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수업의 실제적 개선을 위한 POCoM (Practical On-site Cooperation Model)의 확장 적용
Expansive Application of the POCoM (Practical On-site Cooperation Model) for Practical Improvement of Science Teaching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1 no.3, 2017년, pp.365 - 381  

박종원 (전남대학교) ,  김영민 (부산대학교) ,  정진수 (대구대학교) ,  박영신 (조선대학교) ,  박종석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전 연구 (Park et al. 2015)에서 POCoM (Practical On-site Cooperation Model)이 긍정적으로 과학수업을 개선할 수 있었다는 결과에 기초하여, 보다 다양한 상황에서도 POCoM의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 그에 따라 POCoM을 일반화할 수 있는지를 탐색해 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이전 연구결과를 포함한 총 18개 순환 (총 72개 수업)을 교실 수업과 실험실 수업으로 나누고, 1차 순환과 얼마의 기간 후에 다시 실시된 2차 순환으로 나누고, 또 본 연구를 계획한 연구자가 수업 개선을 노력한 경우와 다른 전문가들이 수업 개선을 위해 노력한 경우로 각각 나누어 다음 3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POCoM의 적용결과를 비교하였다: 전체적인 수업 개선율,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된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항목 수와 4차시까지 진행되면서 나타난 이러한 항목 수의 변화. 분석 결과, 1차 순환 이후에 POCoM을 2차로 적용해도 동일한 개선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이 결과로부터 2차 순환 후 일상적 과학학습에서도 개선 효과가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리고 교실 수업과 실험실 수업 모두에서 POCoM 적용을 통한 유사한 개선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다른 전문가들이 적용한 경우에는 본 연구자가 적용한 경우보다 통계적인 차이가 있지는 않았지만, 개선율이 적게 나타나고 개선이 필요한 항목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전문가들도 6차시까지 개선을 계속하면, 본 연구자가 4차시까지 적용하면서 얻은 개선 정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론적으로 POCoM은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상황에서 큰 차이가 없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the previous study (Park et al., 2015) which indicated positive results in the improvement of science teaching through the POCoM (Practical On-site Cooperation Model) application, this work concentrates on expanding the POCoM to more various teaching settings. To do this, 18 cyclic applic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OCoM의 배경과 기본방향, 적용과정과 적용효과 등에 대한 소개와 논의는 앞선 논문들(Park et al., 2015; Jeong et al., 2014)에 자세하게 제시되어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최대한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총 18개 순환(총 72개 수업)을 적용한 상황(예를 들면, 교실 수업과 실험실 수업)별로 나누어, 상황별로 개선효과와 개선과정에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를 거의 정량적으로만 분석하였다. 그 이유는 특정 상황에서 적용한 POCoM의 결과가 다른 변화된 상황에서도 유지될 수 있는지, 따라서 POCoM을 일반화할 수 있는지를 탐색해 보기 위한 것이 본 연구의 기본 목적이었기 때문이다.
  • 다른 전문가에게 POCoM의 의도와 적용방법 등에 대해서 알려주기 위해,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가약 1시간 30분 정도 POCoM과 KTOP 소개 외에, Table 3과 같이 개선을 위한 협의과정에서 고려할 중요한 측면에 대해 설명을 해 주었다.
  • , 2016)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과학이론과 교수방법을 지도하여 과학수업에 적용하도록 하기 보다는, 익히 알고 있지만 잠재되어 있어 활용되지 않고 있는 과학수업 이론과 지도방법을 이끌어내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따라서 앞으로 ‘부정자료 분석 (Analysis of Negative Data)’이라는 연구방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POCoM의 확장을 통해 일반화 가능성 탐색을 위한 연구이므로 먼저 POCoM과 POCoM 적용을 위해 개발된 KTOP을 소개한 다음,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 본 연구는 이전 연구(Park et al., 2015)에서 POCoM을 통해 좋은 결과를 보인 연구사례를 보다 다양한 상황에 적용하여 일반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POCoM을 1차 적용한 후에 동일한 교사가 다른 내용으로 지도할 때 2차 적용하여 1차의 경우와 비교하고, POCoM을 교실 수업 개선과 실험실 수업 개선에 각각 적용하여 두 경우를 서로 비교하고, 마지막으로 다른 전문가에게 POCoM 적용을 안내하여 다른 교사와 협력하여 POCoM을 적용한 경우를 본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여 적용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이전 연구(Park et al., 2015)에서 교실 수업에서 어느 정도 성공적인 결과를 보인 수업 개선 노력 (POCoM: Practical On-site Cooperation Model)에 대해 일반화를 확보하기 위해 Shadish (1995)의 처음 두 가지 조건에 한정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즉, 중학교 과학수업이라는 측면에서는 이전 연구(Park et al.
  • 이 논의들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증거에 기반한 실행을 위해 다양한 조건과 상황에서 적용된 사례가 필요하다는 관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와 관련하여, Robinson et al.
  • , 2015)에서 교실 수업에서 어느 정도 성공적인 결과를 보인 수업 개선 노력 (POCoM: Practical On-site Cooperation Model)에 대해 일반화를 확보하기 위해 Shadish (1995)의 처음 두 가지 조건에 한정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즉, 중학교 과학수업이라는 측면에서는 이전 연구(Park et al., 2015)와 유사하지만, 교실수업뿐 아니라 실험실 수업으로 확장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지도 내용이 바뀐 상황에서 다시 적용해 보고, 본 연구를 계획하고 수행한 연구자가 아닌 다른 전문가가 적용해 보는 상황으로 확장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정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자료들을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보통의 과학교육 연구에서는 새로운 학습이론이나 지도전략 또는 연수나 수업개선 방안이 개발되면, 그것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중심으로 분석하게 된다. 그러나 실패한 사례, 어렵거나 힘들었던 과정, 상황에 따라 변하기 쉬운 부분 등 부정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자료들을 면밀하게 살펴보면, 새로운 학습이론이나 지도전략, 수업개선 노력들이 보다 더효과적이기 위한 조건들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마치 산업 제품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 요소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줄이기 위한 과정, 또는 의약품 개발과정에서 효과뿐 아니라 ‘부작용’도 함께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서 목적에 맞으면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추구하는 과정과도 유사하다.
효과적인 연구결과의 번역과 의사소통 방법을 활용하도록 촉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Dozois (2013)는 심리학 분야에서 연구자와 실행가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첫째, 그는 심리학 분야의 실행가들이 매달 연구논문을 읽는 비율이 41%에 불과하고, 32%는 전혀 읽지 않는다고 지적하면서 (Beutler et al., 1995), 실행가들을 위해 효과적인 연구결과의 번역과 의사소통 방법을 활용할 것을 권고하였다.
부정자료 분석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실패한 사례, 어렵거나 힘들었던 과정, 상황에 따라 변하기 쉬운 부분 등 부정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자료들을 면밀하게 살펴보면, 새로운 학습이론이나 지도전략, 수업개선 노력들이 보다 더효과적이기 위한 조건들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마치 산업 제품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 요소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줄이기 위한 과정, 또는 의약품 개발과정에서 효과뿐 아니라 ‘부작용’도 함께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서 목적에 맞으면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추구하는 과정과도 유사하다. 이에, 앞으로 POCoM을 적용하면서 부정자료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효과적인 PCOoM 적용을 위한 제안을 찾아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eutler, L. E., Williams, R. E., Wakefield, P. J., & Entwistle, S. R. (1995). Bridging scientist and practitioner perspectives in clinical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50(12), 984-994. 

