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영-사량도 굴 양식장 주변 해역에서 일차 생산자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Primary Producer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Vicinity of the Oyster Farming Area between Tongyeong-Saryang Island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5 no.4, 2017년, pp.492 - 500  

임영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  백승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해안 통영-사량도 동북부의 굴 양식장 주변 해역에서 2016년 6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식물플랑크톤군집의 계절변동 및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굴의 먹이생물인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이 계절적으로 어떻게 분포하고, 그들의 현존량을 조절하는 환경인자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수온은 2월 $7.54^{\circ}C$에서 8월 $29.5^{\circ}C$로 변화하였고, 하계에 고수온현상이 지속되었다. 염분은 하계 집중강우와 태풍의 영향으로 31 psu 전후로 낮게 관찰되었고, 최저치는 9월에 30.68 psu로, 최고치는 5월 34.24 psu로 관찰되었다. pH는 표층에서 7.95~8.50로, 저층의 7.91~8.3보다 조금 높게 관찰되었으며, 용존산소는 pH와 유사하게 표층에서 $6.0{\sim}9.45mg\;L^{-1}$로 높게 나타났고, 저층에서는 하계에 $5.25mg\;L^{-1}$의 전후로 낮게 관찰되었다. 질산염+아질산염은 $0.14{\mu}M$에서 $7.66{\mu}M$로, 인산염$0.01{\mu}M$에서 $4.16{\mu}M$로, 규산염$0.27{\mu}M$에서 $20.33{\mu}M$로 각각 변화하였다. 표층 Chl. a 농도는 $0.37{\mu}g\;L^{-1}$에서 $2.44{\mu}g\;L^{-1}$로 변화하였고, 연평균 $1.26{\mu}g\;L^{-1}$로 관찰되었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연평균 규조류가 6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와편모조류가 17%, 은편모조류 10% 순으로 나타났다. 6월에는 와편모조류 P. donghaiense가 90%로 극우점하였고, 7월은 규조류 Chaetoceros decipiens가 우점하였다. 하계에는 Rhizosolenia setigera와 Pseudo-nitzchia delicatissima가 높게 나타났고, 추계에는 Chaetoceros spp.와 함께 은편모그룹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동계에는 Skeletonema spp.와 Eucampia zodiacus가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결과적으로 굴 양식장 주변 해역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Chl. a 농도가 $2.5{\mu}g\;L^{-1}$ 이하로 나타났고, 연평균이 $1.26{\mu}g\;L^{-1}$로 일정하게 낮게 나타난 것은 지속적으로 여과섭식하는 굴의 성장특성 때문에 일정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제어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as prey for oysters and to characterize the environmental factors controlling their abundance from June 2016 to May 2017, in the northeast coast between Tongyeong and Saryang Island, particularly for the oyster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해안 통영-사량도 동북부의 굴 양식장 주변 해역에서 2016년 6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식물플랑크톤군집의 계절변동 및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굴의 먹이생물인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이 계절적으로 어떻게 분포하고, 그들의 현존량을 조절하는 환경인자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수온은 2월 7.
  • 본 연구에서는 해양에서 일차 생산자 역할을 하는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및 환경인자 변화에 따른 종조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2016년 6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월별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굴 양식장 주변 해역에서 먹이생물인 식물플랑크톤 연변동 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당 해역에서 굴 양식장의 잠재적 수용능력 및 생산량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굴 양식장 주변 해역에서 계절적인 환경인자 및 먹이생물인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파악하는 것이 굴의 성장 및 생산량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인 이유는? 국내 수하식 굴(Crassostrea gigas)양식의 대부분은 진해만, 통영 및 사량도 주변 해역의 천해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굴의 성장 및 생산량은 서식지 주변 해역에서 먹이생물인 식물플랑크톤과 현탁유기물(detritus)의 양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된다(Lim et al. 1975; Nakamura and Kerciku2000). 따라서 각 시기별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및 종조 성의 변화양상을 추적하는 것은 당 해역 굴 양식의 생산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로 생각된다. 특히 온난해역에서 춘계와 추계의 식물플랑크톤의 대발생과 함께 하계에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와편모조류의 대발생은 굴 양식의 먹이원으로 중요하게 작용될 수 있다 (Newell and Ott 1998; Nakamura and Kerciku 2000; Cressman et al. 2003).
국내 수하식 굴 양식은 대부분 어디서 이루어지는가? 본 조사 해역인 통영-사량도는 남해안 중앙에 위치하고 있고, 이 해역에서는 우리나라 굴 양식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수하식 굴(Crassostrea gigas)양식의 대부분은 진해만, 통영 및 사량도 주변 해역의 천해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굴의 성장 및 생산량은 서식지 주변 해역에서 먹이생물인 식물플랑크톤과 현탁유기물(detritus)의 양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된다(Lim et al.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조절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은? , 식물플랑크톤)의 일부는 상위포식자인 동물플랑크톤의 먹이가 되고, 또 일부는 박테리아에 의하여 분해되어 저층으로 침강한다. 이러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수온, 염분, 광량, 광주기, 영양염류 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환경요인과 더불어, 생물학적 요인인 종간 경쟁, 생물 피포식에 의하여 조절된다(Huang and Qi 1997; Baek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ek SH, DS Kim, MH Son, SM Yun and YO Kim. 2015. Season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and nutrient-enriched bioassays as indicators of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growth in Gwangyang Bay, Korea. Estuar. Coast. Shelf Sci. 163:265-278. 

