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 교사, 학부모 대상 한의사 교의 사업 인식도 조사
Study on the awareness of school doctor of Korean medicine in Middle School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21 no.3, 2017년, pp.51 - 63  

이승환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  김규범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과학과) ,  김미령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응용의학과) ,  김창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과학과) ,  손형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과학과) ,  장보형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신용철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고성규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school doctor of Korean Medicine. Methods : In 2017, 630 middle school students, 212 teachers, and 294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equency analysis and Chi square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The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의 역할을 하는 한의사의 특장점을 살린, 체계적이고 발전적인 사업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기존 연구48)처럼 학생,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인식도와 필요도 조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중학교 학생,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한의사 교의 사업에 대한 인식도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한의사 교의 사업의 방향 설정 및 교육 자료 표준화를 위한 기본 자료로 보고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중학교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교의에 대한 인식도, 보건교육 적정 횟수 및 한의사 교의에 의한 보건교육의 도움 여부, 희망하는 주제 등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가설 설정

  • 1. 보건교사를 제외한 학생, 학부모, 교사는 학교의사 제도에 대해 알고 있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보건교육이 중.고등학교에서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고 정의하였고, 학교보건교육을 교육과정 내에서 독립된 교과목으로 구성하고, 관련된 교과목에 통합시킬 수 있도록 권고하고 있다5).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 교육부의 보건교육과정 고시 이후 보건교육이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지만, 건강관리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부재, 담당자의 역량 및 관련 교사간 협력 부재, 시설 및 교육 장비 부족 등의 문제가 있다39). 특히 입시 위주로 교과목이 편성되어 있는 중⋅고등학교에서는 선택과목인 보건교육을 가르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원활한 보건수업을 위한 체계와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6).
WHO에서 학교보건교육을 어떻게 정의하였나? WHO는 학교보건교육을 ‘학생들의 건강에 대한 이해, 태도, 행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건강의 신체적⋅정신적⋅정서적⋅사회적 영역에 관한 계획적이고 연속적인 교육과정을 포함한다.’고 정의하였고, 학교보건교육을 교육과정 내에서 독립된 교과목으로 구성하고, 관련된 교과목에 통합시킬 수 있도록 권고하고 있다5).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 교육부의 보건교육과정 고시 이후 보건교육이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지만, 건강관리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부재, 담당자의 역량 및 관련 교사간 협력 부재, 시설 및 교육 장비 부족 등의 문제가 있다39).
2016년 기준 국내의 3대 사망원인은 무엇인가? 2016년 기준 우리나라의 3대 사망원인은 악성신생물,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으로, 총사망원인의 46.77%를 차지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6. Daejeon: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Korea Health Statistics I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I-3(No. 11-1351159-000027-10), Sejong: Author. 

  3. Mokdad, A. H., Marks, J. S., Stroup, D. F., & Gerberding, J. L. Actual causes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2000. 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4;290(10):1238-45. 

  4. Kim JY, Suk MH. Health Liter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6;30(3):570-82. 

  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romoting health through schools. Report of WHO Expert Committee on Comprehensive School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Technical Report Series. 1997. 

  6. Kim HS. History and Development Strategy of School Health Education in Korea. J Korean Soc School Health. 2012;25(2):147-58. 

  7. Yun, HJ. 2008.2009.2015 Comparative Study on Middle School Health Education Curriculum. Kyonggi University. 2016. 1-124. 

  8. Hong CH. School Health and Physician's Role. J Korean Med Assoc. 2003 Feb;46(2):88-92. 

  9. 성남시한의사회 경기도한의사회. 성남시한의사회 한의사 교의 활동 성과 분석 연구보고서. 성남:저자. 2016. 1-65. 

  10. Meet and Dream of the 21 Century Heo Jun. Akomnews 2005 DEC 20[cited 2013 OCT 19]; 1(1 932):6. Available from:http://www.akomnews.com/?p313800. 

  11. http://www.mjmedi.com/news/articleView.html?idxno33381 

  12. Lee SH, Kim KH, Kim DI. The effect of sex education by school doctor of Korean medicine on som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J Korean Obstet Gynecol. 2016;29(1):53-68. 

  13. Song KH, Kang HS. Analysis of the direction and features of Health Education curriculum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6;6(4):329-39. 

  14. 우옥영, 외. 중학교 보건. 2013. 서울:(주)YBM. 1-296. 

  15. 한국한의학연구원.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Policy. 2016;4(1):40-52. 

