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만에서 박테리아와 종속영양편모류의 계절변화에 미치는 환경요인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Seasonal Variation of Bacteria and Heterotrophic Nanoflagellate in Kyeonggi Bay,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5 no.2, 2017년, pp.198 - 206  

백승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  유카이 (중국해양대학교 수산학부) ,  한명수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환경요인이 미소생물 그룹 박테리아와 종속영양편모류의 계절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2007년 6월에서 2008월 5월 사이에 경기만에서 그들의 동태 및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수온과 염분은 $1.9^{\circ}C{\sim}29.0^{\circ}C$와 31~35.1 psu로 변화하였으며, 하계에 현저한 수온 증가와 함께 표층 염분이 상대적으로 낮게 관찰되었다. 영양염 중 암모니아의 농도는 $0.01{\sim}3.22{\mu}M$로, 질산염+아질산염의 농도는 $2.03{\sim}15.34{\mu}M$로, 인산염의 농도는 $0.06{\sim}1.82{\mu}M$로, 규산염$0.03{\sim}18.3{\mu}M$로 각각 변동하였다. Chl. a농도는 $0.86{\mu}g\;L^{-1}{\sim}37.70{\mu}g\;L^{-1}$로 관찰되었으며, 각 수심별 Chl. a농도의 연평균은 표층에서 $10.35{\pm}8.54{\mu}g\;L^{-1}$로 가장 높았고, 수심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박테리아와 종속영양미소편모류는 $0.29{\times}10^6cells\;mL^{-1}{\sim}7.62{\times}10^6cells\;mL^{-1}$$1.00{\times}10cells\;mL^{-1}{\sim}1.26{\times}10^3cells\;mL^{-1}$로 변동하였고, 계절적으로는 하계 박테리아의 생물량이 현저하게 높게 관찰되었을 때 종속영양편모류 또한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시화호에서 단 주기로 개방되는 배수갑문의 영향으로 경기만 내만일대에 일정의 높은 유 무기물이 공급되면, 이들 탄소원으로 박테리아의 현저한 증식이 하계를 중심으로 일어나며, 이는 미소생물고리로 연결되는 종속영양편모류의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June 2007 to May 2008, seasonal variations of bacterial abundance and heterotrophic nanoflagellate (HNF), together with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at weekly and monthly intervals in Kyeonggi Bay. During the study period,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ed from $1.9^{\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2003)이 유일하고 그들 연구 또한 시화호방조제 건설 전 1997년에 수행되어, 시화호의 방류 등과 같은 해양환경요인이 변화된 시점에서 미소생물환 관여하는 미생물군집구조의 계절적 특성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나는지 비교분석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만에서 박테리아와 종속영양편모류의 계절적 변동 양상을 조사하여 그들 생물량에 영향을 미치는 계절적 특성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소생물환에서 수계 내 먹이망구조는 무엇인가? 미소생물환 (Microbial loop)이라는 신개념의 수계 내 먹이망구조는 용존유기물을 종속영양박테리아가 이용하고, 또 그 박테리아를 종속영양편모류(HNF; Heterotrophic Nano Flagellates)가 섭식하며, 그것이 다시 섬모충류에 의해 포식되는 새로운 에너지 흐름의 계(system)를 총칭하며, 이들 구성원은 수서생태계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Azam et al. 1983).
미소생물환 중 부영양화 수계는 빈영양수계와 비교하여 어떠한가? 1992), 종속영양편모류는 유기물의 공급과 박테리아의 섭식으로 박테리아의 생물량과 생산력을 조절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Sherr and Sherr 1988). 특히 부영양화 수계에서는 빈영양수계보다 박테리아의 생물량과 생산량이 상대적으로 높고,이는 플랑크톤성 먹이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상위생물의 생산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Sherr and Sherr 1988; Fukami et al. 1999).
미소생물환에서 수서생태계 구성요소 중 종속영양박테리아는 해양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983). 그 구성요소 중 종속영양박테리아는 해양환경에서 유기물의 분해, 재생산, 영양염 흡수 등을 통하여 해양의 생지화학적 순환에 영향을 미치며(Simon et al. 1992), 종속영양편모류는 유기물의 공급과 박테리아의 섭식으로 박테리아의 생물량과 생산력을 조절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Sherr and Sherr 198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zam F, T Fenchel, JG Field, JS Gray, LA Meyer-Reil and F Thingstad. 1983. The ecological role of water column microbes in the sea. Mar. Ecol. Progr. Ser. 126:97-102. 

  2. Baek SH, K You, BS Park and MS Han. 2010. The Seasonal variation of microbial community in the eutriphic brackish water of Lake Shihwa. Korean J. Limnol. 43:55-68. 

  3. Bird DF and J Kalff. 1984. Empirical relationships between bacterial abundance and chlorophyll concentration in fresh and marine water. Candian J. Fisher. Aquat. Sci. 41:1015-1023. 

  4. Bird DF and J Kalff. 1986. Bacterial grazing by planktonic algae. Science 231:493-495. 

  5. Caron DA. 1983. Technique for enumeration of heterotrophic and phototrophic nanoplankton, using epifluorescent microscopy, and comparison with other procedures. Appl. Environ. Microb. 46:491-498. 

