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기 세타파 감소를 위한 전전두엽 뉴로피드백 훈련 효과
Effect of Prefrontal lobe Neurofeedback Training for reducing Adolescent Theta wav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2, 2017년, pp.459 - 465  

변윤언 (경기대학교 청소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뉴로피드백 훈련이 청소년기 세타파를 감소하는 데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볼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초기청소년 35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청소년상담실에서 이루어졌다. 사전 뇌기능검사에 참여한 대상자 중 참여여건과 의사에 따라 무처지 비교군(A) 10명, 12주훈련집단 실험군(B) 15명, 24주훈련집단 실험군(C) 10명으로 분류하여 설계하였다. 뇌파측정 및 뉴로피드백 훈련은 (주)파낙토스의 전전두엽 2채널 뉴로하모니S와 두뇌최적화 소프트웨어로 수행하였으며 뇌파데이터 처리는 (재)한국정신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Brain Analysis ver 1.3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데이터는 통계처리가 가능하도록 SPSS 21.0으로 변환하였다. 청소년들의 세타파 감소 훈련을 위해 개별적으로 훈련 프로토콜을 정해주었으며 베타파 증가훈련을 통해 세타파를 감소하는 전략으로서 개인에게 알맞은 알파파, SMR, 저베타파 증가 훈련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전전두엽 뉴로피드백 훈련을 통해 청소년들의 세타파 감소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훈련을 받은 집단(B)(C)에서, 또 훈련의 기간이 좀더 긴 집단(C)에서 세타파 감소의 폭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assess whether neurofeedback training can reduce theta waves in adolescent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35 early youths living in Gyeonggi-do at youth counseling centers during April-October. According to circumstances and opinions of participants in the pre-brain analys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존연구들이 뉴로피드백 훈련의 사전-사후 지수별 단일비교를 통한 효과성을 검증에 치중하였다면 이 연구에서는 서파인 세타파 과잉상태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검증하기로 한다. 그리고, 뉴로피드백 훈련 기간에 차이를 두어 훈련량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이상에서 검토한 내용과 같이, 청소년기 세타파와 같은 서파 과잉상태가 발달상에 필요한 주요 과업을 해결하기보다는 오히려 방해의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서파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뉴로피드백 훈련요법 효과에 대한 연구도 검토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는 청소년기의 학습 및 정서, 행동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세타파의 과잉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 가운데 뉴로피드백 시스템(Neurofeedback system)이라는 자기조절 훈련 요법을 적용하여 세타파 감소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뉴로피드백 훈련요법은 뇌파를 통해 자신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자율신경계의 조절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뇌의 항상성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이다[10].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된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청소년기 세타파 감소를 위한 뉴로피드백 훈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알파파조절훈련, SMR조절훈련, 베타파조절훈련과 같은 개인별 프로토콜에 따른 훈련을 통해 청소년들의 세타파 감소에 뉴로피드백 훈련이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설계를 하였다.
  • 따라서, 이 시기 배경주파수로 나타나는 알파파 상태는 성인으로 진입하기 위한 생애주기적인 변화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6]. 이에, 본 연구에서는 11세~13세의 청소년을 초기청소년으로 정의하고 이 시기 뇌파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청소년기에는 외부환경과 자극에 따른 뇌의 가소성(plasticity)에 따라 학습 및 정서, 행동 영역에서의 긍정적․부정적 변화를 비교적 쉽게 관찰할 수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뇌파(EEG; Electroencephalogram)를 통해 접근하고자 하였다. 뇌파연구는 주파수 대역과 변화에 따라 인간의 의식 및 심리상태를 반영해 준다는 사실과 다른 뇌영상 장치들과는 다르게 인간 발달단계에서의 두뇌 변화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3].

가설 설정

  •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물음을 통해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 뉴로피드백 훈련은 청소년기 세타파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뉴로피드백 훈련량에 따라 세타파 감소에 효과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알 수 있는 개인별 프로토콜에 따른 뉴로피드백 훈련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에서 나타나는 보편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런데, 청소년기의 이러한 신체적․심리적 변화를 담아낸 개념들은 1990년대 후반 뇌과학 연구의 발전에 힘입어 상당부분 검증되기 시작하였다. 그것은 청소년기에서 나타나는 보편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시냅스(Synapse)의 변화’가 ‘뇌 속 사춘기’를 유발하게 된다는 과학적 사실이었다. 이로 인해 청소년들이 때로는 충동적이고, 지극히 예민하며, 예측 어려운 감정과 행동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되었다[2].
본 연구에서 서술하는 청소년기란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신체적으로 아동과 성인의 특성이 공존하는 역설적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는 심리적 측면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청소년의 심리를 오랫동안 연구했던 석학들은 질풍노도의 시기, 제 2의 탄생기, 주변인 등과 같은 용어를 통해 그 특징을 설명해 왔다[1].
청소년기의 특징을 묘사한 용어는 무엇이 있는가? 청소년기는 신체적으로 아동과 성인의 특성이 공존하는 역설적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는 심리적 측면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청소년의 심리를 오랫동안 연구했던 석학들은 질풍노도의 시기, 제 2의 탄생기, 주변인 등과 같은 용어를 통해 그 특징을 설명해 왔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 S. Kim. Theories and Issues of Youth Psychology. pp. 171-237. publisher Hakjisa, 2009. 