  2. Cicchetti, D. V., & Feinstein, A. R. (1990). High agreement but low kappa: II. Resolving the paradoxe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3(6), 551-558. 

  3. Dozois, D. J. A. (2013). Psychological treatments: Putting evidence into practice and practice into evidence. Canadian Psychology, 54(1), 1-11. 

  4. Dunbar, K. (2001). What scientific thinking reveals about the nature of cognition. In K. D. Crowley, C. D. Schunn & T. Okada (Eds.), Designing for science: Implications from everyday, classroom, and professional settings (pp. 115-140).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 Erickson, G., Brandes, G. M., Mitchell, I., & Mitchell, J. (2005). Collaborative teacher learning: Findings from two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7), 787-798. 

  6. Jeong, J-S., Park, J., Park, J., Kim, Y., & Park, Y-S. (2014). Developing and applying in-service program for spreading the POCoM (Practical On-site Coopera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3), 261-272. 

  7. Kearns, D. M., Fuchs, D., McMaster, L. K., Saenz, L., Fuchs, L. S., Yen, L., Meyers, C., Stein, M., Compton, D., Berends, M., & Smith, T. M. (2010). Factors contributing to teachers’ sustained use of kindergarten peer-assisted learning strategies. Journal of Research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3(4), 315-342. 

  8. Kulikowich, J. M., & Sperling, R. A. (2011). Prescriptive statements: Philosophical,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3(2), 189-195. 

  9. Millar, R., & Hames, V. (2003) Towards evidence-based practice in science education 1: Using diagnostic assessment to enhance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 Programme Research Briefing No. 1, University of Cambridge Faculty of Education. 

  10. Park, J., Park, Y-S., Kim, Y., Park, J., & Jeong, J-S. (2014).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KTOP) for improving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Baltic Science Education, 13(2), 259-275. 

  11. Park, J., Kim., Y., Park, Y-S., Park., J., & Jeong, J-S.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on-site cooperation model (POCoM) for improving science teaching in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Baltic Science Education, 14(1), 45-63. 

  12. Park, J., Kim, Y., Park, J., Jeong, J-S., & Park, Y-S. (2016).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actual usage of educational theories/teaching strategies in their science teaching. Journal of Baltic Science Education, 15(4), 441-423. 

  13. Putnam, R. T., & Borko, H. (2000). What do new views of knowledge and thinking has to say about research on teacher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29(1), 4-15. 

  14. Robinson, D. H., Levin, J. R., Schraw, G., Patall, E. A., & Hunt, E. B. (2013). On going (way) beyond one's data: a proposal to restrict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in primary educational research journal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5(2), 291-302. 

  15. Rubin, A., & Parrish, D. (2007). Problematic phrases in the conclusions of published outcome studies: Implications for evidence-based practice.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17(3), 334-347. 

  16. Sawada, D., Piburn, M., Judson, E., Turley, J., Falconer, K., Benford, R., & Bloom, I. (2002). Measuring reform practic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classrooms: The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2(6), 245-253. 

  17. Schraw, G., & Patall, E. A. (2013). Using principles of evidence-based practice to improve prescriptive recommendation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5(3), 345-351. 

  18. Shadish, W. R. (1995). The logic of generalization: Five principles common to experiments and ethnographie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3(3), 419-428. 

  19. Slavin, R. E. (2008). Perspectives on evidence-based research in education: What works? issues in synthesizing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s. Educational Researcher, 47(1), 5-14. 

  20. Staines, G. L. (2008). The causal generalization paradox: The case of treatment outcome research.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2(3), 236-2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