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면 홍조 증상을 수반한 중년 우울증 여성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iddle Aged Depressed Women with Hot Flushe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5 no.2, 2017년, pp.176 - 184  

송민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조숙행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현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중년 우울증 여성은 안면 홍조 증상을 자주 경험한다. 우울증과 안면 홍조 간의 연관성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과 안면 홍조가 없는 우울증 여성을 대상으로 호르몬 농도, 기능적 신체 증상, 폐경에 대한 태도 및 스트레스대처 방식을 비교하여 그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 33명과 안면 홍조가 없는 우울증 여성 3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안면 홍조 증상은 일주일에 걸쳐 전향적으로 일일 증상 척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스트레스 대처 방식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다. 신체 증상은 환자 건강 설문지(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PHQ-15)로 평가하였다. 성 호르몬 농도는 방사성면역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간편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평가도구(Brie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OL-BREF)를 이용하여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결 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있어서,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이 문제-중심의 대처 방식과($13.15{\pm}3.17$) 사회적 지지에 대한 탐색($11.83{\pm}2.84$) 항목이 안면 홍조 증상이 없는 우울증 여성에 비해 적었다(각각 $15.17{\pm}3.1$, p=0.028 ; $14.25{\pm}3.22$, p=0.009).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이 폐경 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부정적 태도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근사치로 불충분하였다(p=0.059). 본 연구에서는 PHQ-15로 평가한 신체 증상과 성호르몬 농도에서 두 군 간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 하였다. WHOQOL-BREF에 따른 사회적 대인 관계의 점수는 안면 홍조가 없는 군보다($9.71{\pm}1.65$ ; p=0.044) 안면 홍조가 있는 군에서($8.62{\pm}2.04$) 유의하게 낮았다. 결 론 우울증이 있는 중년 여성에서, 안면 홍조 증상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식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 여성에서 안면 홍조 증상은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주므로, 임상가는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환자에서 적극적으로 안면 홍조에 대하여 치료적인 접근을 해야 할 것이다. 항우울제 혹은 소량의 호르몬 치료에 반응이 없는 우울증 환자에서, 인지 행동 치료 또는 스트레스 관리가 효과적일 수 있겠다. 추후 안면 홍조 및 우울증과 관련된 위험 요인에 대한 인과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방법을 통한 종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Middle aged women with depression often experience hot flush symptoms. It is still unclear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hot flush symptoms. Therefore, we investigated hormonal profile, functional somatic symptoms, coping styles and attitude for menopause between depres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한 문화권에 걸쳐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간편형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Brie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OLBREF)를 통해 삶의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19) WHOQOLBREF는 한국 일반 인구군을 대상으로 표준화되었다.
  • 안면 홍조 증상은 폐경 전후 여성에서 흔히 호소하는 증상 중의 하나이지만, 그 증상을 인지하고 호소하는 것은 개인의 주관적인 평가에 달려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관적 증상을 전향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매일 증상을 조사하여 안면 홍조의 유무로 환자군을 나누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기분 및 불안 증상을 제외한 안면 홍조 증상의 유무만으로 두 군을 비교하였을 때, 결과에 따르면 우울증이 있는 중년 여성에서 안면 홍조 증상의 발현은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 같은 인지적 측면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었다.
  • 따라서,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안면 홍조를 보이는 중년 우울증 여성의 특성을 통해, 안면 홍조 증상이 어떠한 요인들과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과 안면 홍조가 없는 우울증 여성을 비교하여 호르몬 특성, 신체화 증상, 스트레스 대처 방식, 폐경에 대한 태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과 안면 홍조가 없는 우울증 여성을 비교하여 호르몬 특성, 신체화 증상, 스트레스 대처 방식, 폐경에 대한 태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 두 군 간 삶의 질에 대한 차이를 조사하여, 안면 홍조 증상이 우울증 환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제외 기준으로는 과거 자살 시도 및 물질 남용 또는 의존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로 하였다. 또한 중증 이상의 우울 및 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를 제외하여 이러한 증상들과 별개로 안면 홍조 증상의 유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전 2개월 동안 정신과 약물 혹은 호르몬제를 투약한 경우도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 따라서,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안면 홍조를 보이는 중년 우울증 여성의 특성을 통해, 안면 홍조 증상이 어떠한 요인들과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과 안면 홍조가 없는 우울증 여성을 비교하여 호르몬 특성, 신체화 증상, 스트레스 대처 방식, 폐경에 대한 태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 두 군 간 삶의 질에 대한 차이를 조사하여, 안면 홍조 증상이 우울증 환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안면 홍조를 보이는 중년 우울증 여성의 특성에 대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알아보았다. 안면 홍조 증상은 폐경 전후 여성에서 흔히 호소하는 증상 중의 하나이지만, 그 증상을 인지하고 호소하는 것은 개인의 주관적인 평가에 달려 있다.

