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도권 통행 특성을 고려한 통행시간가치 산정 연구
Calculation of Travel Time Valu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Considering Unique Travel Pattern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5 no.6, 2017년, pp.481 - 498  

김경현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교통연구실) ,  이장호 (한국교통대학교 철도시설공학과) ,  윤일수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통시설 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 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편익항목은 통행시간 절감편익이며, 이는 통행시간가치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현재 예비타당성조사 표준 지침(5판)에서는 1999년 전국 지역 간 통행 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산정된 업무통행 대비 비업무통행 통행시간가치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업무통행 통행에 대한 시간가치를 산정하였으며, 여기에 수도권 통행목적 비율과 재차인원을 적용하여 수도권에 대한 통행시간가치를 산정하였다. 수도권 통행은 전국 지역 간 통행과 다른 통행특성을 가지고 있다. 수도권 통행의 경우 복합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한 환승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통근통행에 장시간을 소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당성조사 관련 지침의 통행시간가치 산정방법을 개선함으로써 수도권의 통행 특성을 반영한 통행시간가치를 산정하였다. 수도권 통행 특성 반영을 위하여 기존 비업무통행에 포함된 통근통행을 분리하여 통근통행에 대한 통행시간 가치를 별도로 산정하였다. 통근통행 모형과 비업무 통행 모형에 대한 우도비 검정통계량 검정 결과 두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도권 통합요금제 시행에 따른 통행 여건을 반영하기 위하여 대중교통 통합 모형을 구축하였다. 대중교통 통합모형의 버스와 지하철의 계수 비교결과 두 수단간 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vel time reduction benefit is the most important benefit item in the feasibility study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vestment projects and calculated by using the value of travel time. The current feasibility study guideline (5th edition) calculate the value of non-business ravel time in a m...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 버스와 지하철로 구분된 통행 시간 가치를 통합하여 대중교통 통행시간가치를 산정한 이유는?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장거리 통근통행 특성 반영을 위하여 기존 비업무통행에 포함된 통근통행을 별도로 분리하여 통행시간 가치를 산정하였다. 또한 수도권의 경우 통합요금제 시행으로 인하여 환승에 따른 요금을 할인받고 있으며, 빈번한 환승으로 인하여 주수단의 개념이 모호해진다. 따라서 기존 버스와 지하철로 구분된 통행 시간 가치를 통합하여 대중교통 통행시간가치를 산정하였다.
통행시간 절감편익은 무엇을 이용하여 산정하는가? 교통시설 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 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편익항목은 통행시간 절감편익이며, 이는 통행시간가치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현재 예비타당성조사 표준 지침(5판)에서는 1999년 전국 지역 간 통행 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산정된 업무통행 대비 비업무통행 통행시간가치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업무통행 통행에 대한 시간가치를 산정하였으며, 여기에 수도권 통행목적 비율과 재차인원을 적용하여 수도권에 대한 통행시간가치를 산정하였다.
교통시설 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 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편익항목은 무엇인가? 교통시설 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 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편익항목은 통행시간 절감편익이며, 이는 통행시간가치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현재 예비타당성조사 표준 지침(5판)에서는 1999년 전국 지역 간 통행 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산정된 업무통행 대비 비업무통행 통행시간가치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업무통행 통행에 대한 시간가치를 산정하였으며, 여기에 수도권 통행목적 비율과 재차인원을 적용하여 수도권에 대한 통행시간가치를 산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ustroads (2012), GUIDE TO PROJECT EVALUATION Part 4: Project Evaluation Data. 

  2. Axhausen K., Konig A., Abay G., Bates J., Bierlaire M. (2004), Swiss Value of Travel Time Savings, Paper Presented at the 2004 European Transport Conference. 

  3. Bates J. (2012), Values of Time and Reliability in Passenger and Freight Transport in The Netherlands. 

  4. Ben-Akiva M., Lerman S. R. (1985), Discrete Choice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Theory 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MIT Press. 

  5. Borjesson M., Eliasson J. (2014), Experiences From the Swedish Value of Time Stud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59, 144-158. 

  6. Brownstone D., Train K. (1999), Forecasting New Product Penetration With Flexible Substitution Patterns, Journal of Econometrics 89, Elsevier, 109-129. 

  7. Cho J. R., Kim C. M. (1998), A Reg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er Mode Choice Behavior: Case of Seoul and Ilsan New Town, J. Korean Soc. Transp., 16(4),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75-86. 

  8. Chung C., Kim S., Kim C. (2007), A Comparison Study on Fare and Time Elasticities on Intercity Rail Travel Deman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27(5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547-553. 

