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에 대한 인식 및 학교 밖 경험이 중학생의 과학 진로 희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 and Out-of-School Experience on Science Career Aspiration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1 no.3, 2017년, pp.447 - 461  

손지현 (대전내동중학교) ,  송영욱 (한국교원대학교) ,  최혁준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과학성적, 과학에 대한 인식, 학교 밖 경험이 과학 진로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18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과학 진로 희망 여부에 따라 과학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고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도출한 8개의 변인과 성별, 과학 성적 등이 과학 관련 진로 희망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선호'와 '일상 도구 사용' 변인만이 과학 진로 희망 여부를 유의미하게 설명할 수 있는 설명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과학 진로를 희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선호를 높이고 일상생활에서 도구를 사용하는 경험을 늘리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der, science achievement, perceptions of science, and out-of-school experi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career aspiration. We conduced a survey on 181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과학 진로 희망 여부에 따라 과학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 과학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경험에 대한 소수의 요인을 도출한 후, 도출된 과학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경험에 대한 요인과 성별, 과학 성적 등의 변인들이 과학 진로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성별, 과학 성적, 과학에 대한 인식, 학교 밖 경험이 과학 진로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선호를 포함한 과학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경험이 과학 진로 희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진로 희망 여부에 따라 과학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 과학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경험에 대한 소수의 요인을 도출한 후, 도출된 과학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경험에 대한 요인과 성별, 과학 성적 등의 변인들이 과학 진로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그러나 성별, 과학 성적, ‘과학 학습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과 ‘과학 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그리고 ‘자연 체험’, ‘과학 기자재 사용’, ‘컴퓨터사용’, ‘견학 및 시청’ 등의 변인이 회귀방정식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실제로 이들 변인들이 과학 진로 희망 여부를 유의미하게 설명할 수 없는 것일 수도 있고, 아니면 유의미하게 나타난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선호’와 ‘일상 도구 사용’이 이들 변인들이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을 대부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난 것일 수도 있다. 즉, 이 연구에서는 여러 변인을 함께 사용하여 과학 진로 희망에 미치는 효과를 봄으로써 다른 변인들은 일정하게 통제된 상태에서 한 변인의 효과를 알아본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가 개별적인 변인들의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성별이나 과학성적 등의 변인들이 과학 진로 희망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상충된 것이라고 섣불리 말하는 것은 경계해야 할 것이다.
  • 과학기술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과학 관련 진로로 진출할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것은 과학교육에 있어 중요한 일이다(Son& Woo, 2003). 학생들의 과학 진로 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한데,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과학 성적, 과학에 대한 인식, 학교 밖 경험이 과학 진로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8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진로 희망 여부와 과학에 대한 인식, 학교 밖 경험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과학 진로 희망 여부에 따라 과학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Yoon이 제시한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은? Yoon(2007)과 Wang & Staver(2001)는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 과정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Yoon(2007)은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들을 크게 개인적 요인,교육적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범주화하였는데, 남학생은 사회적 요인, 개인적 요인, 교육적 요인 순으로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대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난 데 비해, 여학생은 개인적 요인의 효과가 크고 나머지 두 요인의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Wang & Staver(2001)는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열망과 관련된 요인으로 교육적성과, 동기, 수업의 질, 수업의 양, 가정, 학급, 동료, 미디어 등을 변인으로 사용하였으며, 교육적 성과, 수업의 양 및 가정 관련 요인 등이 학생의 과학 관련 직업 열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Wang & Staver이 말하는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열망과 관련된 요인은? Yoon(2007)은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들을 크게 개인적 요인,교육적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범주화하였는데, 남학생은 사회적 요인, 개인적 요인, 교육적 요인 순으로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대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난 데 비해, 여학생은 개인적 요인의 효과가 크고 나머지 두 요인의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Wang & Staver(2001)는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열망과 관련된 요인으로 교육적성과, 동기, 수업의 질, 수업의 양, 가정, 학급, 동료, 미디어 등을 변인으로 사용하였으며, 교육적 성과, 수업의 양 및 가정 관련 요인 등이 학생의 과학 관련 직업 열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및 이공계 진로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는? Taiet al. (2006)은 14세에 과학 관련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나중에 물리나 공학을 전공할 가능성이 3.5배 정도 많다는 사실을 밝히며 중학생 시기에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열망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및 이공계 진로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Shin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schbacher, P. R., Li, E., & Roth, E. J. (2010). Is science me? High school students' identities, participation and aspirations in science, engineering, and medicin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5), 564-582. 

  2. Bong, S.-A., & Lee, K.-H. (2012). An analysis of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related career choice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37, 99-111. 

  3. Choi, S. Y. (2008). Trends of students' interests, attitudes, out-of school experiences by gender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 DeWitt J., & Archer L. (2015). Who aspires to a science career?: A comparison of survey responses from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13), 2170-2192. 

  5. Gilmartin, S. K., Li, E., & Aschbacher, P.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students'' interest in physical science or engineering, science class experiences, and family contexts: Variations by gender and race/ethnicity. Journal of Women and Minoriti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12(2-3), 179-207. 

  6. Kang, M., Kim, Y., Lim, H., & Yoo, Y. R. (2014).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cience experience, learning motivation, achievement and career orien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8(3), 625-643. 

  7. Lee, J., Kim, H.-B., Ju, E. J., & Lee, S.-Y.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mages of science and science learning and their science career choic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8), 934-950. 

  8. Lim, H.-J.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 learning and their perception of science career.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5(3), 227-238. 

  9. Maltese, A. V., & Tai, R. H. (2011). Pipeline persistence: Examining the association of educational experiences with earned degrees in STEM among U.S. Students. Science Education, 95(5), 877-907. 

  10. Park, S., Choi, K., & Lee H. (2007). The effects of introducing science-related reading materials on the enhanc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reading, science, and career explor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7(1), 353-370. 

  11. Riegle-Crumb, C., Moore, C., & Ramos-Wada, A. (2011). Who wants to have a career in science or math? Exploring adolescents' future aspirations by gender and race/ethnicity. Science Education, 95(3), 458-476. 

  12. Schreiner, C., & Sjoberg, S. (2004). Sowing the seeds of ROSE. Background, rationale,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data collection for ROSE (The Relevance of Science Education): A comparative study of students' views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Oslo: Dept. of Teacher Education and School Development, University of Oslo. Retrieved from http://www.roseproject.no/key-documents/key-docs/ad0404-sowing-rose.pdf 

  13. Shin, S., Ha, M., & Lee, J.-K. (2017). Research trends on career education in the science education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6), 293-312. 

  14. Sjoberg, S., & Schreiner, C. (2010). The ROSE project: Overview and key findings. Retrieved from http://www.roseproject.no/network/countries/norway/eng/nor-Sjoberg-Schreiner-overview-2010.pdf 

  15. Son, E.-J., & Woo, A. J. (2003).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tudents' Career Choice related to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7(2), 113-123. 

  16. Stake, J. E. (2006). The critical mediating role of social encouragement for science motivation and confidence among high school girls and boy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6(4), 1017-1045. 

  17. Tai, R. H., Liu, C. Q., Maltese, A. V., & Fan, X. (2006). Planning early for careers in science. Science, 312, 1143-1144. 

  18. Wang, J., & Staver, J. R. (2001). Examining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of science education and student career aspir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4(5), 312-319. 

  19. Yoon, J. (2007). The analysis of causal relationship among students'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and its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7), 570-5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