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해동부연안항만에서 하계 단주기 조사에 따른 해양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의 변화
Changes in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Observed via Short-Term Investigation in a Harbor in the Eastern Part of the South Sea of Kore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3 no.6, 2017년, pp.669 - 676  

이민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  백승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해동부 연안 해역에서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 군집특성 및 Cochlodinium polykrikoides의 초기 발생이 내만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7개의 정점에서 2016년 하계 7월6일 에서 8월 24일 동안 2주 간격으로 단기집중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온은 7월 6일 조사 시 $22.3{\pm}2.69^{\circ}C$에서 8월 24일 조사 시 $28.4{\pm}0.78^{\circ}C$로 1차 대비 약 $6.01^{\circ}C$ 상승하였고, 염분은 내측 정점 8~13에서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높게 나타났다. 7월 6일 조사에서 약 150 mm(10일 누적)에 달하는 강우가 관찰되어 영양염이 높게 공급되었고, 이로 인해 높은 Chl. a가 높게 관찰되었다. 종조성은 은편모조류가 평균 58.3 %(Crpytomonas spp.)로 극우점하였고, 특이적으로 정점 5에서 와편모조류 Prorocentrum spp.(주로 P. triestrium)가 32.2 %로 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7월 20일 조사에서 대부분 규조류 Chaetoceros spp. 가 61.0 %를 점유하였다. 정점 4에서 Skeletonema spp.가 $7.44{\times}10^6cell\;L^{-1}$로 높은 개체수를 보였으나, 다른 정점에서는 출현하지 않거나 낮게 관찰되었다. 8월 4일 조사와 8월 24일 조사에서 평균 식물플랑크톤 개체수는 매우 낮았으며, 우점종은 8월 4일 조사에서 규조류가 78.0 %(Chaetoceros spp.)로 높게 나타났고, 8월 24일 조사에서도 규조류가 73.3 %(Pseudo-nitzschia spp., Rhizosolenia spp.)로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C. polykrikoides의 출현은 관찰되지 않아, 연안 내만 및 항구에서 휴면포자에 의한 유영세포 유입의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동해남부해역에서의 반폐쇄적인 내만 특성으로 염분과 영양염류와 같은 환경특성이 각 정점별 명확한 차이를 보였고, 이로 인해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군집조성이 시공간적으로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s and why early outbreak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occur in the inner bay of Korea, short-term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at 17 stations in the eastern part of the South Sea of Korea, with ses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만 환경요인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해석하고자, 남해동부 연안항만을 중심으로 2016년 7, 8월 2개월 동안 2주 간격으로 단기집중조사를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적조 발생 전 단계 연안 내만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플랑크톤의 특징은 무엇인가? 식물플랑크톤은 일차생산자로서 해양 먹이 피라미드의 출발점에 있고, 그들의 성장은 수온, 염분, 광량, 광주기, 영양염류 등과 같은 무생물학적 환경요인과 더불어 종간 경쟁, 상위영양단계 생물의 포식, 박테리아의 감염 등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Thompson et al., 2008; Guinder et al.
온난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과 국내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의 차이점은? 일반적으로 온난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은 춘계와 추계에 유광층 주변의 풍부한 영양염류의 공급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하계에도 불구하고, 몬순기후의 영향으로 6-7월의 장마철에 강우가 집중되고, 8-9월에는 산발적으로 접근하는 태풍에 의한 강우의 영향으로, 육상기원의 영양염류가 연안 해역으로 대량 유입되어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을 유도하고, 이는 하계의 1차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Hallegraeff et al., 2003).
온난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이 발생하는 원인은? 따라서 연안 해역 1차 생산의 변화양상은 해양환경 평가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조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일반적으로 온난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은 춘계와 추계에 유광층 주변의 풍부한 영양염류의 공급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하계에도 불구하고, 몬순기후의 영향으로 6-7월의 장마철에 강우가 집중되고, 8-9월에는 산발적으로 접근하는 태풍에 의한 강우의 영향으로, 육상기원의 영양염류가 연안 해역으로 대량 유입되어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을 유도하고, 이는 하계의 1차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Hallegraeff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 E. S., S. Y. Lee, S. S. Kim and Y. S. Choi(2007), Marine environment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in Southern coastal waters during June to October in 2004-2006,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6(8), pp. 941-957. 

  2. Choi, Y. H., K. T. Seong, H. G. Choi, M. J. Lee and K. H. Ju(2016),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 in the western part of South Sea in the summer of 2016, Proceedings of the Korea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Vol. 25(1), pp. 103-103. 

  3. Guinder, V. A., C. A. Popovich, J. C. Molinero and J. Marcovecchio(2013), Phytoplankton summer bloom dynamics in the Bahia Blanca Estuary in relation to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52, pp. 150-158. 

  4. Hallegraeff, G. M., D. M. Anderson, A. D. Cembella and H. O. Enevoldsen(2003), Manual on harmful marine microalgae, Unesco. 

  5. Jang, P., W. J. Lee, M. Jang, J. D. Lee, W. J. Lee, M. Chang, K. Hwang and K. Shin(2005),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inorganic nutrients and factors controlling their distributions in Gwangyang Bay,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27(4), pp. 359-379. 

  6. Kang, C. K., P. J. Kim, W. C. Lee and P. Y. Lee(1999), Nutrients and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I. The elemental composition of C, N and P in particulate matter in the coastal bay system,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34, pp. 86-94. 

  7. Kattner, G.(1999), Storage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in seawater: poisoning with mercuric chloride, Marine Chemistry, Vol. 67(1-2), pp. 61-66. 

  8. KNN News(2016), http://www.knn.co.kr/103376. 

  9. Kwon, K. Y., C. H. Moon and H. S. Yang(2001), Behavior of nutrients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ol. 34, pp. 199-206. 

  10. Lee, J. W., K. C. Kim, S. Y. Kang and D. H. Doh(1997),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el for diffusion of oil spill in the ocean - Three 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irculation if the nearly closed bay,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11(2), pp. 241-255. 

  11. Lee, P. Y., C. K. Kang, J. S. Park and J. S. Park(1994), Annual change and C:N:P ratio in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Chinhae Bay,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29, pp. 107-118. 

  12. Moon, C. H. and H. Choi(1991), Studied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oceanlogical Society of Korea, Vol. 24(2), pp. 144-154. 

  13. Park, C. K.(1978), Chemical oceanographic aspect of the cole water mass in offshore of the east coast of korea,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Vol. 11(2), pp. 49-54. 

  14. Park, J. S. and S. G. Lee(1990),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and their Relation to the Character of Water Masses,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Vol. 23(3), pp. 208-214. 

  15. Park, J. S., Y. H. Yoon and S. J. Oh(2009),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mouth parts of Gamak Bay, Souther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27(2), pp. 205-215. 

  16. Park, T., C. J. Jang, J. H. Jungclaus, H. Haak, W. Park and I. S. Oh(2011), Effects of the Changjiang river discharge on sea surface warming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in summer. Continental Shelf Research, 31(1), 15-22. 

  17. Parsons, T. R., Y. Maita and C. M. Lalli(1984), A manual of biological and chem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ubl. Pergamon Press, Oxford, pp. 184. 

  18. Thompson, P. A., P. I. Bonham and K. M. Swadling(2008), Phytoplankton blooms in the Huon Estuary, Tasmania: top-down or bottom-up control?,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Vol. 30(7), pp. 735-753. 

  19. Yoo, J. T., Y. H. Kim and S. H. Lee(2017), Distribution of Egg and Larval of Anchovy and Catches Fluctuation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the Summer, 2016, KOFFST International Conference, pp. 302-3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