  2. Baek SH, Shimode S and T Kikuchi. 2007. Reproductive ecology of the dominant dinoflagellate, Ceratium fusus in coastal area of Sagami Bay, Japan. J. Oceanogra. 63:35-45. 

  3. Clarke KR and Warwick RM. 2001. Change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2nd ed. PRIMER-E, Plymouth, p. 179. 

  4. Cressman KA, MH Posey, MA Mallin, LA Leonard and TD Alphin. 2003. Effects of oyster reefs on water quality in a tidal creek estuary. J. Shellfish Res. 22:753-762. 

  5. Guinder VA, CA Popovich, JC Molinero and J Marcovecchio. 2013. Phytoplankton summer bloom dynamics in the Bahia Blanca Estuary in relation to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Cont. Shelf Res. 52:150-158. 

  6. Huang C and Y Qi. 1997. The abundance cycle and influence factors on red tide phenomena of Noctiluca scintillans (Dinophyceae) in Dapeng Bay, the South China Sea. J. Plankton Res. 19:303-318. 

  7. Ito Y, T Katano, N Fujii, M Koriyama, K Yoshino and H Yuichi. 2013. Decreases in turbidity during neap tides initiate late winter blooms of Eucampia zodiacus in a macrotidal embayment. J. Oceanogr. 69:467-479. 

  8. Kobayashi M, EE Hofmann, EN Powell, JM Klinck and K Kusaka. 1997. A population dynamics model for the Japanese oyster, Crassostrea gigas. Aquaculture 149:285-321. 

  9. Lee YS, YT Park, KY Kim, YK Choi and PY Lee. 2006. Characteristics of costal water quality after diatom blooms due to freshwater inflow.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12:75-79. 

  10. Lim DB, CH Cho and WS Kwon. 1975. On the oceanographic conditions of oyster farming area near Chungmu. Bull. Korean Fish. Soc. 8:61-67. 

  11. Nakamura Y and F Kerciku. 2000. Effects of filter-feeding bivalves on the distribution of water quality and nutrient cycling in a eutrophic coastal lagoon. J. Mar. Syst. 26:209-221. 

  12. Newell RIE and J Ott. 1998. Macrobenthic communities and eutrophication. In Ecosystems at the land-sea margin: drainage basin to coastal sea (Malone TC, A Malej, LW Harding, N Smodlaka and RE Turner eds.). Coast. Estuar. Stud. vol 55. pp. 265-293. American Geophysicol Union. Washington DC. 

  13. NIFS 2012. Standard Manual of Pacific Oyster Hanging Culture 2012. p. 205. 

  14. Nishikawa T, Y Hori, K Tanida and I Imai. 2007. Population dynamics of the harmful diatom Eucampia zodiacus Ehrenberg causing bleachings of Porphyra thalli in aquaculture in Harima-Nada, the Seto Inland Sea, Japan. Harmful Algae 6:763-773. 

  15.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Oxford, p. 173. 

  16. Pomeroy LR, CF D'Elia and LC Schaffner. 2006. Limit to topdown control of phytoplankton by oysters in Chesapeake Bay. Mar. Ecol. Prog. Ser. 325:301-309. 

  17. Sournia, A. 1978. Phytoplankton manual. Monographs on Oceanographic Methodology 6. UNESCO, Paris. p. 337. 

  18. Thompson PA, PI Bonham and KM Swadling. 2008. Phytoplankton blooms in the Huon Estuary, Tasmania: top-down or bottom-up control? J. Plankton Res. 30:735-7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