  6. Cho BC, SC Na and DH Choi. 2000. Active ingestion of fluorescently labeled bacteria by mesopelagic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in the East sea, Korea. Mar. Ecol. Progr. Ser. 206:23-32. 

  7. Choi DH, SW Kang, KD Song, SH Huh and BC Cho. 1997. Distribution and growth of bacteria in the hypertrophic Lake Shiwha. The Sea 2:92-100. 

  8. Davis PG, DA Caron, PW Johnson and JMcN Sieburth. 1985. Phototrophic and apochlorotic components of picoplankton and nanoplankton in the North Atlantic: geographic, vertical, seasonal and diel distributions. Mar. Ecol. Progr. Ser. 21:15-26. 

  9. Fenchel T. 1982. Ecology of heterotrophic microflagellates? Quantitative occurrence and importance as bacterial consumers. Mar. Ecol. Progr. Ser. 9:35-42. 

  10. Fenchel T and PR Jonsson. 1988. The functional biology of Strombidium sulcatum, a marine oligotrich ciliate (Ciliophora, Oligotrichina). Mar. Ecol. Progr. Ser. 48:1-15. 

  11. Fukami K, A Watanabe, S Fujita, K Yamaoka and T Nishijima. 1999. Predation on naked protozoan microzooplankton by fish larvae. Mar. Ecol. Progr. Ser. 185:285-291. 

  12. Jardillier L, M Basset, I Domaizon, A Belan, C Amblard, M Richardot and D Debroas. 2004. Bottom-up and top-down control of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in the euphotic zone of a reservoir. Aquat. Microb. Ecol. 35:259-273. 

  13. Jeffrey SW and GF Humphrey. 1975. New spectrophotometric equations for determining chlorophylls a, b, $c_1$ , $c_2$ in higher plants, algae and natural phytoplankton. Biochem. Physiologie der Pflanzen 167:191-194. 

  14. Kamphake L, S Hannah and J Cohen. 1967. Automated analysis for nitrate by hydrazine reduction. Water Res. 1:205-216. 

  15. Kim CS, HS Lim, JA Kim and SJ Kim. 2009. Residual flow and its implication on macro-tidal flats in Kyunggi Bay Estuary of Korea. J. Coast. Res. SI 56:976-980. 

  16. Kim YO, EJ Yang, JH Kang, KS Shin, M Chang and CS Myung. 2007. Effects of an artificial breakwater on the distributions of planktonic microbial communities. Ocean Sci. J. 42:9-17. 

  17. Kormas K, Ar K Kapiris, M Thessalou-Legaki and A Nicolaidou.1998. Quantitative relationships between phytoplankton, bacter and protists in an Aegean semi-enclosed embayment (Maliakos Gulf, Greece). Aquat. Microb. Ecol. 15:255-264. 

  18. Lee CW, I Kudo, M Yanada and Y Maita. 2001. Bacterial abundance and production and heterotrophic nanoflagellate abundance in subarctic coastal waters (Western North Pacific Ocean). Aquat. Microb. Ecol. 23:263-271. 

  19. Lee WJ, KS Shin and JD Lee. 2007. Studies on marine heterotrophic protists in Masan Bay, Korea. Ocean Polar Res. 29:401-410. 

  20. Lee WS and MS Han. 2004. Community structure of plankton in eutrophic water systems with different residence time. Korean J. Limnol. 37:263-271. 

  21. Mostajir B, JR Dolan and F Rassoulzadegan. 1995. Seasonl variations of pico-and nano-detrial particles (DAPI yellow particles, DYP) in the Ligurian Sea (NW Mediterranean). Aquat. Microb. Ecol. 9:267-277. 

  22. Naganuma T and S Miura. 1997. Abundance, production and viability of bacterioplankton in the Seto lsland Sea, Japan. J. Oceanogr. 53:435-442. 

  23. Park JS and BC Cho. 2002. Active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in the hypoxic water-column of the eutrophic Masan Bay, Korea. Mar. Ecol. Progr. Ser. 230:35-45. 

  24. Poter KG and YS Feig. 1980. The use of DAPI for identifying and counting aquatic microflora. Limnol. Oceanogr. 25:943-948. 

  25. Sherr BF and EB Sherr. 1988. Role of microbes in pelagic food webs: a revised concept. Limnol. Oceanogr. 33:1225-1227. 

  26. Simon M, BC Cho and F Azam. 1992. Significance of bacterial biomass in lakes and the ocean: comparison to phytoplankton biomass and biogeochemical implications. Mar. Ecol. Prog. Ser. 86:103-110. 

  27. Son JY, SJ Hwang and DS Kong. 2006.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biomass and cell size of bacteria and protozoa in Lake Paldang and Kyungan Stream. Korea J. Limnol. 39:379-389. 

  28. Weisse T. 1991. The annual cycle of heterotrophic freshwater nanoflagellates: role of bottom-up versus top-down control. J. Plankton Res. 13:167-185. 

  29. Yang EJ, JK Choi and JH Hyun. 2003. The study on the seasonal variation of microbial community in Kyeonggi Bay, Korea: I. bacteria and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The Sea 8:44-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