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동결건조 갈색거저리 분말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with Tenebrio molitor Linne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6, 2017년, pp.1164 - 1175  

김영모 (광주보건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with Tenebrio molitor L. powder (TMP). Because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analysis of the white bread with TMP, the content of protein and crude fat increased slightly in proportion to brown dough, and ash was highest in whit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갈색거저리를 비롯한 곤충을 활용한 제빵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식품원료로 고시된 곤충류 중 여러 매체를 통하여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높은 갈색거저리를 활용한 제품개발의 일환으로 갈색거저리 첨가식빵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갈색거저리를 첨가한 선호도 높은 식빵 개발을 위하여 갈색거저리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갈색거저리를 첨가한 식빵들의 단백질 함량과 조지방 함량은 갈색거저리 첨가량에 비례하여 다소 증가하였으며, 회분은 갈색거저리 7% 첨가 식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색거저리는 무엇인가? 최근 식량자원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갈색거저리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에 속한 Tenebrio molitor Linnaeus의 유충으로, 밀웜(mealworm)이라고 불린다(Chung 등 2013). 대량사육이 가능하고, 단백질을 포함한 영양가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필수아미노산인 threonine, valine, leucine, lysine을 다량 함유하고, 감칠맛을 내는 glutamic acid의 함량도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Yoo 등 2013).
갈색거저리에 함유된 성분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최근 식량자원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갈색거저리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에 속한 Tenebrio molitor Linnaeus의 유충으로, 밀웜(mealworm)이라고 불린다(Chung 등 2013). 대량사육이 가능하고, 단백질을 포함한 영양가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필수아미노산인 threonine, valine, leucine, lysine을 다량 함유하고, 감칠맛을 내는 glutamic acid의 함량도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Yoo 등 2013). 갈색거저리의 단백질 함량은 우리가 식품으로 섭취하고 있는 육류 및 어류에 비하여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Lee 등 2016), 영양학적으로 우수성이 인정된 갈색거저리의 산업화 방안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만(Son YJ 2017), 갈색거저리 형태, 향 및 맛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갈색거저리가 동물용 먹이로 사용된 시기는 언제부터인가? 곤충은 인류 역사 속에서 중요한 식품의 하나로 쓰여져 왔으며,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에서는 곤충을 식품으로 사용한 역사가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Alves등 2016). 1970년대부터 갈색거저리가 동물용 먹이로 사용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사료용 먹이로 사육하기 시작하였지만,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곤충은 전 세계적으로 약 500~1,000만 종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중 약 1만 종을 제외하고는 사람에게 직간접적으로 이익을 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ACC. 1983. Approved Method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2. Alves AV, Sanjinez-Argandona EJ, Linzmeier AM, Cardoso CA, Macedo ML. 2016. Food value of mealworm grown on Acrocomia aculeata pulp flour. PLos One.14 e0151275. doi:10.1371/journal.pone.0151275 

  3. AOAC. 1996. Approved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4. Bae JH, Lee JH, Kwon KI, Im MH, Park GS, Lee JG, Choi HJ, Jeong SY.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bread prepared by addition of jujub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603-610 

  5. Bae JH, Woo HS, Choi HJ, Choi C.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added with onion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124-1128 

  6. Biggs K, Seidel JS, Wilson A, Martyniuk CJ. 2013. Gamma;-amino-butyric acid (GABA) receptor subunit and transporter expression in the gonad and liver of the fathead minnow (Pimephales promelas). Comp Biochem Phys A 166:119-127 

  7. Bing DJ, Kim WT, Chun SS. 2014. Development of white bread using fermented wild grape sourdough.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896-1905 

  8. Choi IJ.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banana. Culi Sci Hos Res 22:78-92 

  9. Choi SN, Chung NY.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buckwheat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3:664-670 

  10. Chung MY, Kwon EY, Hwang JS, Goo TW, Yun EY. 2013. Pretreatment conditions on the powder of Tenebrio molitor for using as a novel food ingredient. J Seric Entomol Sci 51:9-14 

  11. Hong SY, Shin GM.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garlic powder. Korean J Food Nutr 21:485-491 

  12. Hwang SY, Bae GK, Choi SK. 2015.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 of Tenebrio molitor (mealworm) according to cooking method. Culi Sci Hos Res 21:100-115 

  13. Hwang SY, Choi SK.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mealworm (Tenebrio molitor). Culi Sci Hos Res 21:104-115 

  14. Im JS, Lee YT. 2010. Quality properties of rice bread substituted with black rice flour.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903-908 

  15. Jeon YS, Kim MW.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added with sunsik powd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299-306 

