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알아본 대중의 과학관에 대한 인식 및 사용 행태
Public Perception and Usage Pattern of Science Museum by Social Media Big Data Analysi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6, 2017년, pp.1005 - 1014  

윤은정 (경북대학교) ,  박윤배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중의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기관으로서의 과학관의 역할에 주목하고, 우리나라 과학관이 대중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대중의 과학관에 대한 인식과 사용 행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블로그와 트위터에에서 '과학관'이 포함된 게시글들을 추출한 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빈도 분석, 공기어 분석의미 분석을 실시하고 영어권의 분석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블로그에서는 주로 어린 자녀를 둔 부모 층에서 과학관이 이슈가 되고 있었고, 트위터에서는 단체 관람을 하는 학생 층이 다수 드러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중들은 과학관을 주로 아이의 체험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었고, 이 경우 과학관의 프로그램과 전시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단체 관람하는 학생들은 다소 부정적 감정을 표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관과 대중과의 소통, 대중의 과학에 대한 참여 등 제 3세대적 과학관의 기능적 측면에서 외국의 사례와 비교해본 결과 우리나라 대중들은 과학관 관람 이후 관람한 과학적 내용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었고, 논쟁이나 심포지움 등 과학적 의사소통과 관련된 언급 역시 거의 없었다. 또한 해설사나 직원들도 외국과는 달리 전혀 회자되지 않고 있었다. 한편, 영어권 게시글의 동사 분석에서 '배우다', '참여하다', '듣다', '읽다', '묻다', '생각하다', '그리다' 등의 유의미한 활동과 관련된 동사들이 다수 나타난 것에 비해 우리나라 게시글에서는 '물어보다', '생각하다' 가 소수 나타나는 것에 그치고 있었다. 따라서 과학관은 과학관 관람객들이 관람을 마친 뒤에 그들의 기억에 남고 대중들 사이에서 회자될 만큼 영향력 있고 다양한 내용과 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cusing on the role of the science museum as an institution to improve the scientific literacy of the public, this study investigated public perception and behavior about science museum to know how much science museums affect the public by using social media big data analysis. For this purpose, w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네이버 블로그와 트위터를 중심으로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대중들의 과학관에 대한 관심 특성, 이용 행태, 여론 등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셜 빅데이터의 분석 결과들은 주로 데이터 생산 주체의 행동에 변화를 주는 과정으로 이어지고 활용된다(Jung, 2011).
  • 본 연구는 2개월 정도의 짧은 기간 동안 특정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대중들의 글을 분석한 결과이다. 따라서 시기적 특성과 분석 대상이 된 미디어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고, 소셜 미디어를 잘 사용하지 않는 세대들의 의견이나 소셜 미디어에 표현하지 않은 대중의 인식은 배제되어 있으므로 우리나라 모든 대중의 의견을 대변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 본 연구는 대중의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기관으로서의 과학관의 역할에 주목하고, 우리나라 과학관이 대중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대중의 과학관에 대한 인식과 사용 행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블로그와 트위터에에서 ‘과학관’이 포함된 게시글들을 추출한 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빈도 분석, 공기어 분석 및 의미 분석을 실시하고 영어권의 분석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 이상에서 소셜미디어의 빅데이터에 나타난 대중들의 국내 과학관에 대한 인식 및 이용행태를 살펴보았다. 블로그 분석을 통해 국내 대중들은 과학관을 주로 아이의 체험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과학관의 프로그램과 전시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따라서 우리나라 과학관이 3세대적 과학관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학생 대상의 교수학습 공간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일반 대중의 입장에서 현재 우리나라 과학관의 현 주소를 재조명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대중들이 과학관에 대해서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과학관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또 대중에게 과학관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 한편, 연구 결과에서 드러났듯이 국내 과학관들은 제 3세대적 과학관으로서의 기능은 거의 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과학관이 제3세대적 과학관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에 대한 사회와 대중의 역할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기술이 우리 사회와 개인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과학에 대한 사회와 대중의 역할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과학기술 사회의 대중은 과학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개인의 삶에 잘 활용하는 수준을 넘어서 사생활 침해, 환경 훼손, 생명존엄성 위협, 중독 등 큰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정책 결정 과정에 합리적으로 참여 및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고(Hong, 2006), 기후변화, 환경 개선, 보건 위생 등 대중의 실천 없이는 해결이 불가능한 국제적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Bunten & Arvizu, 2013). 이와 같이 과학기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대중이 갖추어야 할 일련의 과학 관련 능력들을 과학적 소양이라고 부르는데, 과학적 소양은 과학 개념들과 과학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해를 개인적 경험과 가치 형성, 그리고 개인 및 시민 생활의 다양한 과학 관련 문제에 적용하는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Henriksen & Frφyland, 2000).
과학적 소양이란? 과학기술 사회의 대중은 과학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개인의 삶에 잘 활용하는 수준을 넘어서 사생활 침해, 환경 훼손, 생명존엄성 위협, 중독 등 큰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정책 결정 과정에 합리적으로 참여 및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고(Hong, 2006), 기후변화, 환경 개선, 보건 위생 등 대중의 실천 없이는 해결이 불가능한 국제적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Bunten & Arvizu, 2013). 이와 같이 과학기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대중이 갖추어야 할 일련의 과학 관련 능력들을 과학적 소양이라고 부르는데, 과학적 소양은 과학 개념들과 과학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해를 개인적 경험과 가치 형성, 그리고 개인 및 시민 생활의 다양한 과학 관련 문제에 적용하는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Henriksen & Frφyland, 2000). 그러나 대중의 과학적 소양 증진 및 과학에 대한 참여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론적 한계 및 실천적 방법론의 미흡으로 아직까지 우리 사회에서 대중에 대한 과학 소양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Park & Lee, 2010).
과학적 소양은 어떤 능력을 포함하고있는가? 과학기술 사회의 대중은 과학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개인의 삶에 잘 활용하는 수준을 넘어서 사생활 침해, 환경 훼손, 생명존엄성 위협, 중독 등 큰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정책 결정 과정에 합리적으로 참여 및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고(Hong, 2006), 기후변화, 환경 개선, 보건 위생 등 대중의 실천 없이는 해결이 불가능한 국제적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Bunten & Arvizu, 2013). 이와 같이 과학기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대중이 갖추어야 할 일련의 과학 관련 능력들을 과학적 소양이라고 부르는데, 과학적 소양은 과학 개념들과 과학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해를 개인적 경험과 가치 형성, 그리고 개인 및 시민 생활의 다양한 과학 관련 문제에 적용하는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Henriksen & Frφyland, 2000). 그러나 대중의 과학적 소양 증진 및 과학에 대한 참여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론적 한계 및 실천적 방법론의 미흡으로 아직까지 우리 사회에서 대중에 대한 과학 소양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Park & Le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nderson, D., Lucas, K. B., & Ginn, I. S. (2003). Theoretical perspectives on learning in an informal sett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2), 177-199. 

