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2C12 근관세포에서 상엽에 의한 AMPK의 불활성화와 AICAR로 유도된 근위축 억제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Ethanol Extract of Mori Folium Inhibits AICAR-induced Muscle Atrophy Through Inactivation of AMPK in C2C12 Myotub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8 no.4 = no.216, 2018년, pp.435 - 443  

이유성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원예생명공학과) ,  김홍재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생화학교실 및 근.골격계 질환제어 융합연구실) ,  정진우 (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생물특성연구실) ,  한민호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명자원관리부) ,  홍수현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생화학교실 및 근.골격계 질환제어 융합연구실) ,  최영현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생화학교실 및 근.골격계 질환제어 융합연구실) ,  박철 (동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분자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PK는 세포 내 에너지 균형을 조절하는 조절자 및 에너지 센서이며, 특히 골격근에서는 muscle-specific ubiquitin ligases의 조절을 통한 근육 단백질 분해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엽은 다양한 약리학적 효능을 가지는 전통약재 중 하나이지만 근위축과 관련된 효능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C2C12 myotubes에서 AMPK 활성제인 AICAR가 유발하는 근위축 및 관련 유전자의 발현과 함께 상엽 에탄올 추출물(ethanol extracts of Mori Folium, EEMF)이 유발하는 근위축 억제 효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먼저 C2C12 myoblasts에 AICAR를 처리하였을 경우 AMPK 활성화가 유발되었으며, 하위 단계에 있는 FoxO3a의 발현 증가와 함께 muscle-specific ubiquitin ligases인 MAFbx/atrogin-1 및 MuRF1의 발현 증가와 muscle-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인 MyoD 및 myogenin의 발현 감소가 유발되었다. 또한 분화가 유발된 C2C12 myotubes에 세포독성이 없는 조건의 AICAR를 처리하였을 경우 근위축이 유발되었으며, EEMF는 AMPK 불활성화 및 FoxO3a 발현 억제를 유발함으로서 AICAR 처리에 의한 근위축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AICAR에 의한 AMPK 활성화가 근위축을 유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EEMF는 AMPK signaling pathway를 통하여 AICAR에 의한 근위축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functions as a metabolic master through regulating and restoring cellular energy balance. In skeletal muscle, AMPK increases myofibril protein degradation through the expression of muscle-specific ubiquitin ligases. Mori Folium, the leaf of Morus alba, is a trad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엽 에탄올 추출물(ethanol extracts of Mori Folium, EEMF)이 유발하는 근위축 억제 효능 및 기전 해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분화가 유발된 C2C12 myotubes에서 에너지 조절 효소인 AMPK의 약리학적 활성제로서 세포에서 AMP/ATP 비율을 증가시키고 효소 활성화에 필요한 높은 에너지 소비 조건을 모방하는 AMP 유사체인 5-aminoimidazole-4-carboxamide ribonucleotide (AICAR)를이용한 인위적인 근위축 모델의 확립을 실시하였고, EEMF가 인위적으로 유발된 근위축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으며, 이때 AMPK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는 무엇인가?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는 serine–threonine heterotrimeric kinase로서 에너지 균형을 조절하는 중요한 조절자 및 에너지 센서이다[6, 8]. AMPK는 AMP/ATP ratio 증가에 따른 Thr172 인산화에 의하여 활성화되면 에너지 소비 과정을 억제할 뿐 만 아니라 glucose uptake 및 fatty acid oxidation을 유발함으로서 포도당 및 지질 대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18, 25].
AMPK가 근위축에 직접 관여하는 기전은 무엇인가? AMPK는 AMP/ATP ratio 증가에 따른 Thr172 인산화에 의하여 활성화되면 에너지 소비 과정을 억제할 뿐 만 아니라 glucose uptake 및 fatty acid oxidation을 유발함으로서 포도당 및 지질 대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18, 25]. 최근 연구에서 AMPK가 활성화 되면 전사인자인 forkhead box O3a (FoxO3a)를 경유하여 muscle-specific ubiquitin ligases인 muscle atrophy F-box (MAFbx)/atrogin-1 및 muscle RING finger-1 (MuRF1)의 증가를 통한 ubiquitin-proteasome 경로의 활성화를 유발함으로서 근육 단백질 분해에 의한 근위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22, 26, 28]. 또한 근위축이 유발되면 myogenic differentiation에 관여하는 muscle-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인 MyoD 및 myogenin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27].
C2C12 myoblasts에서 AICAR를 처리하였을 시 나타나는 현상은 무엇인가? 3A 및 Fig. 3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AICAR는 AMPK 및 AMPK의 하위단계에서 작용하는 ACC의 인산화를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FoxO3a의 발현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uscle-specific ubiquitin ligases인 MAFbx/atrogin-1 및 MuRF1의 발현 증가와 함께 muscle-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인 MyoD 및 myogenin의 발현 감소를 유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AICAR는 AMPK 및 FoxO3a를 경유한 근위축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 로서 근위축에 관여한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e, S., Rhee, S., Iwanuma, O., Hiroki, E., Yanagisawa, N., Sakiyama, K. and Ide, Y. 2009. Effect of mechanical stretching on expressions of muscle 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 MyoD, Myf-5, myogenin and MRF4 in proliferated myoblasts. Anat. Histol. Embryol. 38, 305-310. 

