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부 평야지에서 고품질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재식밀도에 따른 수수 변화와 수량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anicle Production and Yielding Traits Influenced by Transplanting Density in Mid-Maturing Quality Rice 'Haiami' in the Mid-Plain Area of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2 no.3, 2017년, pp.193 - 202  

양운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재배환경과) ,  강신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재배환경과) ,  박정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재배환경과) ,  김숙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재배환경과) ,  최종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재배환경과) ,  윤영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재배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부 평야지에서 최고품질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밀식에 의한 수수 증가 효과와 그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성 변화의 관계를 분석하고, 완전미 수량에 대한 수량 관련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원 벼 재배시험 포장에서 2014~2015년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위 면적당 경수는 재식거리가 좁고 주당본수가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벼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그 차이는 적어졌으나 이러한 경향은 수확기 수수까지 유지되었다. 2. 완전미 수량은 재식거리에 따라 2014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2015년에는 $30{\times}18cm$에서만 감소하였으며, 두 해 모두 주당본수가 적을수록 높았다. 3. 단위 면적당 포기수와 주당본수 증가에 의하여 $m^2$당 수수는 많아졌으나, 밀식에 의한 수수 증가가 완전미 수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단위 면적당 수수는 수당영화수와만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다른 수량구성요소 및 완전미 수량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5. 재식거리와 주당본수 조절에 의한 완전미 수량의 변화는 완전미 비율과는 관계가 없었고 쌀수량과 직선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쌀수량은 $m^2$당 영화수 증가에 따라 향상되었는데, $m^2$당 영화수는 $m^2$당 수수보다 수당영화수 증가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나 이들 두 요소가 함께 영향을 미쳤다. 6. 결론적으로 중부 평야지에서 하이아미를 보통기 보비 재배하는 경우, 완전미 수량은 밀식에 의한 수수 증가로 향상되지 않으며, $m^2$당 수수와 수당영화수의 적절한 조합에 의하여 $m^2$당 영화수를 증가시켜 쌀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2014 and 2015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nsplanting density on panicle production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panicle production with yield traits in the mid-maturing quality rice cultivar 'Haiami' in the mid-plain area of Korea. Number of tillers per squ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부 평야지에서 하이아미의 최적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재식거리와 주당본수 조절에 따른 수량 관련 특성 조사를 통해 1) 밀식에 따른 수수 증가 효과를 검토하고, 2) 수수 변화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성 변화의 관계를 분석하며, 3) 완전미 수량에 대한 관련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이아미의 품종 특성 보완을 위해 재배적 수단에 대한 효과 검토가 필요한 이유는? 1% 적다. 이와 같은 반왜생 초형 특성과 상대적으로 적은 수수 때문에 하이아미는 군락 생장량이 적고 수량성이 제한되는 것으로 평가되므로, 품종 특성 보완을 위해 재배적 수단에 대한 효과 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하이아미의 특징은? 하이아미는 쌀 단백질 함량이 낮고 식미가 매우 우수한 중생종 최고품질 벼 품종으로 중부 평야지에 적합하다(Hong et al., 2011).
영화수를 결정하는 요소인 수수와 수당영화수의 관계는 어떻게 됩니까? 수수는 수당영화수와 함께 면적당 영화수를 결정하는 요소이다(Yoshida, 1981). 수수와 수당영화수는 서로 상보적 관계를 나타내므로 어느 한 특성의 개선만으로 단위면적당 영화수를 증가시킬 수 없을 뿐 아니라, 단위면적당 영화수는 일반적으로 등숙비율 및 천립중과 부의 상관을 보이므로 단위면적당 영화수 증가에 의해서만 수량성을 높일 수도 없다. 따라서 벼의 생산성은 수량구성 4요소의 균형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loch, A. W., A. M. Soomro, M. A. Javed, M. Ahmed, H. R. Bughio, M. S. Bughio, and N. N. Mastoi. 2002. Optimum plant density of high yield in rice (Oryza sativa L.). Asian J. Plant. Sci. 1(1): 25-27. 

  2. Cho, D. S., W. K. Jong, H. Heo, and S. S. Yuk. 1990. Quantitative analysis of dry matter production and its partition in rice. III. Partitioning of dry matter affected by planting density. Korean J. Crop Sci. 35(4): 328-333. 

  3. Choi, W.-Y., J.-K. Nam, S.-S. Kim, J.-H. Lee, J.-H. Kim, H.-K. Park, N.-H. Back, M.-K. Choi, C.-K. Kim, and K. -Y. Jung. 2005. Optimum transplanting date for production of quality rice in Honam plain area. Korean J. Crop Sci. 50(6): 435-441. 

  4. Choi, W.-Y., S.-H. Moon, H.-K. Park, M.-G. Choi, S.-S. Kim, and C.-K. Kim. 2006. Optimum planting density in low fertilizing culture of machine transplanting in rice. Korean J. Crop Sci. 51(5): 379-385. 

  5. Guh, J. O., Y. M. Lee, and K. S. Lee. 1985. Labor-saving feasibilities in transplanting of paddy rice. II. Variations in yield compatibility of various typed isogenic lines of paddy rice as affected by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with fertilizer applications Korea. J. Crop Sci. 30(2): 117-125. 

  6. Hong, H.-C., Y.-G. Kim, C.-I. Yang, H.-G. Hwang, J.-H. Lee, S.-B. Lee, Y.-H. Choi, H.-Y. Kim, K.-S. Lee, S.-J. Yang, M.-K. Kim, O.-Y. Jeong, Y.-C. Cho, Y.-H. Jeon, I.-S. Choi, E.-G. Jeong, S.-K. Oh, J.-D. Yea, Y.-S. Shin, and J.-J. Kim. 2011. A high essential amino acid properties rice cultivar 'Haiami'. Korean J. Breed. Sci. 43(6): 543-548. 