가설 설정

  • 6) 호르몬 변화와 우울증 간의 연관성 또한 보고된 바 있다 : 우울증은 높은 테스토스테론 농도와 연관이 있었으나, 폐경 상태와는 무관하였다.7)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이 안면 홍조가 없는 우울증 여성과 비교하였을 때 호르몬 변화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둘째로, 우울증이 있는 중년 여성 에서 호소하는 안면 홍조가 기능적 신체 증상의 일부라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 폐경기 동안에 나타나는 안면 홍조 증상의 발생에 호르몬 변화가 미치는 역할은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가장 유력한 가설은 안면 홍조 증상이 에스트로겐 변화와 관련된 노르아드레날린 활성에 의한 체온 조절 기능에의 영향으로 유발된다는 것이다.29) 일부 과거 연구들은 폐경 이행기 동안의 호르몬 변화와 안면 홍조의 연관성을 보고하였다 ; Study of Women’s Health Across the Nation(SWAN)에서는 FSH 농도가 높을수록 안면 홍조의 빈도가 증가한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거 연구에서 안면 홍조의 발생은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첫째, 폐경 이행기 동안의 호르몬 변화가 안면 홍조 증상 및 우울 증상과 관련이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과거 연구에 따르면 안면 홍조는 높은 여포자극호르몬(FSH) 농도와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 호르몬 변화와 우울증 간의 연관성 또한 보고된 바 있다 : 우울증은 높은 테스토스테론 농도와 연관이 있었으나, 폐경 상태와는 무관하였다.
중년 여성은 어떤 장애의 발생 위험이 높은가? 중년 여성은 폐경 이행기 동안에 상당한 수준의 우울한 정서에 취약하며 심지어 과거 주요 우울 삽화의 기왕력이 없었던 여성이라도 그 기간 동안 주요 우울장애의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안면 홍조는 폐경기 증상 중 가장 흔한 것 중의 하나로서, 폐경 주위기 여성에서 우울증에 동반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안면 홍조의 부정적인 평가로 인한 폐경에 대한 인지적 평가가 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Hunter 등26) 은 이러한 안면 홍조의 인지적 모형을 주장 하였다. 안면 홍조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로 인해 이러한 폐경 문제에 대해 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며 그에 수반하는 증상에 대해 조절을 못 하는 것으로 보인다. 안면 홍조의 지각에 인지적 평가에서 보면, 스트레스 대처 방식, 사고 및 믿음이 안면 홍조의 심각도와 안면 홍조로 의한 스트레스의 정도에도 영향을 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romberger JT, Matthews KA, Schott LL, Brockwell S, Avis NE, Kravitz HM, Everson-Rose SA, Gold EB, Sowers MF, Randolph JF. Depressive symptoms during the menopausal transition: the Study of Women's Health Across the Nation (SWA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7;103: 267-272. 

  2. Cohen LS, Soares CN, Vitonis AF, Otto MW, Harlow BL. Risk for new onset of depression during the menopausal transition: the Harvard study of moods and cycle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006;63:385-390. 

  3. Bromberger JT, Kravitz HM, Chang YF, Cyranowski JM, Brown C, Matthews KA. Major depression during and after the menopausal transition: Study of Women's Health Across the Nation(SWAN). Psychological Medicine 2011;41:1879-1888. 

  4. Joffe H, Hall JE, Soares CN, Hennen J, Reilly CJ, Carlson K, Cohen LS. Vasomotor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perimenopausal women seeking primary care. Menopause 2002;9:392-398. 

  5. Freeman EW, Sammel MD, Lin H. Temporal associations of hot flashes and depression in the transition to menopause. Menopause 2009;16:728-734. 

  6. Randolph JR, Sowers M, Bondarenko I, Gold EB, Greendale GA, Bromberger JT, Brockwell SE, Matthews KA. The relationship of longitudinal change in reproductive hormones and vasomotor symptoms during the menopausal transition.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05;90:6106-6112. 