  2. Attaix, D., Combaret, L., Bechet, D. and Taillandier, D. 2008. Role of the ubiquitin-proteasome pathway in muscle atrophy in cachexia. Curr. Opin. Support. Palliat. Care 2, 262-266. 

  3. Bedard, N., Jammoul, S., Moore, T., Wykes, L., Hallauer, P. L., Hastings, K. E., Stretch, C., Baracos, V., Chevalier, S., Plourde, M., Coyne, E. and Wing, S. S. 2015. Inactivation of the ubiquitin-specific protease 19 deubiquitinating enzyme protects against muscle wasting. FASEB. J. 29, 3889-3898. 

  4. Cao, P. R., Kim, H. J. and Lecker, S. H. 2005. Ubiquitin-protein ligases in muscle wasting. Int. J. Biochem. Cell. Biol. 37, 2088-2097. 

  5. Chao, P. Y., Lin, K. H., Chiu, C. C., Yang, Y. Y., Huang, M. Y. and Yang, C. M. 2013. Inhibitive effects of mulberry leaf-related extracts on cell adhesion and inflammatory response in human aortic endothelial cell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 267217. 

  6. Fogarty, S. and Hardie, D. G. 2010. Development of protein kinase activators: AMPK as a target in metabolic disorders and cancer. Biochim. Biophys. Acta 1804, 581-591. 

  7. Foletta, V. C., White, L. J., Larsen, A. E., Leger, B. and Russell, A. P. 2011. The role and regulation of MAFbx/atrogin-1 and MuRF1 in skeletal muscle atrophy. Pflugers Arch. 461, 325-335. 

  8. Hardie, D. G. 2014. AMPK--sensing energy while talking to other signaling pathways. Cell Metab. 20, 939-952. 

  9. Huang, C. H., Tsai, S. J., Wang, Y. J., Pan, M. H., Kao, J. Y. and Way, T. D. 2009. EGCG inhibits protein synthesis, lipogenesis, and cell cycle progression through activation of AMPK in p53 positive and negative human hepatoma cells. Mol. Nutr. Food Res. 53, 1156-1165. 

  10. Huang, S. S., Yan, Y. H., Ko, C. H., Chen, K. M., Lee, S. C. and Liu, C. T. 2014. A Comparison of food-grade Folium mori (S?ng Ye) extract and 1-deoxynojirimycin for glycemic control and renal func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Tradit. Complement. Med. 4, 162-170. 

  11. Hyatt, J. P., Roy, R. R., Baldwin, K. M. and Edgerton, V. R. 2003. Nerve activity-independent regulation of skeletal muscle atrophy: role of MyoD and myogenin in satellite cells and myonuclei. Am. J. Physiol. Cell. Physiol. 285, C1161-1173. 

  12. Jackman, R. W. and Kandarian, S. C. 2004. The molecular basis of skeletal muscle atrophy. Am. J. Physiol. Cell Physiol. 287, C834-843. 

  13. Jaitovich, A., Angulo, M., Lecuona, E., Dada, L. A., Welch, L. C., Cheng, Y., Gusarova, G., Ceco, E., Liu, C., Shigemura, M., Barreiro, E., Patterson, C., Nader, G. A. and Sznajder, J. I. 2015. High CO2 levels cause skeletal muscle atrophy via AMP-activated kinase (AMPK), FoxO3a protein, and muscle-specific Ring finger protein 1 (MuRF1). J. Biol. Chem. 290, 9183-9194. 

  14. Jeon, Y. S. and Kim, M. W. 2011.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extracts from Morus alba L.. Kor. J. Food Nutr. 24, 94-100. 