  16. Jeong CH, Cho HJ, Shim K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chlorella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465-471 

  17. Jung DS, Lee FZ, Eun JB. 2002. Quality properties of bread made of wheat flour and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232-237 

  18. Jung MH, Park GS. 2002. Comparison of sensor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reads with Paecilomyces japonica and Cordyceps militaris powder by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Korean J Food Cook Sci 18:280-289 

  19. Jung MH, Park GS. 2002. Effect of Paecilomyces japonica and Cordyceps militaris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743-748 

  20. Kim CS. 2010. Rheological properities of bread dough made from Cordyceps militaris powder. Korean J Food Nutr 23: 8-14 

  21. Kim CT, Cho SJ, Hwang JK, Kim CJ. 1997. Compositions of amino acids, sugars and minerals of domestic wheat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229-235 

  22. Kim EJ, Lee K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honey. Culi Sci Hos Res 19:147-160 

  23. Kim HM, Kim JN, Kim JS, Jeong MY, Yun EY, Hwang JS, Kim AJ.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tty prepared with mealworm powder. Korean J Food Nutr 28:813-820 

  24. Kim MC, Lee KS, Lee BJ, Kwon BG, Ju JI, Gu JH, Oh MJ. 2007.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wheat during maturation. J Korea Soc Food Sci Nutr 36: 1307-1313 

  25. Kim SH, Kim KB, Noh JS, Yun EY, Choi SK.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sta with addition of mealworm (Tenebrio molitor). Korean Food Service Association 10:55-64 

  26. Kim SY, Kim JC, Lee SJ, Kim JS. 2016. Establishment of optimal rearing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Tenebrio molitor larvae. Korean J Appl Entomol 55:421-429 

  27. Kim YH. 2008. Effect of bread with added silkworm powder and cholesterol on lipid metabolism of rat. Korean J Food Nutr 21:306-311 

  28. Lee BG, Byun GI. 2008. Rheological properties of white pan bread dough prepared with lotus (Nelumbo nucifera) seeds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5:852-858 

  29. Lee EJ, Kwon OJ, Im MH, Choi UK, Son DH, Lee SI, Kim DG, Cho YJ, Kim WS, Kim SH, Chung YG. 2002. Chemical changes of kangjang made with barley br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751-756 

  30. Lee JH, Lee JY, Whang JB, Nam JS, Han HK, Kim SM, Im JY, Choi YM, Kim HR, Kim SN. 2016. Changes in food composition of Tenebrio molitor by life stage. Korea J Food Cook Sci 32:656-663 

  31. Lee JY, Lee KA, Kwak EJ. 2009.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added with Pleurotus eryngii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757-765 

  32. Min KT, Kang MS, Lee SH, Han JS, kim AJ. 2016. Manufacture and quality evaluation of cookies prepared with mealworm (Tenebrio molitor) powder. Korean J Food Nutr 29:12-18 

  33. Min KT. 2015. Manufacture and quality evaluation of sports cookie prepared with mealworm (Tenebrio molitor). MS. Thesis, Kyonggi Univ. Suwon. Korea 

  34. Oh WG, Kim JH, Lee SC. 2011.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hite bread with sweet persimm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253-258 

  35. Ohara I, Ariyoshi S. 1979. Comparison of protein precipitants for the determination of free amino acid in plasma. Agric Biol Chem 43:1473-1476 

  36. Olatidoye OP, Sobowale SS. 2011. Effect of full fat soy bean flour on the nutrition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cceptability of cassava flour. EJEAFChe 10:1994-1999 

  37. Park HC, Lee YB, Kim MA, Yoon HJ, Nam SH, Shim HS, Moon TY, Lee JE. 2005. DB construction for Insect resources and informatics applic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307-322 

  38. Rubenthaler G, Pomeranz Y, Finney KF. 1963. Effects of sugars and certain free amino acids on bread characteristics. Cereal Chemistry 40:658-665 

  39. Sharma S, Saxena DC, Riar CS. 2016. Analysing the effect of germination on phenolics, dietary fibers, minerals and & gamma-amino butyric acid contents of barnyard millet (Echinochloa frumentaceae). Food Bioscience 13:60-68 

  40. Son YJ. 201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alworm (Tenebrio molitor Larvae) and preparation of powders for food material.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41. Tseng YH, Lee YL, Li RC, Mau JL. 2005. Non-volatile flavour components of Ganoderma tsugae. Food Chem 90:409-415 

  42. Yoo JM, Hwang JS, Goo TW, Yun EY. 2013.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and harmful components in Korean and Chinese mealworms (Tenebrio molito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249-2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