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2C12 근관세포에서 dexamethasone 및 hydrogen peroxide에 의한 근위축 유도
Induction of Muscle Atrophy by Dexamethasone and Hydrogen Peroxide in Differentiated C2C12 Myotub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12 = no.212, 2017년, pp.1479 - 1485  

박철 (동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분자생물학과) ,  정진우 (동의대학교 항노화연구소) ,  최영현 (동의대학교 항노화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으로 노화, 영양부족 및 다양한 만성질환에 의하여 유발되는 근위축은 근육 단백질 합성 억제 및 분해증가를 통하여 근섬유 및 근육의 밀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위축과 관련된 in vitro 실험을 위한 C2C12 근아세포에서 근관세포로의 분화과정을 확립하고, 분화가 유발된 C2C12 근관세포를 대상으로 dexamethasone 및 hydrogen peroxide에 의한 근위축 유발 및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였다. 먼저 C2C12 근아세포에 분화배지를 처리하였을 경우 근관세포로 분화가 유발되었으며, 분화와 관련된 단백질인 myogenin 및 myoD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화가 유발된 C2C12 근관세포에 세포독성이 없는 조건의 dexamethasone 및 hydrogen peroxide를 처리하였을 경우 근관의 지름이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musclespecific ubiquitin ligases인 MAFbx/atrogin-1 및 MuRF1의 발현 증가와 함께 muscle-specific transcription factor인 myogenin 및 MyoD의 발현 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근위축과 관련된 in vitro 실험 모델의 구축을 위한 최적의 분화조건 확립과 함께 dexamethasone 및 hydrogen peroxide를 근위축 유도제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 을 제시하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scle atrophy due to aging, starvation, and various chronic diseases leads to a decrease in muscle fiber area and density due to reduced muscle protein synthesis and increased protein breakdow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examethasone and hydrogen peroxide on the induction of muscle a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심장 및 골격근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F-box type E3 ligase인 MAFbx/atrogin-1 및 Ring Finger 유형의 E3 ligase인 MuRF1은 근위축을 유발하는 다양한 조건에서 증가하여 세포주기 억제 및 근육 특이적인 유전자 발현의 활성화를 통한 myogenic differentiation에 관여하는 muscle-specific transcription factor인 myogenin과 MyoD의 분해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8, 30, 32]. 따라서 dexamethasone및 hydrogen peroxide가 유발하는 근위축 현상이 muscle-specific ubiquitin ligase 및 muscle-specific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였다. Fig.
  • 근위축 연구를 위한 모델 설정에 사용되는 약물들은 기본적으로 세포독성이 없는 조건에서 근위축을 유발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근위축을 위하여 사용된 dexamethasone 및 hydrogen peroxide가 C2C12 myoblast의 세포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trypan blue염색 및 MTT assay를 이용하여 생존율 및 성장 억제 정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dexamethasone이 C2C12 myoblast에서 유발하는 생존율 및 성장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는Fig.
  • In vitro실험 모델에서 dexamethasone 및 hydrogen peroxide에 의하여 유발되는 근위축과 관련된 일련의 변화가 환자에서 나타나는 근위축과 관련된 변화와 유사하므로 근위축 기전 연구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실험 모델을 이용한 근위축 연구를 위하여 근아세포(myoblast)에서 근관세포(myotube)로의 분화과정을 구축하고, 분화가 유발된 myotube에서 dexamethasone 및 hydrogen peroxide를 이용한 인위적인 근위축 모델의 확립을 실시하였다.
  • 분화되기 전 상태인 myoblast의 경우에는 매우 빠르게 증식하며, myotube로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분화배지 처리에 의한 분화 유도 시 myoblast는 증식억제와 더불어 세포융합이 유발되어 다핵의 myotube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실험을 이용한 근위축 연구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C2C12 세포를 대상으로 myoblast에서 myotube로의 최적의 분화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이러한 분화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에 어떠한 변화가 유발되는지를 관찰하였다. 먼저 C2C12 myoblast를 myotube로 분화시키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확립한 결과는 Fig.
  • Myoblast에서 myotube로 분화가 유발될 경우에는 세포들사이의 융합에 따른 근섬유의 수가 증가하고 근섬유의 지름이 두꺼워지는 특징을 가지지만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근위축이 유발될 경우에는 근육 단백질 분해를 통하여 근섬유의 수와 지름이 감소함으로서 전체적인 근육량의 감소가 나타나게 된다[3, 22]. 이러한 근위축 현상을 설정하기 위한 in vitro 연구를 위하여 dexamethasone 및 hydrogen peroxide가 인위적인근위축 유도인자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분히 분화가 유발된 C2C12 myotube에 dexamethasone 및 hydrogen peroxide를 처리하였을 경우 나타나는 근섬유의 형태적인 특징을 도립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근섬유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가설 설정

