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지역별 최고품질 벼 품종의 수량 및 품질 특성
Comparison of Yield and Grain Quality of Ten High Quality Rice Cultivars Grown in Three Different Agricultural Regions of Gyeongsangbuk-do Provinc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2 no.4, 2017년, pp.275 - 284  

신종희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작물육종과) ,  김상국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작물육종과) ,  김세종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작물육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3~2014년간 벼 등숙기 기상은 평균기온은 평년대비 ${\pm}0.2^{\circ}C$로 비슷하고, 등숙 후반기인 10월 상순의 기온이 평년에 비해 지역별로 $1.0{\sim}1.6^{\circ}C$ 높아 안정적인 등숙이 가능한 조건이었다. 지역별 출수기의 경우 대구, 구미지역보다 5일 일찍 이앙한 안동지역의 평균 출수기가 2일 정도 늦어지는 경향이었으며, 영호진미의 경우 안동지역에서 출수기가 타 지역 보다 4~5일 더 늦어지면서 등숙률이 77.4%로 현저히 낮았다. 구미지역의 쌀 수량이 평균 671 kg/10a로 가장 많았다. 수광의 경우 수당립수, 현미천립중, 등숙률, 쌀수량 등 전반적인 생육 및 수량특성이 지역별 차이 없이 비슷하였다. 도정한 쌀의 완전미 비율은 대구지역에서는 진수미, 영호진미, 미품이 각각 92.0, 92.8, 90.0%로 높고 구미지역에서는 대보, 칠보, 수광이 90% 이상의 완전미율을 보였으며, 안동지역은 진수미와 수광의 완전미율이 높게 나타났다. 호품은 시험지역 모두에서 가장 낮은 완전미율을 나타내었다. 백미에 함유된 단백질 분석결과, 품종별로는 하이아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안동지방에서 재배된 경우 모든 품종에서 단백질 함량이 낮았다. 특히 영호진미의 경우 대구, 구미, 안동지역 모두에서 6%이하의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밀로스 함량은 안동지역에서 재배된 경우 대구와 구미지역에 비해 높았다. 고품과 대보의 경우 대구지역에서 찰기와 부착성이 낮게 나타났고, 진수미와 영호진미의 경우 재배 지역에 따른 식감 특성 차이가 적었다. 지역별 최고품질벼 수량 및 품질 특성 분석을 통하여 대구지역은 진수미, 영호진미, 미품, 수광을 선발하고, 구미 지역은 대보, 삼광, 칠보, 수광, 영호진미, 미품을, 안동지역은 삼광, 대보, 진수미, 수광을 선발 하였다. 이미 개발된 많은 우수한 품종의 특성을 파악하고 각 지역의 환경에 적합한 품종 선택하여 재배함으로써 고품질 쌀을 생산하면 농업인의 소득도 보장이 되고 우리 쌀도 지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시험결과를 활용하여 경북 주요 농업지대별 식미가 우수한 품종을 선별하여 농가에서 지역브랜드로 활용토록 함과 동시에 지역별로 다른 환경변이에 맞추어 식미가 우수한 쌀을 생산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ce quality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mary consumer requirement. Regarding marketing, characteristics such as appearanc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brand rice are of high economic importanc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he optimal rice cultivars repres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미 개발된 많은 우수한 품종의 특성을 파악하고 각 지역의 환경에 적합한 품종 선택하여 재배함으로써 고품질 쌀을 생산하면 농업인의 소득도 보장이 되고 우리 쌀도 지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시험결과를 활용하여 경북 주요 농업지대별 식미가 우수한 품종을 선별하여 농가에서 지역브랜드로 활용토록 함과 동시에 지역별로 다른 환경변이에 맞추어 식미가 우수한 쌀을 생산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2008)은 2006~2007년에 걸쳐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경북 주요 브랜드 쌀의 품질분석에 대한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육성된 최고품질 벼를 영남평야지인 대구, 구미지역, 남부중산간지인 안동지역에서 재배하여 지역별로 수량과 미질이 높은 품종을 선발, 보급하여, 경상북도 브랜드 쌀 품질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구지역의 출수기 지상부 건물 중이 안동지역보다 컸지만 쌀수량은 비슷했던 이유는? 이는 자포니카 벼에 있어서 최고 수량에 달하는 등숙기간의 일평균 기온이 22℃이며, 안전수량 확보에 알맞은 일평균 기온은 21~23℃의 범위라고 보고한(Seol et al., 2010) 앞선 실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대구지역의 평균기온이 등숙적온 보다 다소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쌀 품질을 결정하는 것은? (2011)은 중만생종 쌀 품질 향상 및 식미증진을 위한 최적 등숙기온에 관하여 보고한 바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016년까지 수량, 재배특성, 품질 면에서 우수하다고 인정된 최고품질벼로 15개의 품종이 육성되어 보급중이다. 쌀 품질을 결정하는 인자로는 품종, 재배환경, 취반특성, 외관, 식미 등이 있는데(Kang et al., 2005) 특히, 소비자가 쌀을 구입할 때 품질은 주로 외관과 식미에 의해 결정된다(Chung, 2005).
자포니카 품종에서 밥맛이 좋은 품종의 특성은? Juliano (1985)는 정현비율, 현백비율 및 완전미 도정수율 등의 도정특성, 쌀의 단백질이나 아밀로스함량 등의 화학적 성분도 미질요소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밥맛에 있어 일반적으로 자포니카 품종에서 식미가 양호한 품종들의 특성은 토요식미치가 높고 단백질 함량이 낮으며, 아밀로스함량에 따라 쌀의 호화 및 노화 특성 등 품질에 많은 차이를 보인다(Hong et al., 198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H. C. 2002.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cultivars for high-quality and value-added products. Korean J. Crop Sci. 47 : 15-32. 

