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7년 대한민국 조경·정원박람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정원선호도 분석 - 조성 장소 및 식물 특성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Garden Preferences of Visitors to Korea Landscapes and Gardens Expo in 2017 - Focused on Location and Plant Characteristics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6, 2017년, pp.126 - 136  

이동진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  노희영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  김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조효진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  이혜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조동길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  송유진 (국립수목원) ,  조혜령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전진형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초록

정원 수요자들은 정원을 감상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조성하고 정원 디자이너로써의 역할을 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나, 정원의 주된 소재인 식물에 대한 식재나 관리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으로 정원활동에 있어 큰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정원수요자의 정원활동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정원을 쉽게 경험하고 조성할 수 있도록 정원 수요자들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선호도가 높은 조성 장소별 정원조성 요령 및 선호 식물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원 수요자들의 정원을 조성하는 목적에 따른 조성 장소와 식물특성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원 수요자로 예상되는 2017년 대한민국 조경 정원박람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분석 결과, 정원을 조성하는 목적에 따라 정원 수요자는 감상목적형, 다기능형, 참여목적형의 세 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감상목적형은 정원 조성 장소로 베란다 및 테라스와 개인주택 앞마당을 선호하며, 다른 유형과 비교하여 실외장소보다는 실내장소를 선호하고 있었다. 식물소재 선정에 있어서는 실내 환경에서도 관리가 용이하고, 화색과 잎색을 통하여 자연의 색을 감상할 수 있는 소재를 선호하였다. 다기능형은 정원 조성 장소로 개인주택 앞마당을 선호하며, 다른 유형과 비교해서는 '공동주택 유휴지'와 '도심 내 커뮤니티 정원'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정원활동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군집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소재 선정에 있어서는 작물과 열매 수확이 가능한 유실수나 텃밭작물과 같이 생산성을 가진 소재를 선호하였다. 참여목적형의 경우, 정원 조성 장소로 베란다 및 테라스와 개인주택 앞마당을 선호하였다. 수종에 있어서는 관리가 용이한 식물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정원 수요자의 조성 목적별로 조성 장소와 식물 특성에 대한 선호도를 도출하고, 정원 수요자 유형별 정원 조성 장소 및 식물 특성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rdeners have a desire to not only enjoy a garden but to create the garden themselves and play the role of garden designer. However, they express a great difficulty in gardening activities such as planting and managing plants, the main materials of the garden, due to lack of expertise. Therefor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시 말해서 정원 수요자들이 식물을 쉽게 이해하고, 조성하기 위한 식물수종 특성과 선호수종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원 수요자들의 관점에서 식물특성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 선행연구에서 정원 장소에 대한 연구들은 실내정원을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실외 정원 조성장소에 대한 이용자의 선호도 연구는 미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 공간을 대상으로 정원조성 장소에 대한정원 수요자들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오늘날 정원은 다양한 실내외 공간을 대상으로 작은 화분의 식물, 상자 텃밭 등에서 소규모로 식물을 가꾸는 장소부터 생활권 내에서 인간과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장소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간주될 수 있다(Sim and Zoh, 2012; Woo and Suh, 20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외 모두 정원 조성 장소로 보고, 이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 선행연구에서 식물 특성에 대한 선호도 측정항목은 대부분의 연구가 식물 특성에 대한 시각적인 선호도 항목을 측정하고 있기에, 정원디자인에 있어 고려되는 다양한 식물특성을 나타내기에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원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시각적 특성을 포함하여 정원조성 시 고려해야 하는 식물특성에 대하여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정원은 사적인 여가활동으로써의 취미생활, 관상, 생산활동과 공적인 성격의 동호회 활동 참여, 실내주거지 개선을 위한 환경적 측면에서의 공기정화와 녹색 실내장식 등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의 장소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원 수요자로 예상되는 2017년 대한민국 조경ㆍ정원박람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정원조성 목적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 감상목적형의 경우, 실내장소를 선호하는데 실내는 실외보다 식물을 키우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한 특성을 가진 식물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관상을 목적으로 정원을 이용하고자 하기 때문에 심미성을 가진 식물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정원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정원을 조성하는 목적에 따른 조성 장소와 식물 특성에 대한 선호도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정원 수요자의 조성 목적별로 조성 장소와 식물 특성에 대한 선호도를 도출하고, 정원 수요자 유형별 정원 조성 장소 및 식물 특성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수요자 유형별로 선호되는 조성 장소와 식물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조성 장소에 어울리는 구체적인 식물을 제시함으로써 정원수요자의 조성 목적을 고려한 정원 유형이 구체화 될 수 있을것이다.
  • 정원 수요자들의 니즈(Needs)와 선호도 분석은 정원에 대한 이용자의 지속적인 관심 확대와 정원활동으로의 참여를 유지시켜줌으로써 정원 산업이 도시정원문화 활성화로 연결되어 정원 산업이 중장기적인 방향성을 가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정원 수요자의 정원을 조성하는 목적에 따른 조성 장소와 수종 특성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정원 조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2017년 대한민국 조경ㆍ정원박람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원 조성 목적의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며, 둘째, 정원 조성 목적 유형별 정원의 조성 장소와 식물 특성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 정원구성 요소에 대한 선호도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했을 때, 정원을 실제로 조성하여 활용하고 있는 수요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에 정원 수요자로 예상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원조성에 대한 수요자로 예상되는 2017년 대한민국 조경ㆍ정원박람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정원을 조성하는 목적에 따라 몇 개의 군집이 존재하는가? 둘째, 조성 목적에 따른 군집별 조성 장소 선호도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조성 목적에 따른 군집별 식물 특성 선호도의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원 수요자들은 어떤 욕구를 가지고 있는가? 정원 수요자들은 정원을 감상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조성하고 정원 디자이너로써의 역할을 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나, 정원의 주된 소재인 식물에 대한 식재나 관리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으로 정원활동에 있어 큰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정원수요자의 정원활동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정원을 쉽게 경험하고 조성할 수 있도록 정원 수요자들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선호도가 높은 조성 장소별 정원조성 요령 및 선호 식물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정원 수요자들은 왜 정원활동에 있어 큰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는가? 정원 수요자들은 정원을 감상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조성하고 정원 디자이너로써의 역할을 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나, 정원의 주된 소재인 식물에 대한 식재나 관리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으로 정원활동에 있어 큰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정원수요자의 정원활동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정원을 쉽게 경험하고 조성할 수 있도록 정원 수요자들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선호도가 높은 조성 장소별 정원조성 요령 및 선호 식물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정원의 주된 소재인 식물에 대한 식재나 관리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으로 인한 정원 수요자들의 정원활동에 있어 큰 어려움을 해소하기위해 필요한것은 무엇인가? 정원 수요자들은 정원을 감상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조성하고 정원 디자이너로써의 역할을 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나, 정원의 주된 소재인 식물에 대한 식재나 관리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으로 정원활동에 있어 큰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정원수요자의 정원활동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정원을 쉽게 경험하고 조성할 수 있도록 정원 수요자들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선호도가 높은 조성 장소별 정원조성 요령 및 선호 식물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원 수요자들의 정원을 조성하는 목적에 따른 조성 장소와 식물특성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lexander, R(2009) The Essential Garden Design Workbook. Oxford: Timber Press. 