  7. Bromberger JT, Schott LL, Kravitz HM, Sowers M, Avis NE, Gold EB, Randolph JF, Matthews KA. Longitudinal change in reproductive hormones and depressive symptoms across the menopausal transition: results from the Study of Women's Health Across the Nation(swa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010;67:598-607. 

  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osrders(DSM-5(R)). American Psychiatric Pub;2013. 

  9. Utian WH, Shoupe D, Bachmann G, Pinkerton JV, Pickar JH. Relief of vasomotor symptoms and vaginal atrophy with lower doses of conjugated equine estrogens and medroxyprogesterone acetate. Fertility and Sterility 2001;75:1065-1079. 

  10. Frank SH, Zyzanski SJ. Stress in the clinical setting: the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Journal of Family Practice 1988;26:533-539. 

  11. Bae JM, Jeong EK, Yoo TW, Huh BY. A quick measurement for stress in outpatient clinic setting. J Korean Acad Fam Med 1992;13:809-820. 

  12. Yim JH, Bae JM, Choi SS, Kim SW, Hwang HS. Huh BY. The validity of modified Korean translated BEPSI as instrument of stress measurement in outpatient clinic. J Korean Acad Fam Med 1996;17:42-53. 

  13. Kim EJ. The effect of self-representations and self consciousness on stress coping strategy. Hanyang University;1999. 

  14. Folkman S, Lazarus R. Coping and adaption, in The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 Guilford: New York;1984. 

  15. Han C, Pae CU, Patkar AA, Masand PS, Kim KW, Joe SH, Jung IK.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PHQ-15) for measuring the somatic symptoms of psychiatric outpatients. Psychosomatics 2009;50:580-585. 

  16. Spitzer RL, Kroenke K, Williams JB. Valid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of PRIME-MD: the PHQ primary care study. Primary Care Evaluation of Mental Disorder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JAMA 1999;282:1737-1744. 

  17. Spitzer RL, Williams JB, Kroenke K, Linzer M, Verloin deGruy F, Hahn SR, Brody DJ, Jeffery G. Utility of a new procedure for diagnosing mental disorders in primary care. The PRIME-MD 1000 study. JAMA 1994;272:1749-1756. 

  18.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 The PHQ-15: validity of a new measure for evaluating the severity of somatic symptoms. Psychosom Med 2002;64:258-266. 

  19. WHOQOL Group.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Psychological Medicine 1998;28):551-558. 

  20. Min SK, Lee CI, Kim KI,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J Korean Neuropsychiatry Assoc 2000; 39:571-579. 

  21. Cheng MH, Wang SJ, Wang PH, Fuh JL. Attitudes toward menopause among middle-aged women: a community survey in an island of Taiwan. Maturitas 2005;52:348-355. 

  22. Lee YH, Song JY.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1;10:98-113. 

  23. Jo SA, Park MH, Jo I, Ryu SH, Han C. Usefulness of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in the Korean elderly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7;22:218-223. 

  24. Beck AT.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61;4:561-567. 

  25. Spielberger CD, Gorsuch RL, Lushene PR, Vagg PR, Jacobs AG.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Inc;1983. 

  26. Hunter MS, Mann E. A cognitive model of menopausal hot flushes and night swea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10;69:491-501. 

  27. Ayers B, Forshaw M, Hunter MS. The impact of attitudes towards the menopause on women's symptom experience: A systematic review. Maturitas 2010;65:28-36. 

  28. Blumel JEM, Castelo-Branco CM, Maria JC, Cordova AT, Binfa LE, Bonila HG, Munoz IG, Vergara VG, Sarra SC.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mplaints and vasomotor symptoms during climacteric. Mauritas;2004. 

  29. Freedman RR.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menopausal hot flashes. Seminars in Reproductive Medicine 2005;23:117-125. 

  30. Farquhar C, Marjoribanks J, Lethaby A, Suckling JA, Lamberts Q. Long term hormone therapy for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The Cochrane Library;2009. 

  31. Norton S, Chilcot J, Hunter MS. Cognitive-behavior therapy for menopausal symptoms(hot flushes and night sweats): moderators and mediators of treatment effects. Menopause;2013. 

  32. Generali J, Cada DJ. Venlafaxine: Hot Flashes. Hospital Pharmacy 2001;36:870-8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