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다제약제 현황과 적정관리 방안에 대한 고찰
Reviews on the Current Status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Polypharmacy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8 no.1, 2018년, pp.1 - 9  

박혜영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  손현순 (차의과학대학교 약학대학) ,  권진원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pharmacy is increasing owing to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multimorbiditie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risk of administration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PIMs). The negative effects of polypharmacy on various health conditions and aspects, such as fall, fractu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스코틀랜드의 경우, 75세 이상이고 1개 이상의 고위험약제(예: 항혈전제 등)를 포함하여 총 10개 이상의 약제를 처방받는 모든 노인에서 다제약제를 평가하고 필요하면 중재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또한, 유럽의 다른 7개국의 9개 기관과 컨소시엄으로 SIMPATHY (Stimulating Innovation Managementof Polypharmacy and Adherence in the Elderly) 2014-2020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데, 그 목적은 EU 전역에서 다제약제와 노인의 복약순응 관리를 위해 혁신을 장려하고 특히 부적절한 다제약제의 문제점을 알리고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43)국내에서도 이러한 프로젝트들이 시행되면 노인환자의 다제약제 처방 관리를 위한 현실적 대안 마련에 효율적일 것이다.
  • 8%로 나타났고, 이는 다제약제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있어서 외래 기반에서 약제처방과 관련되는 처방의사와 지역약국 약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말해준다. 병원 내 입원환자의 경우 환자 중심 다학제적 협업 기반이 마련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다제약제 관리 사례는 외래기반 지역약국에 초점을 맞추어서 다른 국가(유럽, 호주, 미국, 일본)의 사례들을 살펴보고(Table 3), 우리나라의현황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본 종설에서는 최근 보고된 우리나라 다제약제의 실태와 노인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외의 연구결과를 살펴보고, 다제약제 관리 사례들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다제약제로 인한 안전성 위협요소를 줄이고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다제약제 처방 개선 및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31-33) 따라서 부적절한 다제약제 처방은 철저한 관리와 중재를 통해 반드시 개선되어야 하는데, 이 때 중요한 것은 처방되는 개개 약제의 처방의 적절성 뿐 아니라 이들이 함께 사용되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을 정교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점이다. 부적절한 다제약제 처방을 관리하는 목적은, 무조건 처방약 개수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다제약제 중 부적절한 약제가 포함되지 않도록 하여 그로 인해 발생되는 이환이나 사망, 추가 의료비를 줄이고자함이다. 이를 위해 약제 처방의 적절성을 명확히 평가하고, 근거중심치료(evidencebased therapy) 과정을 통해 피할 수 없는 다제약제 처방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 영국은 지역약국에서 만성질환자에게 신규 처방약에 대한 복약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6개월마다 복용 중인 약제의 적절성 검토 및 처방중재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환자들이 올바르게 복약할 수 있도록 돕고 궁극적으로 국민건강을 증진하고 약제사용의 적정성을 향상시켜 약제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약물검토 1회당 28파운드의 비용이 약사에게 지불되고, 약국당 서비스 횟수는 연간 최대 400회로 제한되어 있으며, 약사들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문성 평가과정을 통과해야 하고, 적절한 환자상담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 본 종설에서는 최근 보고된 우리나라 다제약제의 실태와 노인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외의 연구결과를 살펴보고, 다제약제 관리 