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과 교대근무와 주간근무 간호사에서 수면의 주관적 및 활동기록기 평가의 비교
Comparisons of Subjective and Actigraphic Measurements of Sleep between Shift-working and Daytime Psychiatric Nurse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5 no.2, 2017년, pp.166 - 175  

곽준 (국립나주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윤보현 (국립나주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전봉희 (국립나주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시영화 (국립나주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송제헌 (국립나주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박수희 (국립나주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경민 (국립나주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정하란 (국립나주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정유란 (국립나주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박진형 (국립나주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교대근무수면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건강상의 문제와 연관이 있고 결국에는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임상현장에서는 주로 대상자의 주관적인 보고에 의하여 수면을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신과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을 주관적인 수면평가와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평가를 통해 주간근무자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교대근무 간호사 23명과 주간근무 간호사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PSQI를 이용하여 주관적인 수면의 질을 평가하였고 기타 자기보고척도를 이용하여 정신사회적 측면을 평가하였다. 객관적인 수면을 측정하기 위해 활동기록기를 총 7일간 착용하도록 하였고, 그 기간 동안 수면일지를 함께 작성하였다. 교대근무군과 주간근무군간에 활동기록기의 수면변수, PSQI 총점과 구성요소 그리고 자기보고척도로 평가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PSQI 총점은 양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PSQI 구성요소 중에서 교대근무군이 유의하게 수면의 질(C1)이 나쁘고, 수면장애(C5)와 수면제 사용(C6)이 많으며, 주간기능장애(C7)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기록기로 측정한 수면변수에서 교대근무군이 주간근무군에 비해 유의하게 잠자리에 누워있는 시간과 총 수면시간이 짧으며, 수면효율이 떨어지고, 평균각성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교대근무 간호사가 주간근무 간호사에 비해 주관적 수면평가 및 활동기록기를 통한 객관적 지표 모두에서 수면에 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활동기록기가 수면장애를 평가하는데 있어 주관적 설문만으로는 측정이 어려운 객관적 수면변수를 측정하는 데 유용한 도구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Shiftwork is known to be one of the common causes of sleep and health problems and finally causes the decreased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leep patterns of shift-working and daytime psychiatric nurses using actigraphy and compare it with subject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국립정신 병원에 근무하는 교대근무 간호사와 주간근무 간호사의 수면양상을 객관적 검사도구인 활동기록기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주관적 평가도구로 측정한 결과와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7) 많은 검사 비용으로 반복 평가가 어렵고, 검사 과정 자체도 불편하여 평상시의 수면 구조를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낮 동안의 수면이나 24시간 동안의 수면 각성 주기를 평가할 수가 없다.17) 이러한 제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활동기록기(actigraphy)가 수면장애를 포함한 정신과적 질환의 객관적인 검사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정상인에서 활동기록기와 수면다원검사의 수면지표간 일치도가 92%에 이르렀다는 보고도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이란? 수면(sleep)이란 행동학적 측면에서 정의할 때, 주위 환경을 지각하지 못하고 주위 환경에 대해 반응을 보이지 않는 가역적인 행동 상태이다.1) 그러나, 단순히 각성 상태에 대비되는 수동적인 상태라고 보았던 과거의 견해와는 달리 최근의 연구를 통해 수면은 정교한 메커니즘에 의해 조절되는 특별한 뇌의 활동이며 역동적인 행동으로 밝혀졌다.
수면다원검사의 단점은? 현재까지 알려진 수면장애의 평가에서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가 가장 정확하고 기준이 되는 검사이며 다양하고 신뢰성 높은 검사 결과를 제공하는 반면 여러 제한점도 있다.17) 많은 검사 비용으로 반복 평가가 어렵고, 검사 과정 자체도 불편하여 평상시의 수면 구조를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낮 동안의 수면이나 24시간 동안의 수면 각성 주기를 평가할 수가 없다.17) 이러한 제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활동기록기(actigraphy)가 수면장애를 포함한 정신과적 질환의 객관적인 검사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정상인에서 활동기록기와 수면다원검사의 수면지표간 일치도가 92%에 이르렀다는 보고도 있다.
장기간의 수면장애가 일으키는 문제는? 교대근무로 인한 생리적 기능 이상으로는 피로의 증가,8)불면증이나 과다수면과 같은 수면장애,11) 소화기계9)나 심혈관계 질환10) 등도 관련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수면장애와 소화기계 기능이상이 가장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11) 또한 장기간의 수면장애는 사고지연, 기억력 감퇴, 느린 반응, 과민함을 유발하고 우울증과 자살경향을 높일 수도 있으며,12)잦은 결근이나13) 작업과 관련한 사고 및 부상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14) 교대근무자의 수면 건강에 대해 특히 세심한 주의와 관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Kryger MH, Roth T, Dement WC. Principles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 4th ed. Philadelphia: Elsevier;2005. p.1-13 

