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윤리적 패션소비에 따른 패션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의 차이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Fashi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y Ethical Fashion Consumptio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1 no.6, 2017년, pp.1071 - 1084  

박혜선 (배재대학교 의류패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ethical fashion consumption factors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factors to segment consumer groups by ethical fashion consumption (EFC) and identify differences of EFC groups in the perception of CSR and demographics. I surveyed 390 people over age 20 in Febru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패션소비에 따라 소비자 집단을 세분화하여 이 집단들 간의 패션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과 인구통계적 변인들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 패션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윤리적 소비에 따른 시장세 분화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 20대 이상 남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윤리적 패션소비와 패션기업의 사회적 책임인식의 차원과 정도를 밝히고, 윤리적 패션소비에 따라 소비자 집단을 세분화하여 세분집단들 간의 패션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인구통계적 변인들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국내 패션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와 패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높이고, 윤리적 패션소비에 따른 세분집단들의 특성에 맞는 상품기획과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자료를 편의표집하였으므로 모집단의 대표성이 결여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으므로 결과의 확대 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산업분야의 지속 가능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를 해결하기 위해 패션 산업에서 어떤 것이 진행되는가? 패션산업분야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제품생산 공정의 오염문제, 빠른 트렌드의 변화에 의한 대량 쓰레기 매립 및 소각, 저임금 국가의 노동착취 등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지적들이 등장하면서 패션 산업에서는 윤리적 패션과 관련된 재활용이나 공정무역, 지속가능경영 등의 다양한 실천이 진행되고 있다(Son, 2016). 그리고 패션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예술후원, 소외계층 지원, 환경보호활동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정한 생산 및 무역을 강조하고 실천하는 다양한 대안기업들도 등장하고 있으며, 친환경 제품디자인이나 제품라인의 개발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Choi & Lee, 2009).
윤리적 소비란 무엇인가? Cowe and Williams(2001)는 윤리적 소비를 상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할 때 환경적인 또는 윤리적인 고려를 하는 소비라고 하였으며, Wikipedia(2016)는 윤리적 소비를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윤리적 가치판단에 따라 의식적인 선택을 하는 것 또는 윤리적으로 올바른 선택을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Harrison et al.
사회적 책임활동은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착한 경영에 대한 영향력은 공익경영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진정경영과 배려경영인 것으로 나타났다. Park and Lee(2012)는 사회적 책임활동을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 윤리적 책임, 사회적 책임, 환경적 책임으로 구분하고 공정무역 제품의 신뢰, 구매의도,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법적 차원과 윤리적 차원, 자선적 차원, 환경적 차원들은 공정무역 제품의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공정무역 제품의 신뢰는 구매의도와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hn, S. K., & Ryou, E. J. (2011).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ontents analysis of Korean fashion corporations websi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4), 455-465. doi:10.5850/JKSCT.2011.35.4.455 

  2. Ahn, S. K., & Ryou, E. (2013). CSR expectation from fashion firms and its impact on brand equity. Fashion & Textiles Research Journal, 15(1), 73-83. doi:10.5805/SFTI.2013.15.1.073 

  3. Bowen, H. R. (1953).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businessman. New York, NY: Harper. 

  4. Callen, K. S., & Ownbey, S. F. (2003). Associations between demographics and perceptions of unethical consumer behaviour.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7(2), 99-110. doi:10.1046/j.1470-6431.2003.00289.x 

  5. Carroll, A. B. (1991). 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 Business Horizons, 34(4), 39-48. doi:10.1016/0007-6813(91)90005-G 

  6. Carroll, A. B., & Buchholtz, A. K. (2002). Business & Society: Ethics and stakeholder management (5th ed.). Cincinnati, OH: South-Western College Pub./Thomson Learning. 

  7. Chang, J., & Chaiy, S. (2007).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시장지향성과 경영자의 지원이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performance - Impact of market orientation and management support]. Proceedings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tegrated Conference, Korea, 1-16. 

  8. Choi, Y. J., & Lee, Y. (2009). Review of research in fashion industry ethics.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6, 63-69. 

  9. Choi, M. K., & Sung, H. (2013). A study on social responsibility practices of fashion corporation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1), 167-179. doi:10.5934/KJHE.2013.22.1.167 

  10. Chun, K. H., Song, I. S., Hong, Y. G., & Yoon, M. A. (2012). A study on changes in cognition and practice of undergraduate students after taking the course 'Consumption and Ethic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1(3), 505-526. doi:10.5934/KJHE.2012.21.3.505 

  11. Chung, K., & Lee, Y. (2015). Dynamic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SR activities of fashion companies and consump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products through systems thinking.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16(4), 103-128. 

  12. Cowe, R., & Williams, S. (2001). Who are the ethical consumers? Mancheater: The Co-operative Bank. 

  13. Dahlsrud, A. (2008), How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defined: an analysis of 37 definition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15(1), 1-13. doi:10.1002/csr.132 

  14. Harrison, R., Newholm, T., & Shaw, D. (Eds.). (2005). The ethical consumer. London: SAGE Publications Ltd. 

  15. Hong, E. S., & Shin, H. Y. (2010). The ethical consumptions and related variables of the undergraduat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8(5), 131-149. 