사례들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다제약제로 인한 안전성 위협요소를 줄이고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다제약제 처방 개선 및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예를 들어, 스코틀랜드의 다제약제 관리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대상자의 기준이 75세이상, 처방약제가 10개 이상이고노인에 대한 고위험 약제가 한 개 이상 포함된 경우, 입원 및 재입원에 대한 위험도가 40-60%인 경우이며, 최근에는 그 대상자를 65-74세 환자까지 넓혀가는 계획을 발표하였다.43) 이와 같이 우리나라서도 예를 들어 10개 이상 약물을 1개월 이상 동시 복용하는 자, 만 75세 이상, 항혈전제 복용자 등의 기준으로 위험군을 정할 수 있고, 점차 그 대상자를 일반 노인까지 확대해나가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 또한, 유럽의 다른 7개국의 9개 기관과 컨소시엄으로 SIMPATHY (Stimulating Innovation Managementof Polypharmacy and Adherence in the Elderly) 2014-2020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데, 그 목적은 EU 전역에서 다제약제와 노인의 복약순응 관리를 위해 혁신을 장려하고 특히 부적절한 다제약제의 문제점을 알리고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43)국내에서도 이러한 프로젝트들이 시행되면 노인환자의 다제약제 처방 관리를 위한 현실적 대안 마련에 효율적일 것이다.
  • 이들 프로그램은 질적으로 우수한 약물사용(QUM; Quality Use of Medicine)을 목표로 하며, 적절하고 안전하며 유효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4단계에 걸쳐 주의를 기울여 약물을 사용해야 한다.45) 이렇게 약사들이 사용하는 처방검토 프로그램에 대하여처방의들의 평가는 다양하다. HMR이 약제복용 안전성, 인식, 관리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시행절차의 복잡성, 시간소요, 보고양식과 질적인 측면에서의 일관성 결여 등은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 2013년 시행 초기에는 48개 약국에서 시작하였지만, 지역주민 건강관리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평가되어 2017년 250여개의 약국으로 확대되었다.52) 세이프약국 프로그램에 의사-약사간 협업 기반이 마련된다면 지역주민 건강증진을 위한 공중보건 모델의 좋은 예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둘째, 가장 시급한 관리 대상군에 대한 기준을 정하고 이들에 대해서는 가능한 빠른 시일내에 중재를 시작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스코틀랜드의 다제약제 관리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대상자의 기준이 75세이상, 처방약제가 10개 이상이고노인에 대한 고위험 약제가 한 개 이상 포함된 경우, 입원 및 재입원에 대한 위험도가 40-60%인 경우이며, 최근에는 그 대상자를 65-74세 환자까지 넓혀가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가 정의한 다제약제란? “다제약제(polypharmacy)”란 “복수의 약제를 동시에 투여하는 것” 혹은 “지나치게 많은 수의 약제를 투여하는 것”으로World Health Organization(WHO)가 정의한 바 있으나,1) 지나치게 많다고 간주하는 동시투여 약제수에 대한 기준은 아직 없고 이제 초기 연구가 진행 중이다.2)
가장 빈번하게 다제약제 처방된 약물군은 무엇인가? 2012년 5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서울소재 A병원에서 진료한 65세 이상 노인 환자 652,192명의 의무기록자료를 조사한 결과 이들 중 5.19%인 125,498명의 노인에서 1건 이상의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 처방이 있었고, 가장 빈번하게 처방된 부적절한 약물군은 마약성진통제, 벤조다아제핀계,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등 이었다. 이들 노인에서의 PIM처방건수는 해당 의료기관에서 전체적으로 발생한 PIM처방건수의 67%를 차지함으로써, 다 제약제 처방에 빈번하게 노출되는 노인에서 특히 약물안전사용 측면에서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다제약제 처방이 노인에게 줄 수 있는 영향은? 다제약제 처방은 노인에게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제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PIM)의 처방에 대한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 Nam YS등(2016)12)의 연구에서는 다제 약제 발현율 이외에도, 노인에 대한 PIM처방 비율을 평가하였 는데, 그 결과, 적어도 한 건 이상의 PIM처방이 전체 노인환자의 8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World Health Organization: Ageing and Health Technical Report Vol. 5: A Glossary of Terms for Community Health Care and Services for Older Persons. In.; 2004. 

