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9 상황 접수 요원의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업무 및 훈련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ork and training to make better Korean 119 dispatcher's response ability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3 no.4 = no.38, 2017년, pp.550 - 561  

Kim, Tae-hwan (Department of Security Service, University of Yongin) ,  Kim, Jung-Gon (Smart Sensor Research Center,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  Woo, Nam-kyu (Department of Security Service, University of Yongin) ,  Kim, Je-hyun (Department of Security Service, University of Yongin)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119 상황 접수 요원들의 업무능력 향상을 위하여 업무와 교육방식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한국 및 미국의 응급전화 접수에 대한 매뉴얼과 교육 방법을 조사 및 비교분석 하였다.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경기도 119상황실 상황접수 요원 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119상황 접수와 관련된 인력 및 장비는 지속적으로 보완되고 있지만, 접수요원들에 대한 사전교육 등 훈련은 부족하여 실무에서는 요원들의 개인적인 경험과 역량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업무에 비하여 전체적으로는 여전히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119상황접수 요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마련 및 적정한 훈련과 테스트 기준 마련을 통한 상황접수요원의 전문성 강화, 대응 업무의 표준화 및 적정인력을 배치를 통하여 상황 판단의 오류 발생을 방지하고 업무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검토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als with the improving issues and methods for 119 dispatcher's work and training manual in order to improve their emergency response ability in Korea. Firstly, it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on manuals and training methods for the reception of emergency calls between South Korea an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각종 재난 및 사고에서 초등 대응을 담당하고 있는 119종합상황실의 상황접수요원들의 상황 대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의 119신고접수 시스템의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다음으로는 한국과 미국의 응급상황 신고대응 업무매뉴얼을 바탕으로 응급상황 접수요원들의 업무형태와 내용 및 체계를 비교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각종 재난사고에서 초동 대응을 담당하고 있는 119종합상황실의 수보요원들의 상황대응 능력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119상황접수 요원들의 업무와 관리체계 등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실무에서 활용되고 있는 매뉴얼을 조사·분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방서 접수요원의 배경지식이 부족해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대표적인 사례는 무엇이 있는가? 즉, 유사한 사고에 대해서 접수요원별로 조금씩 다른 형태로 대응을 하거나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면, 세월호침몰사고 발생 시에 학생이 살려달라고 119상황실로 구조 신고를 하여 이를 목표 해경으로 연결했는데 정작 목표 해경의 상황실에서는 학생에게 사고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위도경도를 묻는 등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면서 구조가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Nam, 2014). 이를 단순히 개인의 경험부족과 역량차이에서 원인을 찾을 수도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이러한 부족과 차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업무를 유형화 시키고 요원들을 충분히 훈련시키지 못한 체계적인 시스템 부재의 문제로 봐야할 것이다.
소방서의 상황접수 요원에게 요구되는 능력은 무엇인가? 사실 소방서는 119상황접수를 통해 소방 이외에도 재난안전과 관련된 구조, 구난, 응급 업무를 종합적으로 담당하고 있으며 업무량 또한 상당하다(Kim, 2017). 따라서 상황접수 요원은 다양한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배경지식과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119종합상황실의 상황접수요원들의 역할에 비하여 상황접수요원들의 현실은 국민의 기대와는 조금 차이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에서 화재나 사고가 발생 시 소방서의 접수요원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우리나라에서 화재나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발견자는 일반적으로 119안전신고센터나 경찰서 등으로 전화를 걸어 신고를 한다. 그리고 주로 지역 119종합상황실이나 소방서의 접수요원이 신고 전화를 대응하게 되며, 접수요원은 상황에 따라서는 위치확인 등의 절차를 거친 다음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출동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각종 재난 및 사고에 대하여 초등대응을 담당하는 119종합상황실의 상황접수요원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im, J.G. etl. (2017). "Review of features and response system for unintentional drawing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13., No. 1, pp. 118-129. 

  2. Kim Y.H. (2016). 911 "Public Ssfety Telecommunicator's Training and Education in USA and Implication for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11, pp. 71-79. 

  3. Kyounggi-do Disaster Prevention Agency (2015). 119 Situation management guideline. 

  4. Cucio, F., Deangleis, B.A, Pagliolico, S. (1998). "Metakaolin as a pozzolanic microfiller for high-performance mortar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28, No.6, pp.803-809. 

  5. Mehta, P.K., Monteiro, P.J.M. (2006). Concrete: Microstructure, Properties and Materials. Third Edition, McGraw-Hill, New York, USA. 

  6. Mindess, S., Young, J.F., Carwin, D. (2003). Concrete. Second Edition, Pearson Education, New York, USA. 

  7. Moulin, E., Blanc, P., Sorrentino, D. (2001). "Influence of key cement chemical parameters on the properties of metakaolin blended cement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23, pp.463-469. 

  8. National Fire Agency (2017). Annual Statistics Report of Fire Safety 

  9. Park U.J. etl., (2014),. "Study of improvement proposals call 119 corresponding system", Journal of Fire Safety Research, Vol.24, pp. 203-233 

  10. Sabir, B.B., Wild, S., Bai, J. (2001). "Metakaolin and calcined clays as pozzolansfor concrete: a review."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23, pp.441-454. 

  11. Seoul Disaster Prevention Agency (2014). 119 Situation management manua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