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한 신 소비시장 트렌드 연구 - '나홀로 소비' 연관어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New Consumer Market Trend by Social Big data Analysis -Focusing on the 'alone consumption' associ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367 - 376  

추진기 (경기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신 소비시장 트렌드에 관한 통계에 따르면 그 중심에 '나홀로 소비' 가 있다. 본 연구는 특정 사회적 트렌드는 그것에 대한 배경을 형성하고 있는 사회와 지역성, 문화, 경제, 심리 등 삶의 다양한 측면들을 통합적인 시각으로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측면에서, 수많은 대중의 의견이 수렴되는 신 소비시장 관련 리서치 데이터에서 추출한 '나홀로 소비' 연관어를 분석 키워드로 설정하였고, 분석솔루션 중 하나인 소셜메트릭스TM를 통한 오피니언 분석(Opinion Analisys) 기법을 활용하여 신 소비시장 트렌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신 소비시장 고찰결과 '혼밥', '혼술', '혼영'이라는 키워드가 도출되었고 이를 활용하여 신 소비시장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나홀로 소비는 기존 소비자 트렌드 가운데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에 인구변화와 함께 야기된 필연적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되었고 연관어에 따른 긍, 부정 감정분석의 결과도 대체로 긍정적인 데이터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소비 트렌드는 시대를 반영하는 새로운 트렌드로서의 중요성이 더욱 강화될 것이다. 향후 소셜 빅데이터에 의한 트렌드 분석이 본 연구보다 다양한 분석 도구를 통해 실행된다면 신 소비시장에 관한 새롭고 가치 있는 유통전략 및 기획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recent statistics on new consumer market trends, 'alone consumption' is at the center.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al big data that attracts the public's opinions in that it is important for a certain social tren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various fields such as society, local...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해 나홀로 소비에 관한 시대적 트렌드 고찰하였고 연관된 해당 키워드로 소셜 빅데이터 트렌드 분석에 활용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 정보의 가치를 높이는 것에 대한 인식을 제고 하고자 하였다. 다만 연구의 범위가 다소 제한적인 키워드와 한정된 데이터 수집 기간 및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고 오피니언 분석으로만 진행되어 분석기법상 다양성 부족으로 인한 제한적인 분석인 만큼 전체를 대변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노출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8년 1인 가구 비율의 비율은?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00년 15.5%에 불과했던 1인 가구 비율이 2018년 28.6%까지 급증하였고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발간한 ‘인구변화에 따른 소비시장 신(新) 풍경과 대응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급격한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국내 소비시장이 빠른 속도로 재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가족 중심 소비패턴이 향후 ‘나 홀로’ 소비패턴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인가구가 많아지면서 생긴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은? 개인의 사생활에 대한 존중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이 생기고 익숙했던 사회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라이프 스타일의 변곡점을 형성하게 된다. 혼밥(혼자 먹는 밥), 혼술(혼자 마시는 술), 혼행(혼자 하는 여행), 혼영(혼자 보는 영화), 1인과 경제를 뜻하는 1 코노미(1 Conomy) 등과 같은 신조어의 등장은 국내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라이프 스타일 및 경제구조의 변화를 단적 으로 보여주고 있다[12]. 나홀로 시장도 소비자가 스스로의 욕망에 대해 답하며 새로운 관점으로 변모하며 생긴 현상이다.
1인 가구란? 사회 정서상 나 홀로족, 싱글족, 1인 가구들로 혼용되기도 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하는 집단, 즉 ‘혼밥’, ‘혼술’, ‘혼영’을 유발 하고 지속하는 나홀로족에 대한 구분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들 간의 정의를 살펴보면, 싱글족은 누군가와 교제 를 하지 않는 개인 또는 법적으로 배우자가 없는 성인으로 정의[8]할 수 있으며, 1인 가구는 독자적으로 요리 또는 수면을 포함한 싱글 라이프를 즐기며 스스로 가정을 관리하는 개인 또는 독립적인 공간에서 혼자서 사는 사람으로 정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 J. Chun. (2019). Analysis of Real Estate Market Trend Using Text Mining and Big Dat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4), 49. DOI : 10.14400/JDC.2019.17.10.049 