  16.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의약건강증진사업 현황분석. 2015. 

  17. 보건복지부. 2016 보건복지백서. 2017. 세종: 저자. 830-40. 512-4. 

  18. 소희영, 김현리. 청소년 건강증진 행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998;12(2):107-21. 

  19. 임선옥, 홍은영. 간호대학생의 건강지각, 강인성 및 자기효능과 건강증진과의 관계연구. 중앙의학, 1995;60(1):50-70. 

  20. 고복자. 학교보건사업-무엇이 문제인가? 대한보건협회 제21회 보건학 종합 학술대회. 1996. 51-6. 

  21. 유재순. 청소년기의 건강증진과 학교보건교육의 발전방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8;11(1):27-50. 

  22. Song MH. Effect of Health Promotion Education Program o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5. 1-60. 

  23. 박현주. 학교 보건교육 정착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학교보건진흥원 연구용역보고서. 2010. 154-5. 

  24. 서울특별시한의사회. 한의사 교의 사업 교재 - 담배NO! 금연 YES!. 서울:저자. 2017. 1-27. 

  25. 서울특별시한의사회. 한의사 교의 사업 교재 - 지나친 음주는 NO! 싫어요!. 서울:저자. 2017. 1-29. 

  26. 서울특별시한의사회. 한의사 교의 사업 교재 - 한의사? 한의학?- 초등학생 저학년 교육용. 서울:저자. 2017. 1-27. 

  27. 서울특별시한의사회. 한의사 교의 사업 교재 - 한의사? 한의학?- 초등학생 고학년 교육용. 서울:저자. 2017. 1-36. 

  28. 서울특별시한의사회. 한의사 교의 사업 교재 - 한의사? 한의학?- 중학생 교육용. 서울:저자. 2017. 1-38. 

  29. Park ES, Lee JY, Kim DG. A Study for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of Effect on the Growth of Children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April, 2010;24(1):36-45. 

  30. Heo SY. A Clinical Study on the Outcome of Chuna Treatment of Adolescent Structural Scoliosis.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2001;2(1):121-32. 

  31. Yoon IK, Jeon SK, Park JY.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009;22(1):73-92. 

  32. Jun KS. A Study on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on Sexual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20008:1-100. 

  33. Ko KS, Park, HS, Cho GY. The Effects of injury treatment educa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J. of Korean Soc. of School Health. 2009;22(2):73-84. 

  34. Statistics Korea. Youth Statics. 2010. 

  35. Kim JY, Lee KY. A study on school violence victim teenagers' thoughts on suicide, The Study on Youth, 2010;17(5):121-49. 

  36. SOHN, IC. Study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View of Life. Won-Buddhist Thought & Religious Culture. 2010;45:119-62. 

  37. Kim HY. The Effects of Natural Sounds-Based Meditation Musics on Middle School Male Students' aggress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7:1-58. 

  38. Heo H. Mental and Physical Healing Technique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in Contrast with the Intergral Life Practice (ILP) of Integral Psycology. 

  39. Kim MH.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 Sassang Constitution and Ego State center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3;27(3):564-77. 

  40. Kim HK, Ko SD. Future Directions of School Health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7;24(4):219-30. 

  41. 서울시한의사회. 2017 서울교육멘토기부단 발대식 자료집. 서울:저자. 2017. 1-25. 

  42. 김경렬, 주현옥, 김영혜. 7차 교육과정 시행 후 초등 보건교사의 보건교육 실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5;22(1):41-54. 

  43. 김영임. 우리나라의 학교보건교육 실태. 한국학교보건학회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1998. 27-43. 

  44. 김영복, 위자형, 곽종옥. 일부지역 중학생의 보건교육 요구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5;12(1):128-50. 

  45. 문기내, 외. 중.고등학생들의 보건교육 요구도 조사연구. 보건복지연구, 2003;8:11-34. 

  46. 박영수, 서용하. 초.중학교 학교관리자의 학교보건교육에 관한 조사연구; 태도와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2;9(2):12-40. 

  47. 윤영옥. 시내 일부 중학교의 보건교육 요구도 조사 -보건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1998. 

  48. 최진영, 김명. 초.중.고등학교 보건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5;12(1):47-71. 

  49. Yun SN, et al. Health Education Need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nd the Status of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J. of Korean Soc. of School Health. 2005;18(1):1-14. 

  50. 박남수. 학교보건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1995. 

  51. 이보은. 고등학교 보건교육 교육과정 선정을 위한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