  • Photographs were taken under an inverted microscope. (B) Expression levels of myogenin and myoD were compared across the differentiation stages. Cells were lysed and cellular proteins were separated by SDS-polyacrylamide gels and transferred onto nitrocellulose membran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위축은 어떤 원인에 의하여 유발되는가? 근위축(muscle atrophy)은 노화, 영양부족 및 만성질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유발되며, 단백질 합성 조절, protease 활성화, ubiquitin conjugation 및 autophagy 등과같은 많은 세포 내 변화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3, 31]. 이러한 근위축은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 만 아니라 병적 상태 및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muscle atrophy의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근위축(muscle atrophy)은 노화, 영양부족 및 만성질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유발되며, 단백질 합성 조절, protease 활성화, ubiquitin conjugation 및 autophagy 등과같은 많은 세포 내 변화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3, 31]. 이러한 근위축은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 만 아니라 병적 상태 및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근위축은 ubiquitin-proteasome 경로의 활성화에 의한 단백질 분해 증가가 중요한 원인이며, 특히 근위축 과정의 초기에 muscle-specific ubiquitin ligase에 해당되는 muscle atrophy F-box (MAFbx)/atrogin-1 및 muscleRING finger-1 (MuRF1)이 발현되어 근육 단백질 분해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4, 5, 8].
합성 glucocorticoid인 dexamethasone는 무엇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가? 합성 glucocorticoid인 dexamethasone은 생체 내 또는 배양세포에서 근육에서의 단백질 합성 속도를 감소시키고 단백질분해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생체 내 또는 배양세포에서 근육 단백질 분해를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12, 20, 27]. 선행 연구에 따르면 dexamethasone은 ubiquitin-proteasome 경로를 통하여 단백질 분해를 증가시키고 이와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고있다[6, 7, 2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be, S., Rhee, S., Iwanuma, O., Hiroki, E., Yanagisawa, N., Sakiyama, K. and Ide, Y. 2009. Effect of mechanical stretching on expressions of muscle 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 MyoD, Myf-5, myogenin and MRF4 in proliferated myoblasts. Anat. Histol. Embryol. 38, 305-310. 

  2. Attaix, D., Combaret, L., Bechet, D. and Taillandier, D. 2008. Role of the ubiquitin-proteasome pathway in muscle atrophy in cachexia. Curr. Opin. Support. Palliat. Care 2, 262-266. 

  3. Bhatnagar, S., Mittal, A., Gupta, S. K. and Kumar, A. 2012. TWEAK causes myotube atrophy through coordinated activation of ubiquitin-proteasome system, autophagy, and caspases. J. Cell. Physiol. 227, 1042-1051. 

  4. Bodine, S. C. and Baehr, L. M. 2014. Skeletal muscle atrophy and the E3 ubiquitin ligases MuRF1 and MAFbx/atrogin-1.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307, E469-484. 

  5. Chaudhary, P., Suryakumar, G., Prasad, R., Singh, S. N., Ali, S. and Ilavazhagan, G. 2012. Chronic hypobaric hypoxia mediated skeletal muscle atrophy: role of ubiquitin-proteasome pathway and calpains. Mol. Cell. Biochem. 364, 101-113. 

  6. Du, J., Mitch, W. E., Wang, X. and Price, S. R. 2000. Glucocorticoids induce proteasome C3 subunit expression in L6 muscle cells by opposing the suppression of its transcription by NF-kappa B. J. Biol. Chem. 275, 19661-19666. 

  7. Evenson, A. R., Fareed, M. U., Menconi, M. J., Mitchell, J. C. and Hasselgren, P. O. 2005. GSK-3beta inhibitors reduce protein degradation in muscles from septic rats and in dexamethasone-treated myotubes. Int. J. Biochem. Cell. Biol. 37, 2226-2238. 

  8. Foletta, V. C., White, L. J., Larsen, A. E., Leger, B. and Russell, A. P. 2011. The role and regulation of MAFbx/atrogin-1 and MuRF1 in skeletal muscle atrophy. Pflugers Arch. 461, 325-335. 

  9. Gomes-Marcondes, M. C. and Tisdale, M. J. 2002. Induction of protein catabolism and the ubiquitin-proteasome pathway by mild oxidative stress. Cancer Lett. 180, 69-74. 

  10. Hyatt, J. P., Roy, R. R., Baldwin, K. M. and Edgerton, V. R. 2003. Nerve activity-independent regulation of skeletal muscle atrophy: role of MyoD and myogenin in satellite cells and myonuclei. Am. J. Physiol. Cell. Physiol. 285, C1161-1173. 

  11. Jagoe, R. T. and Goldberg, A. L. 2001. What do we really know about the ubiquitin-proteasome pathway in muscle atrophy?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4, 183-190. 

  12. Jesinkey, S. R., Korrapati, M. C., Rasbach, K. A., Beeson, C. C. and Schnellmann, R. G. 2014. Atomoxetine prevents dexamethasone-induced skeletal muscle atrophy in mice. J. Pharmacol. Exp. Ther. 351, 663-673. 

  13. Kandarian, S. C. and Jackman, R. W. 2006. Intracellular signaling during skeletal muscle atrophy. Muscle Nerve 33, 155-165. 

  14. Kiess, M., Gill, R. M. and Hamel, P. A. 1995. Expression of the positive regulator of cell cycle progression, cyclin D3, is induced during differentiation of myoblasts into quiescent myotubes. Oncogene 10. 159-166. 