  2. S. D. Yoo, K. D. Choi & S. G. Shin. (2014). Characterizing Business Strategy in a New Ecosystem of Big Dat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4), 2. DOI : 10.14400/JDC.2014.12.4.1 

  3. Statistical Korea. (2018). Prospective Population Estimates Statistical Report. Seoul. KOSIS. 

  4. K. H. Kwon. (2015). Demographic Changes and Long-term Growth Outlook in Korea. KDI. 

  5. S. H. Joo. (2018). Three Keywords Appear and Value in the Consumer Market 'Seniors', 'Alone'. Daum News. https://news.v.daum.net/v/20181223145726495. 

  6. K. J. Song. (2016). 'Consumption increase' Alone for Single Households amid Sluggish Economy. Wooritvnews. 

  7. S. Y. Kim. (2017). The power of the Honbab peopl e…51.1% growth in five years. The Hankyoreh. 

  8. T. D, Conley & B. E. Collins. (2002). Gender, Relationship status and stereotyping about Sexual Risk.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8(11), 1483-1494. 

  9. Korea Economy Dictionary. (2019). 'Nahollojog' http://dic.hankyung.com/apps/economy.view?seq9170 

  10. Shinhan Card. (2018). 'Solo Consumption' Who is it?. ShinhanCardBlog. https://www.shinhancardblog.com/318 

  11. S. Y. Lee, S. W. Kim & H. S. Lee. (2019). Study on the Privacy Awareness through Bigdata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0), 49-58. DOI : 10.14400/JDC.2019.17.10.049 

  12. M. K. Lee. (2018). Analysis of Korean Travel Trends Using Social Big Data. Journal of Tourism Science, 42(10), 111-134. DOI : 10.17086/JTS.2018.42.10.111.134 

  13. K. O. Kim. (2004). Consumer Informatics in the Digital Society. Seoul. Sigma Press. 

  14. B. C. Shin. (2007). Marketing Trends. Paju. SalimPress 

  15. G. Hutton & M. Fosdick. (2011). The Globalizationof social media: Consumer relationships with brands evolve in the digital spac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51(4), 564-570. 

  16. P. Breuer, L. Forina & J. Moulton. (2013). Beyond the hype: Capturing value from big data and advanced analytics. NY. McKinsey and Company. 

  17. M. M. Kang, S. L. Kim & S. M. Park. (2012). Big data analysis and utilization,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0(6), 25-32. 

  18. H. Y. Lee. (2011). Learn Facebook Easily. Seoul. Youngin.com. 

  19. G, Gryman. (2010). Tapping into Power of Big Data. Technology Forecase. Gartner Symposium., 2010(3), 4-13. 

  20. M. Peter. (2009). Subject to Change. Seoul. Hanbit-Media. 

  21. S. H. Kim. (2017). Difference of design research component by type of Service design Projects.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8(5),71-82. 

  22. J. K. Choo. (2019). A Study on Social Research using SNS Enterprise Big Data Visualization and Analysis Tool in Web 3.0 Era.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20(6), 98-108. 

  23. R. H. Ducofe. (1996).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5(12),132-140. 

  24. B. W. Kang, & M. K. Huh & S. B. Choi. (2015). Performance axnd text mining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19-30. DOI : 10.7465/JDC.2015.26.3.619 

  25. S. B. Jang. (2017). Online Opinion Analysis of Performing Arts through Social Big Data. Journal Korea Society of Visual Design Forum, 57, 79-90. 

  26. J. H. Oh, D. J. Kim & J. D. Kim. (2014). Big Data Visualization Methods and Visualization Process. Korea Mulimedia Society, 18(1), 24-31. DOI : 10.7465/JDC.2015.26.3.6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