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GIS 기반의 하천망분석도 집수구역 자동 분할을 위한 알고리듬 및 모듈 개발
GIS based Development of Module and Algorithm for Automatic Catchment Delineation Using Korean Reach File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0 no.4, 2017년, pp.126 - 138  

박용길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김계현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유재현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환경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물환경 관련 문제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위해 GIS를 활용한 물환경데이터의 분석에 대한 지원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물환경데이터의 공간분석을 지원하는 공간네트워크 데이터기반의 하천망분석도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오염사고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시로 요구되는 공간자료인 집수구역의 분할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표고모델흐름방향도를 이용한 집수구역 자동 분할 알고리듬모듈 개발을 포함하는 자동분할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집수구역 자동분할 프로그램의 개발은 집수구역 분할 방법 설계, 알고리듬 개발, 모듈 개발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집수구역 분할을 위해 수치표고자료와 이를 기반으로 제작된 흐름방향도를 활용하였다. 집수구역 분할을 위한 알고리듬은 집수구역 격자추출단계, 경계점 추출단계 및 경계선 분할 단계의 3단계로 개발되었으며 집수구역 분할모듈은 프로그램의 생산성과 활용성을 고려하여 ESRI사의 ArcGIS를 기반으로 하는 Add-in 모듈로 개발하였다. 집수구역 자동분할 모듈을 이용하여 실제 집수구역을 분할하였으며, 현재 활용중인 집수구역과 비교 분석하였다. 집수구역 분할 결과 수치표고자료 기반의 집수구역 분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지형학적 경사가 명확한 지역은 집수구역의 분할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 밭, 도심지역 등 평평한 곳이나 배수시설이 정비된 지역의 경우 집수구역의 분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기존 집수구역의 분할시간을 줄이는데 기여가 클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에는 보다 정밀한 수치표고자료의 활용이 가능하면서 자료 크기로 인한 계산 시간을 줄이기 위한 알고리듬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national interest in environment is increasing and for dealing with water environment-related issues swiftly and accurately, the demand to facilitate the analysis of water environment data using a GIS is growing. To meet such growing demands, a spatial network data-based stream network...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수구역의 보다 효율적 분할을 위해 집수구역 자동분할 알고리듬을 설계하고 하천망분석도를 활용한 집수구역 자동 분할 모듈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집수구역의 분할은 인문학적, 지형학적 요건을 고려하여 분할되어야 하나 수질사고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서는 자동분할을 이용한 빠른 집수구역의 분할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 Index Grid에 저장된 집수구역은 순서가 정의되지 않고 물이 모이는 지점만을 나타내고 있는 배열이므로 경계선을 추출할 수 없다. 따라서 Index Grid에 저장된 집수구역 지점을 이용하여 경계선을 추출하는 알고리듬을 개발하여 집수구역을 분할하기 위한 경계선을 이루는 지점인 집수구역 분할 경계점을 추출하도록 하였다. 분할 경계점 추출을 위해 Index Grid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세 번째 2차원 배열인 Index Line Grid 를 생성하고 Index Grid와 동일하게 흐름방향 도의 방향 값이 없는 지점은‘-1’값을 입력하고 다른 지점은‘0’값을 입력하여 초기화한다.
  • 집수구역 분할 모듈로 집수구역을 분할하기 위해 남한강 양평군 양평읍 오빈리 인근의 하천 망분석도 집수구역에 시범 적용해 보았다. 시범 적용 대상 집수구역은 하천망분석도에서 측정소를 기반으로 집수구역을 분할한 집수구역으로, 집수구역 분할 모듈의 결과를 비교하기 용이하여 시범지역으로 선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집수구역 분할을 위한 알고리듬을 개발하고 집수구역 자동 분할 모듈을 개발 하여 신속한 집수구역 분할 수행을 가능하게 하였다. 개발된 집수구역 분할 모듈을 이용하여 하천망흐름도의 집수구역을 분할하였으며, 그 결과를 현재 활용중인 집수구역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망분석도란 무엇인가? , 2016). 하천망분석도는 하천 네트워크 기반의 공간자료로써, 고유식별코드(Unique Feature Identifier, UFID)와 다양한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수리학적 특색을 가지는 구간(Reach)에 대한 위치정보 기반의 수리학 데이터베이스이다 (Yoo, 2014).
2015년 KRF Version 3 기준으로 하천망분석도의 구축 현황은 어떠한가? , 2014). 하천망분석도(KRF)는 대한민국 전 지역에 대하여 2015년 KRF Version 3 기준으로 총 하천 개수 3,838개, 29,868㎞를 구축하였으며, 총면적 110,108㎢가 구축 되어 있다(NIER, 2013).
하천망분석도에서 일대일 자료 연계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하천망분석도의 Reach는 선형자료로 하천에서의 흐름분석이나 연결 관계를 통한 물질이동 경로 탐색 등의 분석에는 용이하나 하천의 수리적 특성을 고려한 영향권 분석이나 포함관계를 정의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유역경계 중 가장 작은 유역 단위인 표준 유역도 복수개의 Reach를 포함하고 있어 일대일 자료 연계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하천망분석도는 표준 유역보다 더 작은 공간 개념인 Reach를 기준으로 하는 집수구역을 분할하여 면형자료로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De Jager, A.L. and J.V. Vogt. 2010.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a structured hydrological feature coding system for Europe.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55(5):661-674. 