  2. Appranker (2017). http://www.appranker.co.kr (2017.10.1.) 

  3. Bradburne, J. (1998). Dinosaur and white elephants: The science center in the twenty-first century.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7(3), 237-253. 

  4. Bradburne, J., & Janousek, I. (1993). Planning science museums for the new Europe. UNESCO. 

  5. Bransford, D., Brown, A., Cocking, R. (1999). How people learn. Washington, D. C. : National Academy Press. 

  6. Bunten, A., & Arvizu, S. (2013). Turning visitors into citizens: Using social science for civic engagement in informal science education centers. Journal of Museum Education, 38(3), 260-272. 

  7. Chen, J., Hsieh, G., Mahmud, J., & Nichols, J. (2014). Understanding individuals' personal values from social media word use. Proceedings of the 17th ACM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 Social computing. ACM, 405-414. 

  8. Choi, K. (2005). Understanding the present position of STS education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science museums through analysis of exhibits on STS-related cont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3), 336-345. 

  9. Choi, E. (2013). Analyzing the level of science communication embedded in Natural History Museum exhibition panels for the popularization of science.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10. Falk, J., & Dierking, L. (2010). The 95% solution: School is not where most Americans learn most of their science. American Scientist, 98, 486-493. 

  11. Falk, J., & Needham, M. (2011). Measuring the impact of a science center on its commun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1), 1-12. 

