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오드 DB 구축 및 한국 성인의 요오드 섭취 추이 분석 : 1998~2014 국민건강영양 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An iodine database establishment and iodine intake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1998~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6, 2017년, pp.624 - 644  

고유미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권용석 ,  박유경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식품성분표를 함께 이용하여 한국인 상용식품의 요오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1998년~ 2014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의 요오드 섭취량 및 추이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총 56,818명이며,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식생활 관련 요인, 식품군, 식사제공 장소 등으로 나누어 요오드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전체 요오드 섭취량은 1998년에서 2014년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일반적 사항에서 남녀의 비율은 50% 내외로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여성보다 남성의 요오드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의 경우, 30 ~ 49세의 요오드 섭취비율이 39 ~ 46%로 가장 높았다. 식생활 관련 요인은 점심에 요오드 섭취비율이 1998년에서 2014년까지 29.4 ~ 34.4% 사이로 가장 높았다. 음식 제공장소 중 가정식에서 섭취하는 요오드 섭취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군에 따른 요오드 섭취량은 해조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음식제공 형태별 요오드 섭취량은 모든 연도에서 국 및 탕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요오드 주요 급원 식품으로는 다시마가 가장 요오드 함유량이 많은 식품으로 조사되었고 그 외 카레소스를 제외하고 미역, 김 등의 해조류가 상위권을 차지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한국 성인의 요오드 섭취량은 적정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요오드 섭취량의 경우에는 상한 섭취량 기준이 있는 미량 영양소인 만큼 섭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요오드 섭취량 변화에 따른 갑상선 질환을 비롯한 다른 요오드 관련 질환이나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후속 연구들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도움이 되길를 기대해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nalyzed iodine intake by establishing an iodine database of general Korean foods eaten by Korean adults based on the data from the 1998 ~ 2014 KNHANE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hods: Data on 56,818 subjects aged 19 years and older were obtain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의 요오드는 섭취량이 다른나라에 비해 높은 이유는? 요오드는 신체 대사과정과 성장 및 발달에 관여하는 우리 몸의 필수적인 미량 무기질로서 갑상샘호르몬인 thyroxine (T4)과 triiodothyronine (T3)을 구성하는 성분이다.1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한국은 지역적인 특성 때문에 해조류나 어패류가 급원인 요오드를 비교적 풍부하게 섭취할 수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요오드는 섭취량이 부족하기 쉬운 무기질이다.2 요오드가 어린이에게 부족하게 되면 인지기능이 손상되고, 성장이 지연되는 요오드 결핍증이 유발될 수 있으며, 성인에게 요오드가 부족하게 되면 갑상선의 크기가 커지는 갑상선종이 유발된다.
요오드 섭취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표준화된 식품분석법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4 요오드 섭취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식품분석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식품 내 요오드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이온선택전 극법 (iodide specific ion electrode, ISE), 중성자방사화 분석 (neutron activation analysis, NAA),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법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 MS), 고주파 유도 결합 플라즈마-질량분석기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 및 이온 크로마토크레피법 등이 보고되었다.5 이처럼 식품 내 요오드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매우 다양하지만 분석방법마다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다양하고 요오드의 성분 값이 일정 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존의 분석 값을 보완한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요오드의 특징은? 요오드는 신체 대사과정과 성장 및 발달에 관여하는 우리 몸의 필수적인 미량 무기질로서 갑상샘호르몬인 thyroxine (T4)과 triiodothyronine (T3)을 구성하는 성분이다.1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한국은 지역적인 특성 때문에 해조류나 어패류가 급원인 요오드를 비교적 풍부하게 섭취할 수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요오드는 섭취량이 부족하기 쉬운 무기질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Institute of Medicine Panel on Micronutrients (US). DRI,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vitamin A, vitamin K, arsenic, boron, chromium, copper, iodine, iron, manganese, molybdenum, nickel, silicon, vanadium, and zinc.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1. 

  2. Kim JY, Moon SJ, Kim KR, Sohn CY, Oh JJ. Dietary iodine intake and urinary iodine excretion in normal Korean adults. Yonsei Med J 1998; 39(4): 355-362. 

  3. de Benoist B; World Health Organization Nutrition for Health and Development. Iodine status worldwide: WHO global database on iodine deficiency.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4. Moon SJ, Kim JY, Chung YJ, Chung YS. The iodine content in common Korean foods. Korean J Nutr 1998; 31(2): 206-212. 