  15. Ko, J. A., Kimura, Y., Matsuura, K., Yamamoto, H., Gondo, T. and Inui, M. 2006. PDZRN3 (LNX3, SEMCAP3) is required for the differentiation of C2C12 myoblasts into myotubes. J. Cell. Sci. 119, 5106-5113. 

  16. Laviano, A., Meguid, M. M., Preziosa, I. and Rossi Fanelli, F. 2007. Oxidative stress and wasting in cancer.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10, 449-456. 

  17. Lawler, J. M., Song, W. and Demaree, S. R. 2003. Hindlimb unloading increases oxidative stress and disrupts antioxidant capacity in skeletal muscle. Free Radic. Biol. Med. 35, 9-16. 

  18. Li, X., Moody, M. R., Engel, D., Walker, S., Clubb, F. J. Jr., Sivasubramanian, N., Mann, D. L. and Reid, M. B. 2000. Cardiac-specific over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causes oxidative stress and contractile dysfunction in mouse diaphragm. Circulation 102, 1690-1696. 

  19. Li, Y. P., Chen, Y., Li, A. S. and Reid, M. B. 2003. Hydrogen peroxide stimulates ubiquitin-conjugating activity and expression of genes for specific E2 and E3 proteins in skeletal muscle myotubes. Am. J. Physiol. Cell. Physiol. 285, C806-812. 

  20. Marinovic, A. C., Zheng, B., Mitch, W. E. and Price, S. R. 2007. Tissue-specific regulation of ubiquitin (UbC) transcription by glucocorticoids: in vivo and in vitro analyses. Am. J. Physiol. Renal. Physiol. 292, F660-666. 

  21. Mastrocola, R., Reffo, P., Penna, F., Tomasinelli, C. E., Boccuzzi, G., Baccino, F. M., Aragno, M. and Costelli, P. 2008. Muscle wasting in diabetic and in tumor-bearing rats: role of oxidative stress. Free Radic. Biol. Med. 44, 584-593. 

  22. Menconi, M., Gonnella, P., Petkova, V., Lecker, S. and Hasselgren, P. O. 2008. Dexamethasone and corticosterone induce similar, but not identical, muscle wasting responses in cultured L6 and C2C12 myotubes. J. Cell. Biochem. 105, 353-364. 

  23. Murton, A. J., Constantin, D. and Greenhaff, P. L. 2008. The involvement of the ubiquitin proteasome system in human skeletal muscle remodelling and atrophy. Biochim. Biophys. Acta 1782, 730-743. 

  24. Otis, J. S., Ashikhmin, Y. I., Brown, L. A. and Guidot, D. M. 2008. Effect of HIV-1-related protein expression on cardiac and skeletal muscles from transgenic rats. AIDS Res. Ther. 5, 8. 

  25. Passmore, L. A. and Barford, D. 2004. Getting into position: the catalytic mechanisms of protein ubiquitylation. Biochem. J. 379, 513-525. 

  26. Pickart, C. M. and Eddins, M. J. 2004. Ubiquitin: structures, functions, mechanisms. Biochim. Biophys. Acta 1695, 55-72. 

  27. Qin, J., Du, R., Yang, Y. Q., Zhang, H. Q., Li, Q., Liu, L., Guan, H., Hou, J. and An, X. R. 2013. Dexamethasone-induced skeletal muscle atrophy was associated with upregulation of myostatin promoter activity. Res. Vet. Sci. 94, 84-89. 

  28. Stitt, T. N., Drujan, D., Clarke, B. A., Panaro, F., Timofeyva, Y., Kline, W. O., Gonzalez, M., Yancopoulos, G. D. and Glass, D. J. 2004. The IGF-1/PI3K/Akt pathway prevents expression of muscle atrophy-induced ubiquitin ligases by inhibiting FOXO transcription factors. Mol. Cell 14, 395-403. 

  29. Talarmin, H., Derbre, F., Lefeuvre-Orfila, L., Leon, K., Droguet, M., Pennec, J. P. and Giroux-Metges, M. A. 2017. The diaphragm is better protected from oxidative stress than hindlimb skeletal muscle during CLP-induced sepsis. Redox Rep. 22, 218-226. 

  30. Tintignac, L. A., Lagirand, J., Batonnet, S., Sirri, V., Leibovitch, M. P. and Leibovitch, S. A. 2005. Degradation of MyoD mediated by the SCF (MAFbx) ubiquitin ligase. J. Biol. Chem. 280, 2847-2856. 

  31. Wing, S. S. 2005. Control of ubiquitination in skeletal muscle wasting. Int. J. Biochem. Cell. Biol. 37, 2075-2087. 

  32. Yamamoto, D., Ikeshita, N., Matsubara, T., Tasaki, H., Herningtyas, E. H., Toda, K., Iida, K., Takahashi, Y., Kaji, H., Chihara, K. and Okimura, Y. 2008. GHRP-2, a GHS-R agonist, directly acts on myocytes to attenuate the dexamethasone-induced expressions of muscle-specific ubiquitin ligases, Atrogin-1 and MuRF1. Life Sci. 82, 460-4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