  12. Filippoupoliti, A., & Koliopoulos, D. (2014). Informal and non-formal education: A outline of history of science in museums. Science & Education, 23, 781-791. 

  13. Freeman, L. C. (1978).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 215-239. 

  14. Granovetter, M. S. (1973).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6), 1360-1380. 

  15.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2014). Annual report 2014.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16. Han, M., Yang, C., & Noh, T. (2010).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for instructions for using the science muse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8), 1060-1073. 

  17. Henriksen, E. K., & Fr $\varphi$ yland, M. (2000). The contribution of museums to scientific literacy: Vies from audience and museum prefessionals. Public Understand of Science, 9, 393-415. 

  18. Hong, J., & Yun, H. (2014). The diffusion of rumor via Twitter.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66, 59-86. 

  19. Hong, S. (2006). Probability of new governance in science technology policy.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6, 109-124. 

  20. Hwang, S., Bae, J., Nam, S., Kim, J., & Kim, J. (2013). The government PR frame analysis and IMC strategy - The frame comparison of onand off-line media and the expert interview -. Social Science Research. 29(4), 249-279. 

  21. Im, J., & Lee, B. (2014). Analysis of students’ behavior patterns in science museums according to watching rate and watching hour : Focused on the basic science hall in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8(4), 1011-1032. 

  22. Janousek, I. (2000). The context museum: integrating science and culture. Museum International. 52(4), 21-24. 

  23. Jo, J., & Lee, J. (2008).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blog service by portal websites. Journal of KECRA, 9(2), 79-95. 

  24. Jung, J. (2011). New value creation engine: New possibilities and strategies of big data. IT & Future Strategy, 18, 1-24. 

  25. Kim, S., & Song, J. (2003).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s in science cent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exhibi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5), 544-560. 

  26. Kim, J., Oh, Y., & Choi, K. (2012). Analysis of perceptions betwee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pre-service science museumstaff on the role of and education in science museum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4), 261-280. 

  27. Koster, E. (1999). In search of relevance: Science centers as innovators in the evolution of museums. America’s Museums, 128(3), 277-296. 

  28. Lee, K. (2005). A study on marketing strategy and effect using blog. Proceedings of the Fall Conference of 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137-1144. 

  29. Lee, Y. K. (2017). SNS Users' risk perception on social big data risk. Doctorial thesis. Sung Kyun Kwan University. 

  30. Moon, H., & Shin, M. K. (2014). An epistemological analysis of exhibition panels in science centers as an informal science education venue. Teacher Education Research, 53(4), 789-802. 

  31. National Science Museum (2015). Annual report 2015. National Science Museum. 

  32. Osborne, J., & Dilon, J. (2007). Research on learning in informal contexts: Advancing the field?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2), 1441-1445. 

  33. Park, B., Seo, H., & Na, Y. (2008). A study on the effects of blog characteristics on the brand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Studies, 16(3), 1-40. 

  34. Park, J., & Kim, K. (2012). Study on roles and development methods of science museum for scientific culture. Korea Science & Art Forum, 11, 1-11. 

  35. Park, D., & Lee, J. (2010). Online science shop: An improved participatory model for social science and technology.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2), 6-47. 

  36. Park, J., Yun, E., & Park, Y. (2015). Analysis of exhibitions and programs of Daegu National Science Museum by levels of science communication and domains of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2), 290-305. 

  37. Pusan National Science Museum (2017). Statistical data. Pusan National Science Museum. 

  38. Rennie, L. J. (2007). Develop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literacy through community projects. In B. Choksi & C. Natarajan (Eds.), The epiSTEME Reviews: Research trends in Science Technology and Mathematics Education, 2, 179-196. Delhi: Macmillan India Ltd. 

  39. Shin, Y., Shin, M., Jhun, Y., Chung, K., Lim, D., Moon, M., Lim, J., & Lee, B. (2013).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science museum: Focus on organization, operation, an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2), 359-372. 

  40. Wagensberg, J. (2004). The basic principles of modern scientific museology, Museos de Mexico y del Mondo, 1(1), 14-19. 

  41. Wasserma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 Methods and applications, N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Yun, E., Park, J., & Park, Y. (2015). Investigation of public's perception about science museum in SNS using big data method. International Symposium of Science Museums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