  2. Baek, S. H.(2004) An artificial formation of place character in place marketing - Case study of culture and art festival in small towns of Korea and USA. Institute for Korean Regional Studies 66: 1-263. 

  3. Cho, T. B., S. R. Kim and K. H. Kim(2007)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garden design and dwellers' understanding of garden maintenance in single detached urban dwelling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6): 54-65. 

  4. Choi, H. J., J. A. Lee, H. J. Sohn, D. G. Cho and Y. K. Song(2017) feasibility of green network in a highly-dense urbanized area by introducing urban garden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1(2): 252-265. 

  5. Hong, H. S.(2013) Species, planting position and scenic utilization of 'Paulownia Tree' in the traditional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2): 20-30. 

  6. Hunt, J. D.(2000) Greater Perfection: The Practice of Garden Theory. London: Thames & Hudson. 

  7. Hwang, J. W.(2010) A study on the legal system of small garden from the viewpoint of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2(4): 169-184. 

  8. Jeong, B. B. and J. M. Choe(2014) Study on the tendency of herbaceous planting of designer's garden in Suncheon bay garden expo site.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1: 7-10. 

  9. Jeong, N. R., M. G. Jeong, S. W. Han and J. S. Kim(2017) Study on community gardens for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20(1): 7-17. 

  10. Kim T. H. and S. W. Han(1997) A study on the method of using plants and preference analysis for interior sp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1: 31-37. 

  11. Kwak, S. O. and J. H. Lee(2004) Effect of foliage plants on improving indoor thermal environment. Effect of Foliage Plants on Improving Indoor Thermal Environment 6(2): 33-38. 