  5. Kang TS, Lee JH, Leem DG, Seo IW, Lee YJ, Yoon TH, Lee JH, Lee YJ, Kim YJ, Kim SG. Monitoring of iodine in foods for estimation of dietary intake. Cheongwon: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2. 

  6. Lee SY, Paik HY. Comparative study of nutrient intakes estimated by difference of nutrient databas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0; 10(3): 245-251.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National Cancer Center (KR). Cancer facts & figures 2017 in the Republic of Korea.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8. World Health Organizatio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Vitamin and mineral requirements in human nutrition: report of a joint FAO/WHO expert consultation, Bangkok, Thailand. 1998.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8. 

  9. Zimmermann MB, Jooste PL, Pandav CS. Iodine-deficiency disorders. Lancet 2008; 372(9645): 1251-1262. 

  10. Chung HR, Shin CH, Yang SW, Choi CW, Kim BI. Subclinical hypothyroidism in Korean preterm infants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iodine in breast milk. J Clin Endocrinol Metab 2009; 94(11): 4444-4447.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12. Choe JS, Chun HK, Park H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food composition tabl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01; 12(2): 119-135. 

  13. Han MR, Ju DL, Park YJ, Paik HY, Song Y. An iodine database for common Korean food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iodine intake and thyroid disease in Korean adults. Int J Thyroidol 2015; 8(2): 170-182. 

  14. Lee HS, Min H. Iodine intake and tolerable upper intake level of iodine for Koreans. Korean J Nutr 2011; 44(1): 82-91. 

  15. Oh K, Lee J, Lee B, Kweon S, Lee Y, Kim Y. Plan and operation of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Korean J Epidemiol 2007; 29(2): 139-145. 

  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ited 2016 Dec 9].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1/sub01_03.do. 

  17. Chung SJ, Kang SH, Song SM, Ryu SH, Yoon J. Nutritional quality of Korean adults' consumption of lunch prepared at home, commercial places, and institut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2006; 39(8): 841-849. 

  18. Shim JS, Oh K, Nam CM. Association of household food security with dietary intake: based on the third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Korean J Nutr 2008; 41(2): 174-183. 

  19. Lee S, Lee KW, Oh JE, Cho MS. Nutritional and health consequences are associated with food insecurity among Korean elderly: based on the fifth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J Nutr Health 2015; 48(6): 519-529. 

  20. Lee Y, Kim M, Chung HK, Kim HR, Shim JE, Cho H, Yoon J. Evaluation of traditional aspects of school lunch menus in Korea by analyzing dish group composition.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4): 386-401. 

  2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KR). Food composition table. 7th ed. Suw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2006. 

  22. Han MR. The establishment of iodine database for common Korean foods and associations between iodine intake and thyroid disease in Korean adults [dissertation]. Bucheon: The Catholic University; 2015. 

  2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Food values.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9. 

  24. Globalhealthcare (KR). Iodine analysis method establishment and content monitoring of food. Seoul: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6. 

  25. Kim SY, Kang MS, Kim SN, Kim JB, Cho YS, Park HJ, Kim JH. Food composition tables and national information network for food nutrition in Korea. Food Sci Ind 2011; 44(1): 2-20. 

  26. Yoon MO, Lee HS, Kim K, Shim JE, Hwang JY.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 database us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 Nutr Health 2017; 50(5): 504-518. 

  27.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JP). Standard tables of food composition in Japan (seventh revised version). Tokyo: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2015. 

  28. Yeon S, Oh K, Kweon S, Hyun T. Development of a dietary fiber composition table and intakes of dietary fiber i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3): 293-300. 

  29. Lee KW, Cho MS, Shin D, Song WO. Changes in iodine status among US adults, 2001-2012. Int J Food Sci Nutr 2016; 67(2): 184-194. 

  3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orea Health Statistics 200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2. 

  31. Kim EH, Choi TI, Park YK. Dietary iodine intake and the association with subclinical thyroid dysfunction in male workers. Korean J Nutr 2012; 45(3): 218-228. 

  32. Lee J, Shin A. Vegetable and fruit intake in one person household: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J Nutr Health 2015; 48(3): 269-276. 

  33. Zimmermann MB. Methods to assess iron and iodine status. Br J Nutr 2008; 99 Suppl 3: S2-S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