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로피드백 훈련이 고등학생의 일반적 건강수준, 정신건강과 문제행동 및 뇌기능 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Neurofeedback training on the General health status,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and Brain function quoti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2, 2013년, pp.6309 - 6316  

원희욱 (불교대학원대학교 신경과학과) ,  임지영 (차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손해경 (차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김명아 (차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청소년기의 이환율과 사망률, 정신건강과 문제행동의 위험 수준이 심각하나 적절한 중재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유사실험 연구는 뉴로피드백 훈련이 고등학생의 일반적 건강수준, 정신건강과 문제행동 및 뇌기능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뉴로피드백 훈련은 2012년 9월부터 12월, 주 2회(총 20회)에 걸쳐 방과 후 교내 컴퓨터실에서 훈련된 연구자 1인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와 뇌기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대상자는 S시 I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으로, 대조군 6명과 실험군 5명이 최종 분석되었다.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정규성 검정 후 paired t-test와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효과 검증하였다. 뉴로피드백 훈련 결과, 일반적 건강수준, 정신건강과 문제행동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통계적으로 향상되었고, 뇌기능 지수 가운데 정서지수와 좌 우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저항지수가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rbidity, mortality,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appears to be high in adolescence, but there is no proper intervention.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neurofeedback training on the general health status,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and the brain function 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뉴로피드백 훈련이 고등학생의 일반적 건강 수준, 정신건강과 문제행동 및 뇌기능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가설 설정

  • 1.3.1 뉴로피드백 훈련에 참여한 고등학생은 대조군에 비해 일반적 건강수준이 증가된다.
  • 1.3.2 뉴로피드백 훈련에 참여한 고등학생은 대조군에 비해 정신건강과 문제행동이 감소된다.
  • 1.3.3 뉴로피드백 훈련에 참여한 고등학생은 대조군에 비해 뇌기능 지수가 증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뉴로피드백이란? 뉴로피드백은 내장이나 심근과 같은 불수의근이나 자율신경계를 조건에 따라 의지로 제어하는 바이오피드백 가운데 뇌파를 통제하는 기술이다. 또한 뉴로피드백은 뇌의 항상성에 대한 자기조절 능력을 강화하고 뇌기능 향상을 통해 뇌기능의 상태를 최적화시킨다.
뉴로피드백의 장점은? 뉴로피드백은 내장이나 심근과 같은 불수의근이나 자율신경계를 조건에 따라 의지로 제어하는 바이오피드백 가운데 뇌파를 통제하는 기술이다. 또한 뉴로피드백은 뇌의 항상성에 대한 자기조절 능력을 강화하고 뇌기능 향상을 통해 뇌기능의 상태를 최적화시킨다. 이는 정신적, 육체적 긴장과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심신의 안정을도모한다.
뉴로피드백 훈련에 대한 본 연구 결과는 전체 고등학생에게 일반화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취한 방법은?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신체, 정신건강과 문제행동의 측정을 위해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대상자 수가 적은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 결과는 전체 고등학생에게 일반화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가보고형 설문지 분석과 더불어 개별상담 자료를 내용분석하였고, 적은 대상자의 수를 감안하여 비모수 검정 통계기법을 활용한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P. Kropp, M. Siniatchkin, W. D. Gerver, "On the pathophysiology of migraine-links for emprically based treatment with neurofeedback",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27(3), pp.203-213, 2002. DOI: http://dx.doi.org/10.1023/A:1016251912324 

  2. D. C. Hammond, "Treatment of chronic fatigue with neurofeedback and self-hypnosis", Neurorehabilitation, 16(4), pp.295-300, 2001. 

  3. J. Raymond, C. Varney, L. A. Parkinson, J. H. Gruzelier, "The effects of alpha/thera neurofeedback on personality and mood", Cognitive Brain Research, 23, pp.287-292, 2005. DOI: http://dx.doi.org/10.1016/j.cogbrainres.2004.10.023 

  4. D. C. Hammond, "Neurofeedback with anxiety and affective disorder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14(1), pp.105-123, 2005. DOI: http://dx.doi.org/10.1016/j.chc.2004.07.008 

  5. Y. S. Song,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fatigue, stress, and immune reaction in nursing students.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18(2), pp.22-28, 2005. 

  6. K. J. Baek, S. G. Yi, P. W. Park, "A research on the effect neurofeedback training before & after about emotional and attention deficit characteristics by timeseries linear analysis",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14(4), pp.45-61, 2007. 

  7. D. J. Fox, D. J. Tharp, L. C. Fox, "Neurofeedback:an alternative and efficacious treatment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30(4), pp.365-373, 2005. DOI: http://dx.doi.org/10.1007/s10484-005-8422-3 

  8. Y. H. Lee, "Improvement of attention deficit by neurofeedback", The Education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40, pp.197-212, 2002. 

  9. J. F. Lubar, "Discourse on the development of EEG diagnostics and biofeedback treatment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s", Biofeedback and Self-regulation 16, pp.201-225, 1999. DOI: http://dx.doi.org/10.1007/BF01000016 

  10. H. K. Lee, "Report about the health status of Korean adolescents-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Korean adolescent health through demographic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9(12), pp.1267-1274, 2006. DOI: http://dx.doi.org/10.3345/kjp.2006.49.12.1267 

  11. J. K. Kim, "Change of exercise learing and EEG from EEG self-regulation training",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Psychology, 12(1), pp.1-13, 2001. 

  12. J. C. Yoo,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spectatorship and social behavior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000. 

  13. J. S. Kim, S. A. Lee, M. S. Kim, "Effects of stretching on fatigue and concentr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2), pp.196-203, 2006. 

  14. Y. W. Ahn, "Clinical adaptation of neurofeedback", Journal of Korean Academy Family Medicing, 26(11), pp.489-491, 2005. 

  15. H. W. Weon, S. G. Yi,, H. G. Kang, "Effects of a neurofeedback program on brain function and stress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3), pp.315-324, 2008. 

  16. J. Ware, C. D. Sherbourne,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30(6), pp.473-483, 1992. DOI: http://dx.doi.org/10.1097/00005650-199206000-00002 

  17. C. W. Han, E. J, Lee, T. Iwaya, H. Kataoka, M. Kohzuki,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Short-Form 36-Item Health Survey: Health Related QOL of Healthy Elderly People and Elderly Patients in Korea", The Tohoku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203(3), pp.189-194, 2004. DOI: http://dx.doi.org/10.1620/tjem.203.189 

  18. D. H. Ahn, "Development of screening test and auxiliary test book for adolescent mental health",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19. S. J. Kim, C. S. Lee, Y. R. Kweon, M. R. Oh, B. Y. Kim, "Tes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dolescent mental problem questionnaire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9(5), pp.700-708, 2009.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9.39.5.700 

  20. Y. J. Kim, H. H. Kim, J. K. Park, H. K. Chae, M. Park, K. M. Kang, S. H. Cho, Y. K. Min, N. K. Jang, "The evaluations of the functional state of the brain by brain wave measure during problem-solving activities", The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28(3), pp.291-301, 2000. 

  21. K. R. Chun, "A study on perceived stress level and adaptive method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