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결혼, 출산 및 가임력 관련 인식과 고위험 임신 관련 지식
Awareness of Marriage, Childbirth, Fertility and Knowledge of High-risk Pregnancy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20 no.2, 2017년, pp.67 - 79  

고선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권규린 (고려대학교안암병원 간호부) ,  김민서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간호부) ,  노기라 (분당차병원 간호국) ,  안소정 (서울특별시 서남병원 간호부) ,  이정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간호부) ,  주가을 (수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the awareness of marriage, childbirth, fertility and high-risk pregnanc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250 university students from Seoul and Gyeonggi-do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awareness on marriage, childbirth, fertility, and high-risk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까운 미래에 부모 세대가 될 대학생들의 결혼과 출산 및 가임력에 대한 인식과 고위험 임신 관련 지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가임인구에 포함되기도 하는 대학생은 교육에 대한 요구와 이해도가 높기 때문에 높은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어, 결혼과 출산 관련 인식을 조사하여 저출산과 고위험 임신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과 출산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가 생긴 이유는? 저출산에는 다양한 원인들이 있는데, 청년층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가 그중 하나이다(Choi & Lee, 201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2015; Park, 2016). 결혼관은 결혼과 배우자 선택에 대해 개인이 지니는 가치관으로 결혼의향과 결혼에 대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견해를 포함하며, 이는 성역할관의 변화, 교육 수준의 향상,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사회적 지지 등에 의해 변화하고 있다(Choi & Lee, 2014; KIHASA, 2015; Kim & Hong, 2013; Park, 2016). 자녀관은 자녀에 대한 가치로 자녀를 갖고 양육하려는 동기로 볼 수 있으며 자녀에 대해 기대하는 만족감과 부담감을 포함하는데, 우리나라 초,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자녀관은 성장 과정과 사회적 분위기 속에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Choi & Lee, 2014; KIHASA, 2015; Kim & Hong, 2013; Park, 2016).
우리나라의 출산율의 지표와 OECD 주요국가에서의 위치는? 저출산 문제에 대한 인식과 대책들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로 국제적 지표인 합계출산율은 2016년 기준 1.17명으로 전년보다 0.07명 감소하였고 OECD 주요국가 중 가장 낮았다(OECD, 2017; Statistics Korea, 2017). 생산인구가 감소하고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저출산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고령산모는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가? 4세로, 2005년 이래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며, 출산모의 연령별 출생아 수는 35세 미만은 감소하고 35세 이상 고령산모에서는 증가하였다(Statistics Korea, 2017). 고령산 모는 산모의 연령이 35세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며, 고령산모는 고혈압, 자궁근종, 비정상 태위, 분만시간의 지연, 기계분만, 조산, 주산기 사망률, 저체중아 등의 산전합병증과 주산기 사망률이 증가하여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Heo et al., 2004; James,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u, S. Y., Cho, H. K., & Koh, S. K. (2010). Research on the delayed family formation phenomenon among the never-married professionals in Korea: a qualitative study with focus group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2), 1-19. 

  2. Baek, K. S., & Kim, H. S. (2013).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elf-esteem, gender-role attitudes and family functioning on perceptions of marriag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8(3), 205-223. 

  3. Baik, J. W., Nam, H. E., & Ryu, J. S. (2012). The effects of the college students' will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playing on self-efficacy, happiness,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6(1), 173-183. 

  4. Bayrampour, H., Heaman, M., Duncan, K. A., & Tough, S. (2012). Comparison of perception of pregnancy risk of nulliparous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and younger age. Journal of Midwifery and Women's Health, 57(5), 445-453. 

  5. Chan, C. H. Y., Chan, T. H. Y., Peterson, B. D., Lampic, C., & Tam, M. Y. J. (2015). Intentions and attitudes towards parenthood and fertility awareness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Hong Kong: A comparison with Western samples. Human Reproduction, 30(2), 364-372. 

  6. Choi, H., & Lee, S. H. (2014). Factors Influencing the Value of Having Childre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587-595. 