  2. Fuller PM, Gooley JJ, Saper CB. Neurobiology of the sleepwake cycle: sleep architecture, circadian regulation, and regulatory feedback. J Biol Rhythms 2006;21:482-493. 

  3. Hwang AR, Chung HS, Lim YS, Lee HW, Kim CJ. Effect of shift interval for the clinical nurse on the circadian rhythm. J Nurs Acad Soc 1991;21:129-149. 

  4. LaDou J, Harrison R. Current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4th ed: McGraw-Hill New York;2007. 

  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1 Survey report on labor conditions by employment typ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2011. [updated 2011 Sep 19;cited 2017 Aug 30]. Available from http://news.molab.go.kr/newshome/mtnmain.php?mtnkeyarticleview&mkeyscatelist&mkey225&aid2012. 

  6. 조규상. 산업보건학. 서울: 수문사;1991. p.44-49. 

  7. Lin PC, Chen CH, Pan SM, Pan CH, Chen CJ, Chen YM, Hung HC, Wu MT. Atypical work schedules are associated with poor sleep quality and mental health in Taiwan female nurses.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2012;85:877-884. 

  8. Son MA. What is the Origin of Inequalities in Work and Health? J Prev Med Public Health 2005;38:241-251. 

  9. Harrington JM. Health effects of shift work and extended hours of work. Occup Environ Med 2001;58:68-72. 

  10. Knutsson A. Shift work and coronary heart disease. Scand J Soc Med Suppl 1989;44:1-36. 

  11. Czeisler CA, Moore-Ede MG, Coleman RM. Resetting circadian clocks: applications to sleep disorders medicine and occupational health. In: Guilleminault C, Lugaresi E, editors. Sleep/Wake Disorders: Natural History, Epidemiology, and Long-Term Evolution. New York: Raven Pres;1983, p.243-260. 

  12. Mieda M, Sakurai T. Orexin(hypocretin) receptor agonists and antagonists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CNS Drugs 2013;27:83-90. 

  13. Kuppermann M, Lubeck DP, Mazonson PD, Patrick DL, Stewart AL, Buesching DP, Filer SK. Sleep problems and their correlates in a working population. J Gen Intern Med 1995;10:25-32. 

  14. Kling RN, McLeod CB, Koehoorn M. Sleep problems and workplace injuries in Canada. Sleep 2010;33:611-618. 

  15. Hwang SS, Hong SB, Hwang YW, Hwang EJ, Hwang JU, Hwang RG, Hwang HY, Park JG, Ju YS, Lee SJ, Sung JH, Kang DH, Cho SH, Yun DR. Effects of shiftwork on sleep patterns of nurs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8;10:1-8. 

  16. Lee JT, Lee KJ, Park JB, Lee KW, Jang KY. The relations between shiftwork and sleep disturbance in a university hospital nurs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7;19:223-230. 

  17. Seo HJ, Hong SC. Actigraphy in sleep disorders. Korean J Psychopharmacol 2010;21:183-194. 

  18. Sadeh A, Alster J, Urbach D, Lavie P. Actigraphically based automatic bedtime sleep-wake scoring: validity and clinical applications. J Ambul Monitor 1989;2:209-216. 

  19. Zhang L, Sun DM, Li CB, Tao MF. Influencing Factors for Sleep Quality Among Shift-working Nurses: A Cross-Sectional Study in China Using 3-factor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sian Nurs Res 2016;10:277-282. 