  2. Y. E. Byun. The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Age Sex differences groups in Adolescence. published Seoul Buddhism University, 2010. 

  3. D. W. Kim et al.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EEG pp. 13-15. publisher Hakjisa, 2017. 

  4. B. Strauch. The Primal Teen, pp. 19-171. Brockman, Inc. 2003. 

  5. P. M. Thomson, J. M. Giedd, R. P. Wood, D. McDonald, A. C. Evans, A. W. Toga. "Growth patterns in the developing brain detected by using continuum mechanical tensor map," Nature, 404, pp. 190-193, 2000. DOI: https://doi.org/10.1038/35004593 

  6. P. W. Park. Introduction to Neurofeedback. pp.7-105. Institute of Korea Jungshin science, 2016. 

  7. J. S. Yoon. Clinical EEG. pp. 184-186. publisher koreambp, 2004. 

  8. Y. E. Byun. "The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Age differences groups in Adolescence,"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6, pp. 2561-2566, 2011. DOI: https://doi.org/10.5762/KAIS.2011.12.6.2561 

  9. A. Frances. Essential of Psychiayric Diagnosis: Responding to the challenge of DSM-5(Revised Ed). pp. 29-75. Sigma Press, 2014. 

  10. S. Richard, R. Longo. Doing Neurofeedback an Introduction. pp. 15-202. Research Foundation, pp. 125-142, 2011. 

  11. J. N. .Demos, Getting Started with Neurofeedback,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2005. 

  12. J. F. Lubar. Neurofeedback for the management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s. In M. S. Schwartz(Ed.), Biofeedback: A practitioner's guide New York: Guilford Press, pp. 493-522, 1995. 

  13. P. W. Park. "A wonderful brain that teaches itself," Nowhere, Vol. 44, pp. 162-189, 2003. 

  14. V. J. Monastra, J.F. Lubar, M. Linden, P. VanDeusen, G. Green, W. Wing, A. Phillips, T. N. "Fenger. Assess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via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an initial validation study," Neuropsychology. vol. 13. no. 3, pp. 424-33, 1999. DOI: https://doi.org/10.1037/0894-4105.13.3.424 

  15. R. J. Chabot, G. Serfontein.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ic profile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Biol Psychiatry. vol. 15. no. 10(Nov), pp. 951-63, 1996. DOI: https://doi.org/10.1016/0006-3223(95)00576-5 

  16. K. L. Sandra, M. Scott. "Clinical Utility of EEG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Research Update" Neurotherapeutics. vol. 9, no. 3(Jul), pp. 569-587, 2012. DOI: https://doi.org/10.1007/s13311-012-0131-z 

  17. M. M. Lansbergen, M. Arns, M. van Dongen-Boomsma, D. Spronk, J. K. Buitelaar. "The increase in theta/beta ratio on resting-state EEG in boy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s mediated by slow alpha peak frequency,"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vol. 35, no. 1, pp. 47-52, 2011. DOI: https://doi.org/10.1016/j.pnpbp.2010.08.004 

  18. J. F. Lubar, M. O. Swartwood, J. N. Swartwood, P. H. O'Donnel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EG neurofeedback training for ADHD in a clinical setting as measured by changes in T.O.V.A. scores, behavioral ratings, and WISC-R performance. Biofeedback," Self Regul, vol 20, no. 1(Mar), pp. 83-99, 1995. DOI: https://doi.org/10.1007/BF01712768 

  19. J. H. Jung, J. Y. Kim, S. J. Le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Unstable EEG and Inactive EEG in Growing Children and Learning Effect," Association of Korea Jungshin science. vol. 25, pp. 205-231, 2006. 

  20. Y. J. Kim. Development of brain Circulation learning Model based on EEG Analysis of learning Activities. published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