  7. Islam, M. S., M. M. Rashid, M. K. Mondal, S. C. Nath, and M. R. Karim. 2013.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the performance of hybrid rice (Oryza sativa L.) under waterlogged conditions. The Agriculturists 11(2): 109-113. 

  8. Kang, S.-G., Y.-D. Kim, B.-I. Ku, W.-G. Sang, M.-H. Lee, H.-K. Park, J.-Y. Shon, W.-H. Yang, and J.-H. Lee. 2015. Study on the optimum planting density of pot seedling for mid-late maturing rice variety on wheat-rice double cropping system in Jonam plain area. Korean J. Crop Sci. 60(3): 257-265. 

  9. Kim, B. K., J. K. Ko, J. K. Lee, and H. T. Shin. 1999. Analysis of yield and its associated characters by planting density and fertilizer level in heavy-panicle japonica rice. Korean J. Breed. 31(1): 21-28. 

  10. Kim, K. H. and E. W. Lee. 1979a. Comparison of the intrahill distribution of culm and panicle length between different planting numbers of seedlings per hill in paddy rice. J. Korean Soc. Crop Sci. 24(1): 24-29. 

  11. Kim, I. B. and J. Y. Lee. 1979b. Effects of number of seedling per hill and plant density on rice yield components and yield in the late season culture of rice. K. Korean Soc. Crop Sci. 24(2): 57-63. 

  12. Kim, J. K. and B. S. Vergara. 1992. Grain yield potential of a low-tillering large panicle type in rice. Korean J. Crop Sci. 37(4): 361-371. 

  13. Kim, Y. J. 1986. Analytical studies on the rice yield components and yield in south region of Korea. III. Variation in the rice yield components and yield under different planting density. Korean J. Crop Sci. 31(1): 104-111. 

  14. Lee, A-S., Y.-S. Cho, I.-J. Kim, J.-K. Ham, and J.-S. Jang. 2012. The quality and yield of early maruring rice varieties affected by cultural practices in Gangwon plain region. Korean J. Crop Sci. 57(3): 233-237. 

  15. Lee, E. W. 1977. Rice cropping, 4th ed. Hyangmoonsa, Seoul. pp. 86-91. 

  16. Lee, H. D. and Y. H. Bin. 1988. Influence of nitrogen level and planting density on the leaf characteristics of rice (Oryza sativa L.) cultivars. Korean J. Crop Sci. 33(4): 329-335. 

  17. Lee, K.-B., D.-K. Jun, and J.-C. Chae. 2003.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grain and aroma-active compounds of cooked rice. Korean J. Crop Sci. 48(6): 527-233. 

  18. Mondal, M. M. A., A. B. Puteh, M. R. Ismail, and M. Y. Rafii. 2013. Optimizing plant spacing for modern rice varieties. Int. J. Agric. Biol. 15: 175-178. 

  19. Moradpour, S., R. Koohi, M. Babaei, and M. G. Khorshidi. 2013. Effect of planting date and planting density on rice yield and growth analysis (Fajr variety). Intl J. Agri. Crop Sci. 5(3): 267-272. 

  20. Nguu, N. V. and S. K. De Datta. 1979. Increasing efficiency of fertilizrt nitrogen in wetland rice by manipulation of plant density and plant geometry. Fieid Crops Res. 2: 19-34. 

  21. Park, S. T., S. C. Kim, C. D. Choi, and S. K. Lee. 1985. Competitive response of rice cultivar in association with plant spacing and seedling number per hill. Korean J. Crop Sci. 30(3): 252-258. 

  22. Park, S. T., S. C. Kim, S. K. Lee, and D. Y. Hwang. 1989. Character variation within rice hill and competitive response of rice cultivar in association with plant spacing and seedling number per hill. Korean J. Crop Sci. 34(2): 127-133. 

  23. Rasool, F.-U, R. Habib, and M. I. Bhat. 2013. Agronomic evaluation of rice (Oryza sativa L.) for plant spacing and seedlings per hill under temperate conditions. Afr. J. Agric. Res. 8(37): 4650-4653. 

  24. Ronanki, S., P. L. Rani, D. R. Reddy, and G. Sreenivas. 2014. Impact of plant densities and nitrogen levels on grain yield and yield attributes of transplanted rice (Oryza sativa L.). Int. J. Agric. Innov. Res. 2(6): 923-928. 

  2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5. Quality Rice Production Technologies. Suwon. pp. 150-156. 

  26. San-oh, Y., T. Sugiyama, D. Yoshita, T. Ookawa, and T. Hirasawa. 2006. The effect of planting pattern on the rate of photosynthesis and related processes during ripening in rice plants. Field Crops Res. 96: 113-124. 

  27. Yang, W., K.-J. Choi, J. Shon, S. Kang, S.-H. Shin, K.-B. Shim, J. Kim, H. Jung, J. H. Jang, J.-S. Jung, C. Y. Lee, Y. T. Yun, S. J. Kwon, K. An, J.-H. Shin, and S. M. Bae. 2016.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rice yield and its components in Korean high-quality rice varieties. J. Korean Soc. Int. Agric. 28(1): 49-57. 

  28. Yoshida, S. 1981. Fundamentals of rice crop scienc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Philippines. pp. 235-2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