  20. 정한슬, 주은연, 최수정, 서병성, 김수근, 손유일, 김희윤, 손경훈. Actigraphy를 이용한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 비교 연구.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016 가을학술대회. 서울: 대한직업환경의학회;2016. p.410-411. 

  21. Ancoli-Israel S, Cole R, Alessi C, Chambers M, Moorcroft W, Pollak CP. The role of actigraphy in the study of sleep and circadian rhythms. Sleep 2003;26:342-392. 

  22. Colling E, Wright M, Lahr S, Schmedlen L, DeJongh L, Singer C, Sack R. A comparison of wrist actigraphy with polysomnography as an instrument of sleep detection in elderly persons. Sleep 2000;23:A378. 

  23. Oakley N. Validation with polysomnography of the Sleepwatch sleep/wake scoring algorithm used by the Actiwatch activity monitoring system. Bend: Mini Mitter, Cambridge Neurotechnology; 1997. 

  24. Buysse DJ, Reynolds CF,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1989;28:193-213. 

  25. Sohn SI, Kim DH, Lee MY, Cho Y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Breath 2012;16:803-812. 

  26. Smith CS, Reilly C, Midkiff K. Evaluation of three circadian rhythm questionnaires with suggestions for an improved measure of morningness. J Appl Psychol 1989;74:728. 

  27. Yu N, Shin S, Wang S.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JA Horne and O. Ostbergs' Morningness-Eveningness Questionnaire and on the sleep patter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5;34:642-656. 

  28. McDowell I.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1996. 

  29. Banks MH. Validat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in a young community sample. Psychol Med 1983;13:349-353. 

  30.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urement 1977;1:385-401. 

  31. Zich JM, Attkisson CC, Greenfield TK. Screening for depression in primary care clinics: the CES-D and the BDI. Int J Psychiatr Med 1990;20:259-277. 

  32. Cho MJ, Kim KH. Use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CES-D) scale in Korea. J Nerv Ment Dis 1998;186:304-310. 

  33. Spielberger CD, Gorsuch RL, Lushene RE.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1970. 

  34. 김정택.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1978. 

  35. Min SK, Lee CI, Kim KI,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0;39:571-579. 

  36. Afonso P, Figueira ML, Paiva T. Sleep-wake patterns in schizophrenia patients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World J Biol Psychiatry 2014;15:517-524. 

  37. Jang KH, Kim SJ, Lee SY, Lee JH. Sleep Wake Patterns and Nocturnal Sleep Parameters in the Morning and Evening Type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2;51:218-224. 

  38. Choi SK, Lee KS, Lee JW, Koo JW, Park CY. Health behavior practices and need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according to shift work pattern in subway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3;15:37-51. 

  39. Kim YG, Yoon DY, Kim JI, Chae CH, Hong YS, Yang CG, Kim JM, Jung KY Kim JY. Effects of health on shift-work: general and psychological health, sleep, stress, quality of life.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2;14:247-256. 

  40. Jung K, Lee H, Lee Y, Kim J, Kim Y. The effects of job stress for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07;16:158-167. 

  41. Kim JH, Hyun MY, Kim SY. Job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of clinical nurses.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09;18:219-231. 

  42. Lee WH, Kim CJ.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2006;36:925-932. 

  43. Song EA, Heo MS, An HJ, Choi JS.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on Happiness Index among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 Nurses in Korea.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7;26:46-54. 

  44. Sohn SI, Kim DH, Lee MY, Cho Y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Breath 2012;16:803-812. 

  45. Guilleminault C, Clerk A, Black J, Labanowski M, Pelayo R, Claman D. Nondrug treatment trials in psychophysiologic insomnia. Arch Intern Med 1995;155:838-844. 

  46. Wicklow A, Espie C. Intrusive thoughts and their relationship to actigraphic measurement of sleep: towards a cognitive model of insomnia. Behav Res Ther 2000;38:679-693. 

  47. Sadeh A, Sharkey M, Carskadon MA. Activity-based sleepwake identification: an empirical test of methodological issues. Sleep 1994;17:201-207. 

  48. Kwon GJ. A study on shift work nurses' sleeping pattern according to their fatigue level and working typ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