  2. Mortazavi SS, Shati M, Keshtkar A, et al. Defining polypharmacy in the elderly: a systematic review protocol. BMJ Open 2016;6(3):e010989. 

  3. Herr M, Robine JM, Pinot J, et al. Polypharmacy and frailty: prevalence, relationship, and impact on mortality in a French sample of 2350 old people.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15;24(6):637-46. 

  4. Jyrkka J, Enlund H, Lavikainen P, et al. Association of polypharmacy with nutritional status, functional ability and cognitive capacity over a three-year period in an elderly population.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11;20(5):514-22. 

  5. Nobili A, Pasina L, Tettamanti M, et al. Potentially severe drug interactions in elderly outpatients: results of an observational study of an administrative prescription database. J Clin Pharm Ther 2009; 34(4):377-86. 

  6. Wang R, Chen L, Fan L, et al. Incidence and Effects of Polypharmacy on Clinical Outcome among Patients Aged 80+: A Five-Year Follow-Up Study. PLoS One 2015; 10(11):e0142123. 

  7. Fried TR, O'Leary J, Towle V, et al. Health outcomes associated with polypharmac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J Am Geriatr Soc 2014; 62(12):2261-72. 

  8. Park HY, Park JW, Song HJ,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Polypharmacy and Dementia: A Nested Case-Control Study Based on a 12-Year Longitudinal Cohort Database in South Korea. PLoS One 2017;12(1):e0169463. 

  9. Park HY, Park JW, Sohn HS, et al. Association of Parkinsonism or Parkinson Disease with Polypharmacy in the Year Preceding Diagnosis: A Nested Case-Control Study in South Korea. Drug Saf 2017. 

  10. Masnoon N, Shakib S, Kalisch-Ellett L, et al. What is polypharmacy? A systematic review of definitions. BMC Geriatr 2017; 17(1):230. 

  11. Kim HA, Shin JY, Kim MH, et al.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polypharmacy among Korean elderly. PLoS One 2014; 9(6):e98043. 

  12. Nam YS, Han JS, Kim JY, et al. Prescription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in Korean older adults based on 2012 Beers Criteria: a cross-sectional population based study. BMC Geriatr 2016; 16:118. 

  13. Park HY, Ryu HN, Shim MK, et al. Prescribed drugs and polypharmacy in healthcare service users in South Korea: an analysis based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Int J Clin Pharmacol Ther 2016; 54(5):369-77. 

  14. McCracken R, McCormack J, McGregor MJ, et al. Associations between polypharmacy and treatment intensity for hypertension and diabetes: a cross-sectional study of nursing home patients in British Columbia, Canada. BMJ Open 2017; 7(8):e017430. 

  15. Saum KU, Schottker B, Meid AD, et al. Is Polypharmacy Associated with Frailty in Older People? Results From the ESTHER Cohort Study. J Am Geriatr Soc 2017; 65(2):e27-e32. 

  16. Moriarty F, Hardy C, Bennett K, et al. Trends and interaction of polypharmacy and potentially inappropriate prescribing in primary care over 15 years in Ireland: a repeated cross-sectional study. BMJ Open 2015; 5(9):e008656. 

  17. Beer C, Hyde Z, Almeida OP, et al. Quality use of medicines and health outcomes among a cohort of community dwelling older men: an observational study. Br J Clin Pharmacol 2011; 71(4):592-9. 

  18. Franchi C, Cartabia M, Risso P, et al. Geographical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chronic polypharmacy in older people: eleven years of the EPIFARM-Elderly Project. Eur J Clin Pharmacol 2013;69(7):1477-83. 

  19. Niikawa H, Okamura T, Ito K, et al. Association between polypharmacy and cognitive impairment in an elderly Japanese population residing in an urban community. Geriatr Gerontol Int 2017;17(9):1286-93. 

  20. Sinnige J, Braspenning JC, Schellevis FG, et al. Inter-practice variation in polypharmacy prevalence amongst older patients in primary care.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16;25(9):1033-41. 

  21. Nishtala PS, Salahudeen MS. Temporal Trends in Polypharmacy and Hyperpolypharmacy in Older New Zealanders over a 9-Year Period: 2005-2013. Gerontology 2015;61(3):195-202. 

  22. Lu WH, Wen YW, Chen LK, et al. Effect of polypharmacy,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and anticholinergic burden on clinical outcome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CMAJ 2015;187(4):E130-7. 

  23. Charlesworth CJ, Smit E, Lee DS, et al. Polypharmacy Among Adults Aged 65 Years and Older in the United States: 1988-2010.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15;70(8):989-95. 

  24. Jang IY, Lee YS, Jeon MK, et al.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in Elderly Outpatients by the 2012 Version of Beers Criteria: A Single Tertiary Medical Center Experience in South Korea. J Korean Geriatr Soc 2013;17:126-33. 

  25. Kojima T, Akishita M, Nakamura T, et al. Polypharmacy as a risk for fall occurrence in geriatric outpatients. Geriatr Gerontol Int 2012;12(3):425-30. 

  26. Zia A, Kamaruzzaman SB, Tan MP. The consumption of two or more fall risk-increasing drugs rather than polypharmacy is associated with falls. Geriatr Gerontol Int 2017;17(3):463-70. 

  27. Thorell K, Ranstad K, Midlov P, et al. Is use of fall risk-increasing drugs in an elderly population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hip fracture, after adjustment for multimorbidity level: a cohort study. BMC Geriatr 2014;14:131. 