  9. Department for Transport (2015), WebTAG Databook, Table A1.3.1 Values of time per person. 

  10. European Union (2010), Transport Modelling: Towards Operational Standards in Europe(MOTOS Handbook). 

  11. HEATCO (2006), Deliverable 5 Proposal for Harmonised Guidelines. 

  12. Hensher D. A., Rose J., Green W. (2015), Applied choice Analysis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Jang S. E., Park K. U. (2010), Estimation of Value of Walking Travel Time by Meta-analysis,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17(1),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13-22. 

  14. Jung S. Y. (2009), A Study on Parking Preference Heterogeneity Using Mixed Logit Models-Focusing on Shopping Trips in Daegu Metropoli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2(2),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137-162. 

  15. Kahng D. J. (1998), Evaluation of Value of Travel Time Using Logit Model and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t,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16. Kim H., Oh S. C., Choi K. C. (1999), VOT Derivation for Different Trip Purposes, Travel Modes and Testing of Their Significance, J. Korean Soc. Transp., 17(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13-129. 

  17. Kim I. K., Kim K. S., Kim H. C. (2005), Model Specification and Estimation Method for Traveler's Mode Choice Behavior in Pusan Metropolitan Area, J. Korean Soc. Transp., 23(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7-19. 

  18. Kim S. J., Jung C. Y., Shon E. Y., Kim J. Y., Ko C. S. (2014), Estimating the Value of Travel Time for Toll Road Demand Forecast,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82,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37-47. 

  19. Korea Appraisal Board Real Estate Statistical Information, http://r-one.co.kr, 2017.02.11. 

  20.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999), Study on Standard Guidelines for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for Roadway and Railway Projects. 

  21.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08), Study on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Standard Guidelines for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for Roadway and Railway Projects (5th ed.). 

  22.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12),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Value of Travel Time for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non-publishing report). 

  23.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0), A Study of Complete Revision for Railway Investment Evaluation Manuals. 

  24.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1999), An Establishment Study on Method of the Road Investment Analysis. 

  25.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3), The Value of Travel Time for Toll Roads: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26.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5), Analysis of Transit Passenger Movements Within Seoul-Gyeonggi-Incheon Area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27.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 2017.01.11., 2016.12.22., 2016.08.08. 

  28. Lee H. K., Ko Y. S., Lim Y. T., Kim T. H., Yang I. S. (2003), The Estimation of the Value of Travel Time Through Market Segmentation: Focusing on Car Drivers of Seoul Metropolitan Area,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39,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147-161. 

  29. Lee J. H. (2003), A Mixed Logit Model Accommodating Traveler's Taste Variations and Error Structure Between Alternatives,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D. Thesis. 

  30. Lee J., Choi K. (2011), Estimation and Application of the Value of Travel Time by Time Period: A case Study of Downtown Highway Expansion Projec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31(1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7-15. 

  31. McFadden D. (1976), The Theory and Practice of Disaggregate Demand Forecasting for Various Modes of Urban Transpo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Institute of Transportation Studies, Working Paper No.7623. 

  32.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16), 2015 Partnership Project of Passenger Trip(O/D) Update in Metropolitan Area. 

  33. Meunier D., Quinet E. (2015), Value of Time estimations in Cost Benefit Analysis: The French experience, Transportation Research Procedia, 8, Elsevier, 62-71. 

  34.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2016), Survey of public transport in 2015: Overall result report. 

  3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Transportation Facility Investment Assessment Guideline, 5th ed. 

  3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Transportation Facility Investment Assessment Guideline, 6th ed. 

  37. OECD(2011), How's Life?: Measuring well-bing. 

  38. Ryu S. K. (2008), Effects of Multicollinearity in Logit Model, J. Korean Soc. Transp., 26(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13-126. 

  39.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 Seoul Statistical Yearbook(55th ed.). 

  40. Son S. H., Choi K. C., Yu J. W. (2007), An Estimation of Generalized Cost for Transit Assignment, J. Korean Soc. Transp., 25(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21-132. 

  41. Song Y. N. (1997), The Values of Commuters' Travel Time and Differential Unpleasantness, J. Korean Soc. Transp., 15(4),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9-19. 

  42. Statistics Korea Press Releases,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1/index.board,2011.09.22 

  43. The Korea Transport Development Institute (1997), A Study of the Urban Travel Behaviour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Estimation of Disaggregate Demand Models. 

  44.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08), An Improved Methodology For Estimating Benefit in the Rail Investment Appraisal. 

  45. Train K. (2009), Discrete Choice Methods With Simulation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Transport for NSW (2013), Principle and Guidelines for Economic Appraisal of Transport Investment and Initiatives. 

  47.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1), The Value of Travel Time Saving: Departmental Guidance for Conducting Economic Evaluations Revision 2. 

  48. Yoon H. R. (2000), A Transit Trip Assignment Model Under Capacity Restraint,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D. Thesis.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