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갑상선암 환자에서 고용량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유효반감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Half-life after the High Dose Radioactive Iodine (131I) Therapy for Thyroid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1 no.7, 2017년, pp.597 - 603  

김성철 (대구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  권다영 (대구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  김용민 (대구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고용량 $^{131}I$ 치료는 분화갑상선암으로 인한 갑상선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게 보편적으로 시행되어 왔다. 고용량 $^{131}I$ 치료를 하는 경우 환자로부터 일반인이 받게 되는 피폭선량을 선량한도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환자를 일정 기간 동안 격리하여야 한다. 유효반감기는 환자로부터 가족들이 얼마나 피폭되는지 계산하거나 격리기간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값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M670 SPECT/CT를 이용해 고용량 $^{131}I$ 치료환자의 유효붕괴상수, 유효반감기, 격리기간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고용량 $^{131}I$ 치료환자의 유효반감기를 도출하였고, 체내에 잔류 방사능량이 퇴원기준인 1.2 GBq 에 도달하는 시간을 확인하였다. 또한 치료선량별 유효반감기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격리기간은 치료선량이 커질수록 격리기간이 길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처치 유형별 유효반감기를 비교하였을 때 rhTSH 환자군과 THW 환자군의 유효반감기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격리기간은 rhTSH 환자군이 THW 환자군 보다 짧게 나타났다. 이는 치료선량의 차이로 인해 격리기간이 짧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행 의료보험체계(rhTSH 사용 시 3.7 GBq 이하에서 보험적용)가 유지된다면, 전처치 유형별로 구분하여 현행 격리기간(2박 3일)보다 더 이른 시간에 환자를 퇴원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dose $^{131}I$ therapy has been generally carried out to remove remaining thyroid tissue or to cure metastasize lesion of patients who received full thyroidectomy due to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s. In case high-dose $^{131}I$ therapy is carried out for a patient, th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갑상선 분화암으로 갑상선 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중 131I 고용량 치료를 위해 격리병실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에 관한 정보는 Table 1과 같다.
  • 갑상선분화암 환자 중 고용량 131I 치료를 시행한 한국인들의 외부선량률을 물리학적 방법으로 측정하여 131I의 유효반감기를 도출한 연구들은 많으나[5-8], SPECT/CT를 이용하여 유효반감기를 도출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PECT/CT를 이용하여 정량적인 방법으로 유효반감기를 도출하고, 환자의 치료 선량 및 전처치 유형별 유효반감기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격리기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갑상선암의 원인은? 40세 이상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진 갑상선암의 원인은 1) 소아기 때 두경부의 방사선 노출, 2) 갑상선암 가족력 등이 있으나, 원인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갑상선암의 대부분은 갑상선의 여포세포로부터 발생하는 갑상선분화암이며, 갑상선분화암은 유두암(85%) > 여포암(12%) > 저분화암(3% 미만) 순이다.
갑상선분화암의 분포는? 40세 이상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진 갑상선암의 원인은 1) 소아기 때 두경부의 방사선 노출, 2) 갑상선암 가족력 등이 있으나, 원인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갑상선암의 대부분은 갑상선의 여포세포로부터 발생하는 갑상선분화암이며, 갑상선분화암은 유두암(85%) > 여포암(12%) > 저분화암(3% 미만) 순이다.[1] 갑상선분화암으로 갑상선전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보편적으로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받게 되며, 치료를 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방사성요오드 치료 이후 퇴원할 수 있는 국내 기준은? 미국 NRC는 환자의 체내에 131I 잔류량이 33 mCi 이하 또는 1 m 거리에서 외부 방사선량률이 7 mrem/hr 이하일 때 격리병실에서 퇴원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2] 국내의 경우에는 환자의 체내 131I 잔류량이 1.2 GBq 이하 또는 1m 거리에서 외부방사선량률이 0.07 mSv/hr 이하일 때 격리병실로부터 퇴원할 수 있다고 규정[3]하고 있어, 일반적인 치료 후 격리기간은 2박 3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 Aschebrook-Kilfoy, M. H. Ward, M. M. Sabra, S. S. Devesa. "Thyroid cancer incidence patterns in the United States by histologic type, 1992-2006." Vol. 21, No. 2, pp. 125-34, 2011. 

  2. 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Office of Federal and State Material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Programs 2009 Washington, DC: 20555-0001. NRC Information Notice 2003-22, Supplement 2009. 