  28. Laflamme L, Monarrez-Espino J, Johnell K, et al. Type, number or both? A population-based matched case-control study on the risk of fall injuries among older people and number of medications beyond fallinducing drugs. PLoS One 2015;10(3):e0123390. 

  29. Richardson K, Ananou A, Lafortune L, et al. Variation over time in the association between polypharmacy and mortality in the older population. Drugs Aging 2011;28(7):547-60. 

  30. Lai SW, Lin CH, Liao KF, et al. Association between polypharmacy and dementia in older people: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in Taiwan. Geriatr Gerontol Int 2012;12(3):491-8. 

  31. Aronson JK. In defence of polypharmacy. Br J Clin Pharmacol 2004; 57(2):119-20. 

  32. Aronson JK. Polypharmacy,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Br J Gen Pract 2006;56(528):484-45. 

  33. Cole A, Wright H: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polypharmacy and the value of medicines. European Journal of Hospital Pharmacy 2017; 24(1):70-2. 

  34. Patterson SM, Cadogan CA, Kerse N, et al.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appropriate use of polypharmacy for older peopl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4;10:CD008165. 

  35. Oboh L, Qadir MS. Deprescribing and managing polypharmacy in frail older people: a patient-centred approach in the real world. European Journal of Hospital Pharmacy 2017;24(1):58-62. 

  36. Cullinan S, Raae Hansen C, Byrne S, et al. Challenges of deprescribing in the multimorbid patient. European Journal of Hospital Pharmacy 2017; 24(1):43-6. 

  37. Kuijpers MA, van Marum RJ, Egberts AC, et al. Relationship between polypharmacy and underprescribing. Br J Clin Pharmacol 2008; 65(1):130-3. 

  38. Levy HB. Polypharmacy Reduction Strategies: Tips on Incorporating American Geriatrics Society Beers and Screening Tool of Older People's Prescriptions Criteria. Clin Geriatr Med 2017;33(2):177-187. 

  39. Barnett N, Jubraj B. A themed journal issue on deprescribing. European Journal of Hospital Pharmacy 2017;24(1):1-2. 

  40. Scott I, Anderson K, Freeman C. Review of structured guides for deprescribing. European Journal of Hospital Pharmacy 2017;24(1):51-7. 

  41. Bulajeva A, Labberton L, Leikola S, et al. Medication review practices in European countries. Res Social Adm Pharm 2014;10(5):731-40. 

  42. Kwon KH. A study on the pharmacy manpower project "Vision 2013"; A research report fo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3. 

  43. Mair A, Fernandez-Llimos F. Polypharmacy management programmes: the SIMPATHY Project. European Journal of Hospital Pharmacy 2017;24(1):5-6. 

  44.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Medication management reviews. Online at. Available from http://www.health.gov.au/internet/main/publishing.nsf/Content/medication_management_reviews.htm. Accessed September 28 2017. 

  45. Chen TF. Pharmacist-Led Home Medicines Review and Residential Medication Management Review: The Australian Model. Drugs Aging 2016;33(3):199-204. 

  46. Gilbert AL, Roughead EE, Beilby J, et al. Collaborative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s: improving patient care. Med J Aust 2002; 177(4):189-92. 

  47. Emblen G, Miller E. Home medicines review. The how and why for GPs. Aust Fam Physician 2004;33(1-2):49-51. 

  48. Dhillon AK, Hattingh HL, Stafford A, et al. General practitioners' perceptions on home medicines reviews: a qualitative analysis. BMC Fam Pract 2015;16:16. 

  49. Dolovich L, Consiglio G, MacKeigan L, et al. Uptake of the MedsCheck annual medication review service in Ontario community pharmacies between 2007 and 2013. Canadian Pharmacists Journal 2016;149(5):293-302. 

  50. Barnett MJ, Frank J, Wehring H, et al. Analysis of pharmacist-provided medication therapy management (MTM) services in community pharmacies over 7 years. J Manag Care Pharm 2009;15(1):18-31. 

  51. Matlin OS, Kymes SM, Averbukh A, et al. Community pharmacy automatic refill program improves adherence to maintenance therapy and reduces wasted medication. Am J Manag Care 2015;21(11):785-91. 

  52.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rug Utilization Review; DUR system.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policy/index.jsp?PAR_MENU_ID06&MENU_ID062904&PAGE4. Accessed November 11, 2017.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