  2. Choi, H. C., S. Y. Cho, and K. H. Kim. 1990. Varietal difference and environmental variation in protein content and/or amino acid composition of rice seed. Korean J. Crop Sci. 35(5) : 379-386. 

  3. Choi, K. J., T. S. Park, C. K. Lee, J. T. Kim, J. H. Kim, K. Y. Ha, W. H. Yang, C. K. Lee, K. S. Kwak, H. K. Park, J. K. Nam, J. I. Kim, G. J. Han, Y. S. Cho, Y. H. Park, S. W. Han, J. R. Kim, S. Y. Lee, H. G. Choi, S. H. Cho, H. G. Park, D. J. Ahn, W. K. Joung, S. I. Han, S. Y. Kim, K. C. Jang, S. H. Oh, W. D. Seo, J. E. Ra, J. Y. Kim, and H. W. Kang. 2011. Effect of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stage on grain quality and taste of cooked rice in mid-late maturing rice varieties. Korean J. Crop Sci. 56(4) : 404-412. 

  4. Choi, Y. H., K. H. Kim, H. C. Choi, H. G. Hwang, Y. G. Kim, K. J. Kim, and Y. T. Lee. 2006. Analysis of grain quality properties in Korea-bred Japonica rice cultivars. Korean J. Crop Sci. 51 : 624-631. 

  5. Chung, N. J., J. H. Park, K. J. Kim, and J. K. Kim. 2005. Effect of head rice ratio on rice palatability. Korean J. Crop Sci. 50 : 29-32. 

  6. Hong, Y. H., H. S. Ahn, S. K. Lee, and S. K. Jun. 1988. Relationship of properties of rice and texture of Japonica and Indica rices of different amylose content. Korean J. Crop Sci. 53 : 285-291. 

  7. Jane, J., Y. Y. Chen, L. F. Lee, A. E. McPherson, K. S. Wang, M. Radosavljevic, and T. Kasemsuwan. 1999. Effect of amylopectin branch chain length and amylose content on the gelatinization and pasting properties of starch. Cereal Chem. 76 : 629-637. 

  8. Juliano, B. O. 1985. Criteria and tests for quality. in Rice : Chemistry and Technology. AACC. 443-524. 

  9. Kang, J. R., J. T. Kim, I. Y. Beg, and J. I. Kim. 2005. Effect of transplanting times on rice quality in mid-mountainous area. J. Crop Sci. 50 : 33-36. 

  10. Kim, K. H., J. C. Chae, M. S. Lim, S. H. Cho, and R. K. Park. 1988. Research status and prospects in rice quality. Korean J. Crop Sci. 33(S) : 1-17. 

  11. Kim, S. J., D. J. Ahn, J. G. Won, S. D. Park, and C. D. Choi. 2008. Analysis of grain quality of commercial brand rice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rices in Gyeongbuk Province, Korea. Korean J. Crop Sci. 53 : 44-46. 

  12. Lee, J. I., J. K. Kim, J. C. Shin, E. H. Kim, M. H. Lee, and Y. J. Oh. 1996. Effects of ripening temperature on quality appearance and 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grain. RDA. J. Agri. Sci. 38(1) : 1-9. 

  13. Lee, S. H., J. G. Won, J. S. Choi, D. J. Ahn, K. Y. Choi, W. G. Lee, S. D. Park, and J. K. Son. 2005. Comparison of rice quality according to agroclimatic regions in Gyeoungbuk Province. Korean J. Crop Sci. 50 : 97-98. 

  14. RDA. 2005. The optimum transplanting date,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and harvesting time to produce high quality rice according to agricultural regions.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Suwon. Korea. 

  15. Seol, Y. H., A. S. Lee. B. O. Choi, A. S. Kang, B. C. Jeong, and Y. S. Jung. 2010. Adaptation study of rice cultivation in Gangwon Province to climate change. Korean J. Agricultural and Forest Metorology 12(2) : 143-151. 

  16. Won, J. G., S. G. Park, D. J. Ahn, and S. D. Park, 2006. Annual variation of quality in commercial rice produced in Gyeongbuk. Korean J. Crop Sci. 51(3) : 227-232. 

  17. Won, J. G., S. H. Lee, J. S. Choi, S. G. Park, D. J. Ahn, S. D. Park, and J. K. Son. 2005. Yearly variation of rice quality in Gyeoungbuk province. Korean J. Crop Sci. 50(S) : 69-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