  12. Lee, C. H., H. Y. Jin, Y. M. Lee and Y. J. Song(2017) A study on the meaning of plant material in the 2016 Korea Garden Show Designer's Garden.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3): 41-53. 

  13. Lee, J. H. and B. S. Choi(2011) Alteration analysis of spatial components in different home gardens.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4(5): 315-329. 

  14. Lee, J. H., K. J. Bang and K. O. Choi(1999) A study on the suggestion on direction of indicator landscape in Korea. Sangmyung University Industrial Science Research 8: 1-11. 

  15. Lee, S. H., H. Y. Jin, H. C. Lee, A. R. Moon, W. K. Choi, Y. J. Song and J. H. Song(2016) A study on the current planting status and maintenance plans of traditional Korean templ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1): 53-70. 

  16. Lim, E. J. and H. S. So(2012) Features in using and planting of Japanese apricot(Prunus mumu) adopted to traditional garde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3): 68-79. 

  17. Park, E. Y. and B. R. Yoo(2004) A study on the method of gertrude jekyll's planting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3): 33-44. 

  18. Park, E. Y. and S. J. Yoon(2013) Inference of the conceptual model of wild gardens -A comparative study of william robinson and gertrude jekyl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4): 62-69. 

  19. Park, E. Y.(2011a) A study on the artistry of objects presented in gardens: Focused on the Chelsea Flower Show 2010. Journal of Korea Basic Science Society 12(2): 215-223. 

  20. Park, E. Y.(2011b) Modern division of the style of gardens presented in Korean traditional house yard.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2): 28-38. 

  21. Park, E. Y.(2013) A study on karl foerster's garden from the viewpoint of planting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3): 38-44. 

  22. Park, J. M. J. K. Choi and E. Y. Park(2016) A study on urban gardening in everyday life toward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Case of Sujin 2-dong, Seongnam-si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3): 13-24. 

  23. Park, W. K.(2016) Study on the plants-preference pattern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Enneagram) for the creating of healing garden.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 19(6): 31-40. 

  24. Royal Horticultural Society(2010) Encyclopedia of Plants and Flowers. London: A Doling Kindersley Book. 

  25. Ryu, Y. J. and D. G. Cho(2016) A study on comparing traditional garden and modern garden for developing garden culture of Korea.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1(5): 113-124. 

  26. Ryu, Y. J., Y. J. Shim and D. G. Cho(2016) Study on obtaining the key factor for garden management from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41(0): 129-137. 

  27. Shin H. C., J. K. Hong and K. O. Choi(2011) The analysis of preference for the indoor garden of apartment Veranda.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4(6): 437-442. 

  28. Shin, H. C., J. S. Yun and K. O. Choi(2013) Landscape formation states and the preference analyses of indoor garden in the working space.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7(2): 43-52. 

  29. Shin, S. H., M. Yoo and Y. M. Kim(2012) A proposal for indoor greening standard type, through a survey of the users preferences in working space.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5(6): 477-483. 

  30. Sim, J. Y. and K. J. Zoh(2012) History, landscape, culture: Gardenoriented place culture characteristics in liberation villages.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3: 144-149. 

  31. Sim, J. Y. and K. J. Zoh(2015) Examination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n urban residential area, Haebangchon.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2): 1-12. 

  32. Sohn, K. H.(2012) Presentation of checklists for selection of herbaceous plants in garden design.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5(1): 47-60. 

  33. Sohn, K. H.(2013) Classification of Korean garden perennial plants according to growth habit, flower color, plant height, and flowering month.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6(6): 383-400. 

  34. Song, J. H., H. Y. Jin and J. H. Shin(2012) A study on planting types of traditional Korean Garden.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5(4): 287-299. 

  35. Stone R. C.(1989) Weather types at Brisbane, Queensland: An example of the use of principal components and cluster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9(1): 3-32. 

  36. Woo, K. S. and J. H. Suh(2016) A study on the contemporary definition of 'GARDEN' -Keyword analysis used literature research and big data-.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5): 1-11. 

  37. Yarnal, B.(1992) Synoptic Climatology in Environmental Analysis: A Primer. Belhaven Press: London. 

  38. Yoon, S. J.(2009) A study on the trend of garden design in chelsea flower show in England: Focused on 2001-2009.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48: 99-117. 

  39. Yum, S. J., Y. H. Seo, J. P. Hong and D. G. Jo(2014)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house garden and characteristics of tree planting.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1: 71-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