  2. Beeri, C., Y. Kanza, E. Safra, and Y. Sagiv. 2004. Object fusion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Proceeding of the 30th VLDB Conference, Toronto, Canada. pp 816-827. 

  3. Horn, R.C., L. McKay, and S.A. Hanson. 1994. History of the U.S. EPA's river reach file: a national hydrographic database available for ArcInfo applications. Proceedings of the Fourteenth Annual ESRI User Conference. 

  4. Jo, M.H., S.H. Lee, H.L. Choi, and S.H. Jang. 2013. Building a GIS database for analyz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on aquatic ecosystem health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4): 189-203 (조명희, 이수형, 최희락, 장성현. 2013. 수생태계 건강성 통합정보 분석을 위한 GIS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4):189-203). 

  5. Kwon, M.J,, K.H. Kim, and C.Y. Lee. 2012. Design of GIS based Korean reach file supporting water quality modeling.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1):1-13 (권문진, 김계현, 이철용. 2012. 수질모델링 지원을 위한 GIS기반 한국형 Reach File 설계. 한국수자원학회지 45(1):1-13). 

  6. Lee, C.Y., K.H. Kim, Y.G. Park, and H. Lee. 2014. Construction schemes of GIS -based integrated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inked with Korean reach file. Journal of Korea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0(2):226-241 (이철용, 김계현, 박용길, 이혁. 2014. KRF를 연계한 GIS 기반의 통합 물환경정보 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한국물환경학회지 30(2):226-241). 

  7. Lee, H. 2011. Development of GIS-based Korean reach file for supporting water quality management. Ph.D. Thesis, Univ. of Inha, Incheon, Korea. p.12 (이혁. 2011. 수질관리 지원을 위한 GIS 기반의 한국형 Reach File 개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쪽). 

  8.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A study on the Revision anf Accuracy Enhancement of Korean Reach File. p.28 (국립환경과학원. 2013. 한국형 Reach File 현행화 및 정확도 제고방안 연구. 28쪽). 

  9. Park, Y.G., K.H. Kim., C.Y. Lee, and S.J. Lee. 2013. Developing algorithm of automated generating schematic diagram for one-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 using Korean reach file. Journal of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1(6):91-98 (박용길, 김계현, 이철용, 이성주. 2013. 한국형 Reach File을 이용한 1차원 수질모델 모식도 자동생성 알고리듬 개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1(6):91-88). 

  10. Song, H.O., H. Lee, T.G. Kang, K.H. Kim, J.K. Lee, D.H. Rhew, and D.I. Jung. 2016. A study on redesign of spatial data structure of Korean reach file for improving adaptability. Journal of Korea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2(6): 511-519 (송현오, 이혁, 강태구, 김경현, 이재관, 류덕희, 정동일. 2016. 하천망분석도(KRF)의 활용성 증대를 위한 공간데이터 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32(6): 511-519). 

  11. Yoo. H.M. 2014. Developing a method for attribute data integration of spatial data - focusing on road network data of Korea NGII and KOTI -. Master's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pp.11-17 (유희민. 2014. 공간 데이터 간의 속성데이터 연계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대한민국. 11-17쪽).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