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학대학 학생들의 공공제약사를 통한 국가의 의약품공급 전략에 대한 인식 조사
A Survey of Pharmacy Students' Perceptions of National Drug Supply Strategy through Public Pharmaceutical Companies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7 no.4, 2017년, pp.238 - 249  

전성률 (차의과학대학교 약학대학) ,  하정은 (차의과학대학교 약학대학) ,  손현순 (차의과학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Currently establishment of public pharmaceutical companies became an issue for securing stable supply of national essential drugs in order to respond appropriately to national public health crisis. Pharmacy students as future pharmacists need to be interested in drug related issues und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한 맥락에서, 미래 약사 사회의 주축이 될 현재의 약학대학 학생들, 다시 말해 예비약사들은 지금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의약품 관련 이슈들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냉철하게 판단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약학대학 재학생들이 의약품과 관련된 사회적 논의 주제인 공공제약사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중보건상의 위기란? 특히, 2000년도 이후 우리나라에서 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신종인플루엔자, 중동호흡기증후군(MERS)과 같은 신종 감염병이 유행했고 그 당시 국가적 대응이 미비했다고 평가되었던 경험에 근거하여, 예측하지 못한 어떠한 공중보건상의 위기상황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적절한 대응체계를 잘 정비해 두어야한다는 목소리 또한 높아졌다. 여기에서 말하는 ‘공중보건상의 위기’라는 것은, 1) 국가지정 감염병의 확산, 2) 전쟁, 지진, 화산폭발, 방사성물질 유출 등으로 인한 국가적 규모의 보건 위기, 그리고, 3)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등을 이용한 생물테러 등으로 정의하였다.3,4,5) 그리고, 이러한 공중보건상의 위기에 대한 대응체계의 범주에는 해당 위기상황을 대처하는데 필요한 치료약제의 안정적인 공급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국가필수의약품의 공급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이 나온 배경은? 3,4,5) 그리고, 이러한 공중보건상의 위기에 대한 대응체계의 범주에는 해당 위기상황을 대처하는데 필요한 치료약제의 안정적인 공급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국민의 기본권인 건강을 보장해야 하는 국가적 관점에서 보면, 어떠한 보건의료 위기상황에 처했을 때 필수적인 의약품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데 있어서의 공적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공공제약의약품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 법률안에는 국가가 보건복지부 소속의 공공제약사를 설립하여 생산시설을 갖출 뿐 아니라 공공제약의약품의 생산 및 수입, 강제실시의약품의 생산, 그리고 이들의 유통 등을 포괄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공공제약의약품’의 범주에는 1) 백신, 2) 공중보건위기 대응을 위한 의약품, 3) 환자 진료에 반드시 필요하나 수익성이 없어 생산 또는 수입을 기피 하는 퇴장방지의약품, 4) 희귀질환을 진단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희귀의약품, 5) 대외원조의약품, 6) 기 타 질병 치료에 필수적인 의약품이 포함된다. 그리고 ‘강제실시의약품’이란 국가 공중보건 위기상황에서 특허의약품을 특허권자의 동의 없이 우선 생산하고 사후에 특허권에 대해 보상해 주는 의약품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ECD Health Data 2015.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7336&page1. Accessed August 16, 2017.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6 Medical Statistics Index.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5030000&cmsurl/cms/medi_info/07/03/03/1353263_27404.html&suject2016%eb%85%84+%ec%a7%84%eb%a3%8c%eb%b9%84%ed%86%b5%ea%b3%84%ec%a7%80%ed%91%9c#none. Accessed August 17, 2017. 

  3. National Assembly. Provisional Bill on National Essential Drug Supply and Management (Proposal no. 2007376) issued on June 13, 2017. Bill Information. Available from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S1A7T0F6M1A3N1Y6O5V0P4S0C7L0P2. Accessed August 4, 2017. 

  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omprehensive Measures for Stable Supply of National Essential Drugs. Press Release on Sep 6, 2016.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mid675&pageNo24& seq34689&sitecode1&cmdv. Accessed August 15, 2017. 

  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Designation of Additional 17 National Essential Drugs. Press Release on July 4, 2017.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mid675&pageNo3&seq37846&sitecode1&cmdv. Accessed August 16, 2017. 

  6. Lee H, Shim MK, Ha J, et al.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he students' satisfaction on 6-year pharmacy program and strategic planning. Korean J Clin Pharm 2014;24(4):288-95. 

  7. Lim YC, Ji E. Educational goals extracted from homepages of pharmacy schools in Korea. Korean J Clin Pharm 2016;26(4):291-7. 

  8. Kim S, Kim CY, Lee TJ. Pharmaceutical Production and Supply Regimes: A Typology Based on 'Publicness'. Crit Soc Policy 2015;48:95-136. 

  9. Kim S, Kim E, Paik SH, et al. The role of state-owned pharmaceutical companies & its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015;21(1):1-23. 

  10. Kim YJ. Study of the UK pharmacy education and the pharmacy registration assessment: In England and Wales. Korean J Clin Pharm 2015;25(2):6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