  16. Hong, E. S., & Shin, H. Y. (2011). A study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Classification and analysis according to the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4), 801-817. doi:10.5934/KJHE.2011.20.4.801 

  17. Hong, Y. G., & Song, I. S. (2010). The concept and practice areas of ethical consumption. Com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6(4), 91-110. 

  18. Huh, J. H., Park, S. B., & Hong, J. W. (2013). The exploratory study of the constructs of good business. Korean Management Consulting Review, 13(4), 189-210. 

  19. Jang, N. (2013). Product development process for ethical fashion design - Fair trade system approac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1), 16-26. doi:10.7233/jksc.2013.63.1.016 

  20. Joergens, C. (2006). Ethical fashion: myth or future trend?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0(3), 360-371. doi:10.1108/13612020610679321 

  21. Jung, Y. Y., & Lee, J. H. (2009). Exploratory study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fashion brand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6), 1247-1256. doi:10.5934/KJHE.2009.18.6.1247 

  22. Kang, J. H., & Kim, H. H. (2012). Developing a scale for measur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a fashion br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6), 67-79. doi:10.7233/jksc.2012.62.6.067 

  23. Ko, H. (2010). Ethical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8), 151-167. 

  24. Koh, A. R. (2009). Ethical consumer behavior in Korea: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6, 54-62. 

  25. Koh, A. R., & Noh, J. (2009). Ethical fashion consumer behavior in Korea-Factors influencing ethical fashion consump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2), 1956-1964. doi:10.5850/JKSCT.2009.33.12.1956 

  26. Lee, M., & Johnson, K. K. P. (2007). Effects of ethical ideologies on the Korean consumers' perceptions and purchase intentions of fashion counterfei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12), 1793-1802. doi:10.5850/JKSCT.2007.31.12.1793 

  27. Lee, S. H. (2004).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nd consumer ethics on fashion counterfeits among Korean, Japanese, and Hong Kong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1), 1438-1447. 

  28. Lee, S. H., & Kim, B. Y. (2011). A study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socially responsible fashion corpora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7(1), 424-434. 

  29. Lee, S. H., & Noh, Y. N. (2007). Empirical study on variables affecting consumer ethics related to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 141-150. doi:10.5850/JKSCT.2007.31.1.141 

  30. Low, W., & Davenport, E. (2007). To boldly go...exploring ethical spaces to re-politicise ethical consumption and fair trade.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An International Research Review, 6(5), 336-348. doi:10.1002/cb.226 

  31. Moon, H., Choo, H. J., Park, H. S., & Back, E. (2013). The roles of benefit and risk perception in ethical fashion consump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2), 159-173. doi:10.5850/JKSCT.2013.37.2.159 

  32. Na, Y. K. (2016).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of fashion social brand on brand equity.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8(2), 1-14. 

  33. Park, H. J., & Lee, S. H. (2012). Relationship amo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rust in fair trade certified products, purchase intention and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price. Journal of Product Research, 30(7), 103-122. 

  34. Park, H. S. (2011). Purchase and satisfaction of fashion products among LOHAS consumer seg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5), 513-526. doi:10.5850/JKSCT.2011.35.5.513 

  35. Shin, K. K. (2003). The effectiveness of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ampaign: A case study of 20 years activities of keep Korea green campaig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4(5), 205-221. 

  36. Son, M. Y. (2016).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the index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on-line fashion advertising.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0(1), 53-68. doi:10.12940/jfb.2016.20.1.53 

  37. Son, M. Y., & Yoon, N. (2016). Effects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the evaluation of the online fashion advertisement sustainability.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9(2), 43-54. doi:10.14695/KJSOS.2016.19.2.43 

  38. Suk, H., & Lee, E. J. (2013). The value, knowledge, and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of fashion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3), 424-438. doi:10.5850/JKSCT.2013.37.3.424 

  39. Swaen, V., & Chumpitaz, R. C. (2008).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nsumer trust. Recherche et Applications en Marketing (English Edition), 23(4), 7-34. doi:10.1177/205157070802300402 

  40.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2015, November 5). 2015 주요 기업.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 [Major corporate and corporate foundation social contribution white paper]. FKI. Retrieved January 30, 2017, from http://www.fki.or.kr/FkiAct/Promotion/Report/View.aspx?content_id82d94f1c-fd5e-4a6c-b283-1a2ce2bf9921 

  41. Tracy, A. P., & Oskamp, S. (1983-84). Relationships among ecologically responsible behaviors. Journal of Environmental Systems, 13(2), 115-126. doi:10.2190/6TN8-48WT-63XT-CHEN 

  42. Wikipedia. (2016, June 17). 윤리적 소비 [Ethical consumption]. Wikipedia. Retrieved September 16, 2017,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C%9C%A4%EB%A6%AC%EC%A0%81_%EC%86%8C%EB%B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