  7.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8. Heo, H., Hwang, J. Y., Kim, D. G., Lee, H. J., Sim, J. C., & Yang, H. S. (2004). A clinical study of pregnancy and delivery in pregnant women 35 years and older.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7(3), 458-463. 

  9. James, D. K. (2011). High risk pregnancy: management options (4th ed.). Philadelphia, PA: Saunders & Elsevier. 

  10. Je, N. J., & Choi, S. Y. (2014). The study on unmarried women over the age of 30, regarding the value of marriage and children and the knowledge of high risk pregnan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8(2), 250-263. 

  11. Johnson, J. A., & Tough, S. (2012). Delayed child-bearing.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Canada, 34(1), 80-93. 

  12. Kim, H., & Hong, Y. (2013). Attitude to reproductive health, value of marriage and children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14(1), 13-24. 

  13. Kim, M. Y., & Song, Y. (2012). University students' values on marriage, gender role, and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303-311. 

  14. Kim, T. H., Yu, J. Y., & Kim, H. H. (2012). A study on the marriage and child valu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5(1), 1-22. 

  15. Koo, Y. H., Kim, S. K., Shim, J. Y., Won, H. S., Lee, P. R., & Kim, A. (2006). Analysis of preterm birth rate based on birth certificate data: from 1995 to 2003.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9(9), 1855-1865. 

  1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2015). The public's perception and needs monitoring for coping with a low fertility and ageing society. (Report No. 2015-07). Retrieved from KIHASA website: https://www.kihasa.re.kr/web/publication/newbooks_pdsissue/view.do?menuId43&tid71&bid18&ano2018 

  17. Lampic, C., Svanberg, A. S., Karlstrom, P., & Tyde'n, T. (2006). Fertility awareness, intentions concerning childbearing, and attitudes towards parenthood among female and male academics. Human Reproduction, 21(2), 558-564. 

  18. Lee, H. Y. (2007). Comparative analysis of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and sex educati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tudents in adolesc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19. Meissner, C., Schippert, C., & von Versen-Hoynck, F. (2016). Awareness,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infertility, fertility assessment,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in the era of oocyte freezing among female and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ssisted Reproduction and Genetics, 33(6), 719-729. 

  20. Na, Y. M., & Kim, K. Y. (2012). Research on the values the pre parents generation places on marriage and childbirth.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Review, 16(2), 215-234. 

  21. OECD. (2017). OECD Family database (SF2.1: Fertility rates). Retrieved from OECD website: https://www.oecd.org/els/family/SF_2_1_Fertility_rates.pdf 

  22. Oh, J. (2007). Effects of providing information on stress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of women with preterm labor.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0(2), 99-109. 

  23. Park, H. S., Lee, G. E., & Hong, Y. L. (2000). The effect of health education on the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9(3), 239-254. 

  24. Park, J. (2016). The effects of family values and expectation for social support on marriage intention amo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4(4), 21-35. 

  25. Peterson, B. D., Pirritano, M., Tucker, L., & Lampic, C. (2012). Fertility awareness and parenting attitudes among American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Human Reproduction, 27(5), 1375-1382. 

  26. Sohn, S. Y., & Kim, E. (2010). A Study of the gender and generation differences of the family values and perception of low fertility in Korean society.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34(4), 169-200. 

  27. Sorensen, N. O., Marcussen, S., Backhausen, M. G., Juhl, M., Schmidt, L., Tyden, T., & Hegaard, H. K. (2016). Fertility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s parenthood among Danish university college students. Reproductive Health, 13(1), 146. 

  28. Statistics Korea. (2017).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Birth statistics, Marriage and divorce statistics in 2016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3/index.board 

  29. Tough, S., Benzies, K., Newburn-Cook, C., Tofflemire, K., Fraser-Lee, N., Faber, A., et al (2006). What do women know about the risks of delayed childbearing?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97(4), 330-334. 

  30. Vassard, D., Lallemant, C., Nyboe Andersen, A., Macklon, N., & Schmidt, L. (2016). A population-based survey on family intentions and fertility awareness in women and men in the United Kingdom and Denmark. Upsala Journal of Medical Sciences, 121(4), 244-25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