  15. Jiang, L. D., Xuan, G. D., Zhao, L., Zhu, Y. F. and Lou, X. F. 2011. Study on determination and pharmacokinetics of metabolites from Folium Mori extract in rats. Zhejiang Da Xue Xue Bao Yi Xue Ban. 40, 395-401. 

  16. Kobayashi, Y., Miyazawa, M., Kamei, A., Abe, K. and Kojima, T. 2010. Ameliorative effects of mulberry (Morus alba L.) leaves on hyperlipidemia in rats fed a high-fat diet: induction of fatty acid oxidation, inhibition of lipogenesis, and suppression of oxidative stress. Biosci. Biotechnol. Biochem. 74, 2385-2395. 

  17. Lee, J., Chae, K., Ha, J., Park, B. Y., Lee, H. S., Jeong, S., Kim, M. Y. and Yoon, M. 2008. Regulation of obesity and lipid disorders by herbal extracts from Morus alba, Melissa officinalis, and Artemisia capillari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J. Ethnopharmacol. 115, 263-270. 

  18. Lee, S. K, Lee, J. O., Kim, J. H., Kim, N., You, G. Y., Moon, J. W., Sha, J., Kim, S. J., Lee, Y. W., Kang, H. J., Park, S. H. and Kim, H. S. 2012. Coenzyme Q10 increases the fatty acid oxidation through AMPK-mediated $PPAR{\alpha}$ induction in 3T3-L1 preadipocytes. Cell. Signal. 24, 2329-2336. 

  19. Marcinko, K. and Steinberg, G. R. 2014. The role of AMPK in controlling metabolism and mitochondrial biogenesis during exercise. Exp. Physiol. 99, 1581-1585. 

  20. Miranda, N., Tovar, A. R., Palacios, B. and Torres, N. 2007. AMPK as a cellular energy sensor and its function in the organism. Rev. Invest. Clin. 59, 458-469. 

  21. Murton, AJ, Constantin, D, Greenhaff, PL. The involvement of the ubiquitin proteasome system in human skeletal muscle remodelling and atrophy. Biochim Biophys Acta. 1782, 730-743. 

  22. Nakashima, K. and Yakabe, Y. 2007. AMPK activation stimulates myofibrillar protein degradation and expression of atrophy-related ubiquitin ligases by increasing FOXO transcription factors in C2C12 myotubes. Biosci. Biotechnol. Biochem. 71, 1650-1656. 

  23. Price, S. R. and Mitch, W. E. 1998. Mechanisms stimulating protein degradation to cause muscle atrophy.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1, 79-83. 

  24. Price, S. R. 2003. Increased transcription of ubiquitin-proteasome system components: molecular responses associated with muscle atrophy. Int. J. Biochem. Cell. Biol. 35, 617-628. 

  25. Rutter, G. A., Da Silva Xavier, G. and Leclerc, I. 2003. Roles of 5'-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in mammalian glucose homoeostasis. Biochem. J. 375, 1-16. 

  26. Sanchez, A. M., Csibi, A., Raibon, A., Cornille, K., Gay, S., Bernardi, H. and Candau, R. 2012. AMPK promotes skeletal muscle autophagy through activation of forkhead FoxO3a and interaction with Ulk1. J. Cell. Biochem. 113, 695-710. 

  27. Tintignac, L. A., Lagirand, J., Batonnet, S., Sirri, V., Leibovitch, M. P. and Leibovitch, S. A. 2005. Degradation of MyoD mediated by the SCF (MAFbx) ubiquitin ligase. J. Biol. Chem. 280, 2847-2856. 

  28. Tong, J. F., Yan, X., Zhu, M. J. and Du, M. 2009. AMP-activated protein kinase enhances the expression of muscle-specific ubiquitin ligases despite its activation of IGF-1/Akt signaling in C2C12 myotubes. J. Cell. Biochem. 108, 458-468. 

  29. Troncoso, R., Paredes, F., Parra, V., Gatica, D., Vasquez-Trincado, C., Quiroga, C., Bravo-Sagua, R., Lopez-Crisosto, C., Rodriguez, A. E., Oyarzun, A. P., Kroemer, G. and Lavandero, S. 2014. Dexamethasone-induced autophagy mediates muscle atrophy through mitochondrial clearance. Cell Cycle 13, 2281-2295. 

  30. Yoshida, S., Hiradate, S., Tsukamoto, T., Hatakeda, K. and Shirata, A.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culture filtrate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RC-2 isolated from mulberry leaves. Phytopathology 91, 181-1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