  3. Nuclear Safety Commission No. 19 Regulations on Technical Standards such as Radiation Safety Management. Nuclear Safety Commission Notification No. 2015-5 Technical Standards on Radiation Safety Management in the Medical Sector 

  4. K. H. Yi, E. K. Lee, H. C. Kang, Y. W. Koh, S. W. Kim, I. J. Kim, D. G. Na, K. H. Nam, S. Y. Park, J. W. Park, S. K. Bae, S. K. Baek, J. H. Baek, B. J. Lee, K. W. Chung, Y. S. Jung, G. J. Cheon, W. B. Kim, J. H. Chung, Y. S. Rho, "2016 Revised Korean Thyroid Association Management Guidelines for Patient with Thyroid Nodules and Thyroid Cancer." Int J Thyroidol, Vol. 9, No. 2, pp. 59-126, 2016. 

  5. S. G. Park. "Suggestion of A Practical Simple Calculation Method for Safe Transportation Time after Radioactive Iod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 Industrial cooperaion Society,Vol. 16, No. 6, pp. 3919-25, 2015. 

  6. D. L. North, D. R. Shearer, J. V. Hennessey, G. L. Donovan. "Effective half-life of 131I in thyroid cancer patients." The radiation safety journal Health Physics Vol. 81, No. 3, pp. 325-9, 2001. 

  7. C.D. Venencia, A.G Germanier, S.R. Bustos, A.A. Giovannini, E.P. Wyse."Hospital discharge of patient with thyroid carcinoma treated with 131I." The Journal of Nuclear Medicine, Vol. 43, No. 1, pp. 61-5, 2002. 

  8. S. G. Park. "Effective Half-life of I-131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reated by Radioactive I-131." The Korea Society of Nuclear Medicine, Vol. 42, No. 6, pp. 464-468, 2008. 

  9. U. Mallick, C. Harmer, B. J. Wadsley, S. Clarke, L. Moss, A. Nicol, P. M. Clark, K. Farnell, R. McCready, J. Smellie, J. A. Franklyn, S. John, C. M. Nutti ng, K. Newbold, C. Lemon, G. Gerrard, A. Abdel-Hamid, J. Hardman, E. Macias, T. Roques, S. Whitaker, R. Vijayan, P. Alvarez, S. Beare, S. Forsyth, L. Kadalayil, A. Hackshaw, "Ablation with low-dose radioio dine and thyrotropin alfa in thyroid canc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66, No. 18, pp. 1674-85, 2012. 

  10. M. Schlumberger, B. Catargi, I. Borget, D. Deandreis, S. Zerdoud, B. Bridji, S. Bardet, L. Leenhardt, D. Bastie, C. Schvartz, P. Vera, O. Morel, D. Benisvy C. Bournaud, F. Bonichon, C. Dejax, M. Toubert, S. Leboulleux, M. Ricard, E. Benhamou, "Strategies of radioiodine ablation in patients with low-risk thyroid canc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66, No. 18, pp. 1663-73, 2012. 

  11. J. D. Lee, M. J. Yun, K. H. Nam, Y. W. Chung, E. Y. Soh, C. S. Park. "Quality of life and effectiveness comparisons of thyroxine withdrawal, triiodothyronine withdrawal, and recombinant thyroid-stimulating hormone administration for low-dose radioiodine remnant ablation of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Thyroid, Vol. 20, No. 2, pp. 173-9, 2010. 

  12. Pacini F, Ladenson PW, Schlumberger M, Driedger A, Luster M, Kloos RT, et al. "Radioiodine ablation of thyroid remnants after preparation with recombinant human thyrotropin in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results of an international, randomized, controlled study." J Clin Endocrinol Metab, Vol. 91, No. 3, pp. 926-32, 2006. 

  13. M. Matovic, Edited by Dr. Thomas J. Fahey, "Preparing Patients for Radioiodine Treatment: Increasing Thyroid Cell Uptake and Accelerating the Excretion of Unbound Radioiodine." Updates in the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Thyroid Cancer (InTech), pp. 306, 2012. 

  14. H. Remy, I. Borget, S. Leboulleux, N. Guilabert, F. Lavielle, J. Garsi, C. Bournaud, S. Gupta, M. Schlumberger, and M. Ricard. "131I Effective Half-Life and Dosimetry in Thyroid Cancer Patients Preparing Patients for Radioiodine Treatment: Increasing Thyroid Cell Uptake and Accelerating the Excretion of Unbound Radioiodine." The Journal of Nuclear Medicine, Vol. 49, No. 9, pp. 1445-50, 2008. 

  15. V. Angela, C. Traino, B. Giuseppeb, G. Marianob, L. Patriziab, C. Chiarac, D. Maria Vittoriad, F. Giorgiod, L. Mauroa, M. Giulianob, F. Marcoe "Comparison between remnant and red-marrow absorbed dose in thyroid cancer patients submitted to 131I ablative therapy after rh-TSH stimulation versus hypothyroidism induced by L-thyroxine withdrawal." Nuclear Medicine Communications, Vol. 28, No. 3, pp. 215-2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