비장애학생들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지식, 기술, 신념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자기결정훈련프로그램(Step to Self-Determination)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자기인식, 자기가치알기, 계획수립, 활동하기, 결과에 대한 평가와 반성 등의 5단계 순환적인 과정으로 되어 있으며, 10가지 전략을 사용하여 총 16개 단원에 걸쳐 적용하도록 되어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경양, 박은혜, "지체 및 중복장애 분야에서의 자기결정 관련 연구동향 고찰," 지체?중복?건강 장애연구, 제57권, 제1호, pp.45-68, 2014. 

  2. 이숙향, "국내외 문화적 맥락에서의 자기결정에 대한 이해 및 현장적용을 위한 고찰: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및 영향요인에 대한 국내 외 문헌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pp.1-32, 2009. 

  3. 이옥인, 박은영, 신인수,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중복 지체 부자유연구," 제54권, 제3호, pp.101-121, 2011. 

  4. 김수진, 하정숙, "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특수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25-46, 2013. 

  5.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7. 

  6. R. M. Ryan and E. L. Deci,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55, No.1, pp.66-78, 2000. 

  7. S. Field and A. Hoffman, "Steps to self-determination: A curriculum to help adolescents learn to achieve their goals. Austin, TX: Pro-Ed., 1996. 

  8. M. J. Ward, "An historical perspective of self-determination in special education: Accomplishments and challenges," Research and Practice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Vol.30, No.3, pp.108-112, 2005. 

  9. F. Brown, C. R. Gothelf, D. Guess, and D. H. Lehr, "Self-determination for individuals with the most severe disabilities: Moving beyond chinema,"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Vol.23, No.1, pp.17-26, 1998. 

  10. B. H. Abery and R. J. Stancliffe, "A triparite-ecological theory of self-determination," In Wehmeyer, M. L. Abery, B. H. Mithaug, D. E. & Stancliffe, R. J. Theory in Self-Determination: Found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Charles C Thomas Publisher, LTD, Springfield, 2003. 

  11. M. L. Wehmeyer, "Self-determination and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Re-examining meanings and misinterpretations," Research and Practice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Vol.30, No.3, pp.113-120, 2006. 

  12. A. S. Halpen, C. M. Herr, N. K. Wolf, and J. D. Lawson, Next Step: Student Transition and Educational Planniing, Austin, TX: Pro-Ed. 1997. 

  13. B. Abery, L. Rudrud, L. Schauben, and J. Smith, "Evaluation a multicomponent program for enhancing the self-determination of youth with disabilities,"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Vol.30, No.3, pp.170-179, 1995. 

  14. 김계현, 이윤주, 왕은자, "국내 집단상담 성과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 연구, 제3권, 제1호, pp.47-62, 2002. 

  15. 이영철, 신은희,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지적장애연구, 제12집, 제4호, pp.67-95, 2010. 

  16. 박성우, 김용욱,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경도정신 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6권, 제2호, pp.135-154, 2005. 

  17. 김수진, 정대영,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7권, 제1호, pp.169-196, 2011. 

  18. 배영철, 전보성, "디지털카메라 조작을 통한 자기결정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지적장애연구, 제10집, 제4호, pp.123-143, 2008. 

  19. 신진숙, 최진성, "동영상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자기결정프로그램의 적용이 중등도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정신지체연구, 제10집, 제1호, pp.33-53, 2008. 

  20. 임은영, 김자경, 김기주, 김주영, "자기결정프로그램이 경도정신지체 아동의 자기결정력에 나타난 효과," 정신지체연구, 제9권, 제2호, 2007. 

  21. 조인수, 윤형진, "강점지능을 기반으로 한 자기 결정훈련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자율성에 미치는 효과," 지적장애연구, 제11집, 제2호, pp.1-20, 2009. 

  22. 김혜경, "자기결정훈련프로그램이 정신지체고등학생의 자기규칙과 심리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4권, 제2호, pp.87-108, 2003. 

  23. 이영미, "장애청소년의 자기결정력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연구: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21호, pp.260-286, 2006. 

  24. 최진성, 동영상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등도 지적장애학생의 자기 결정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5. 장유정, 초등학생의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6. 류숙렬, 자기결정 활동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이기 경도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2002. 

  27. 윤형진,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율성과 사회적 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8. 김정연, 자기결정프로그램이 초등학교경도장애 학생의 선택하기 기술과 사회적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9. 신은희, 교과중심의 자기결정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 석사학위논문, 2010. 

  30. 김재홍, 자기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적응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 석사학위논문, 2014. 

  31. 윤형진,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율성과 사회적 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2. 한승희, 자기결정훈련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 석사학위논문, 2005. 

  33. 박정임, "장애아동을 위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4권, 제12호, pp.218-229,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