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사연도에 따른 흡연 유형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분석: 제4기,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The Association between Types of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 according to the Survey Year Using the Fourth and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7 no.6, 2017년, pp.487 - 494  

김명희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윤미숙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  임연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원 환경의학연구소) ,  이새롬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김소연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박선주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신선정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와 제5기(2007년~2012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구강검진 조사자료가 제공되지 않은 2011년 자료를 제외하고, 20세 이상의 성인 11,643명을 대상으로 연도별 흡연 유형별 치주질환의 추이를 살펴보고, 치주질환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평가하였다. 5개년도를 통합한 자료에서는 비흡연자에 비해 직접흡연자는 단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두에서 치주질환이 있을 aOR이 1.78, 1.77이었으며(p<0.001), 연도별 경향성을 보았을 때, 여자에 비해 남자가 치주질환이 있을 aOR은 1.12로 나타났다(p<0.001). 연도별 흡연 유형에 따라 치주질환 유병률은 치주질환이 있는 집단에서 직접흡연자의 비율이 현저하게 증가추세를 보였다. 또한 주요인자를 보정한 연도별 흡연 유형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단변량 분석한 결과, 비흡연자에 비해 직접흡연자의 치주질환이 있을 aOR은 2007년도에 1.9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간접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치주질환이 있을 확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임상적 변수를 보정한 다변량 로지스틱 분석결과, 2007년도를 제외하고는 치주질환 발생에 있어 직접흡연자의 위험비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였다. 반면 치주질환 발생에 있어 간접흡연의 영향력은 2010년도에서만 1.68의 aOR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p=0.032).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연도에 따라 간접흡연의 노출이 증가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고, 직접흡연자에 비해 통계적 영향력의 크기는 뚜렷하지 않지만 치주질환에 있어 위험인자로서 독립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대구강병인 치주질환의 다양한 위험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측면에서 간접흡연과 치주질환의 명확한 기전과 영향력 크기를 밝히기 위한 근거자료 마련이 지속화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little evidence on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on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trends of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and types of exposure to smoke, including ETS according to the survey year, identify factors aff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결과는 직접흡연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밝힌 기왕의 연구들과 일치한다11,25). 그러나 본 연구의 주안점은 치주질환에 있어 연도별 경향성과 함께 간접흡연과 직접흡연의 영향력 크기를 비교하고자 하는 것이다. 간접흡연의 영향력은 직접흡연자에 비해 통계적 유의성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러한 영향력의 크기는 간접흡연과 치주질환을 집중적으로 밝힌 기왕의 연구들과 매우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간접흡연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와 제5기를 통합한 5개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인자에서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성, 연령, 결혼상태, 학력, 소득이 유의하였다.
  • 의 연구에서 2개년도의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사용하여 여성에서의 간접흡연이 치주질환과 관련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보다 확장된 자료와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흡연 유형에 따른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추세 및 직접흡연과의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치주질환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되거나 알려져 있는 다양한 보정인자를 활용하였다는 것 또한 본 연구의 강점이라고 볼 수 있겠다.
  • 간접흡연과 전신건강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에 비하여 구강질환과의 관련성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다. 본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단면조사자료로서 원인을 규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지만, 국내 대표성 있는 자료를 활용하여 보다 정교한 연구설계로 간접흡연이 치주질환에 있어 독립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위험인자 중 하나라는 근거를 마련하는데 큰 의의를 두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간접흡연과 치주질환의 명확한 기전과 영향력의 크기를 밝히기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보다 심층적 연구설계와 객관적 검진 조사자료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이들은 모두 비흡연자와 직접흡연자를 비교한 연구이며, 간접흡연과 구강건강과의 연관성에 관하여서는, 여성에서의 간접흡연 노출이 치주상태의 연관성12)의 연구와 간접흡연과 영구치 우식증의 연관성13)의 연구로 매우 드문 실정이다. 이와 같이 간접흡연과 치주건강관련 연구의 희소성과 한계점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표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연도에 따른 흡연 유형별 치주질환의 추이를 보고자 하였으며, 치주질환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직접흡연과의 비교를 통하여 간접흡연으로 인한 치주질환의 크기를 정량적이고 시계열적으로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주질환은 무엇인가? 치주질환은 치아우식증과 함께 중대구강병의 하나이며, 2015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진료비통계지표에 의하면, 2위의 외래 다빈도 상병 순위와 전년대비 가장 높은 진료비 증가율을 보인 질환으로 보고되었다1). 이는 아직 국내에서 집중적으로 연구된 바 없지만 생산성손실을 포함한 막대한 사회적 부담을 예측가능 하게 하며, 생명에 위협은 적으나 삶의 질에 크게 관여되는 질환으로 평가 받기에 충분하다.
흡연은 어떤 암을 유발할 수 있는가? 역학 및 보건학에서 주요 위험요인인 흡연은 ‘tobacco use disorder’로서 약물에 의해 발생되는 중독장애로 정의되고 있으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60여 가지의 발암물질과 수많은 화학물질로 인해 소화, 호흡기계는 물론 신경 및 감각기계 등 여러 기관들과의 역건강에 관여된다2). 또한 구강 내의 혈관을 손상시켜 원활한 혈액순환을 저해하고 면역체계의 이상을 유발하여 치주질환을 비롯한 구강점막 질환의 원인이 되며, 또한 구강암, 후두암, 식도암을 유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3).
치주질환유발 위험은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어떤 결과를 보이는가?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영향인자들을 보면 학력이 낮고 소득수준이 적을수록 치주질환유발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또한 기왕의 여러 연구결과들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20).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은 칫솔질 및 치과방문 등을 비롯한 불건전한 구강보건행태와 연관이 되며21), 이는 곧 구강건강의 산물인 치주질환의 유병률과 연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reatment cost statistical indices. Retrieved July 10, 2016,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5010 000&cmsurl/cms/medi_info/07/03/01/1344860_27398.htm l&subject2015%eb%85%84+%ec%a7%84%eb%a3%8c%e b%b9%84+%ed%86%b5%ea%b3%84%ec%a7%80%ed%9 1%9c(2016, March 2).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ublishing, Washington DC, p.571, 2013. 

  3.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US) Office on Smoking and Health: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50 years of progress: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 Atlanta, GA, pp.139-294, 2014. 

  4.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Respiratory health effects of passive smoking: lung cancer and other disorder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pp.1-53, 1992. 

  5. Keil T, Lau S, Roll S, et al.: Maternal smoking increases risk of allergic sensitization and wheezing only in children with allergic predisposition: longitudinal analysis from birth to 10 years. Allergy 64: 445-451, 2009. 

  6. Yi O, Kwon HJ, Kim H, et al.: Effect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on atopic dermatitis among children in Korea. Environ Res 113: 40-45, 2012. 

  7. Singh GK, Siahpush M, Kogan MD: Disparities in children’s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in the United States, 2007. Pediatrics 126: 4-13, 2010. 

  8. Yi O, Kwon HJ, Kim D, et al.: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of children and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 cross-sectional study in Korea. Nicotine Tob Res 14: 607-615, 2012. 

  9. Yang JY, Park KS: The effect of smoking on oral environment. J Dent Hyg Sci 1: 67-73, 2001. 

  10. Cho EY, Lee MH, Ha MH, Moon CH, Im JS, Seo HJ: The surve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cleanliness and smoking. J Health Inform Stat 33: 135-145, 2008. 

  11. Jung JO, Chun JY, Lee KH: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J Korean Soc Dent Hyg 13: 481-489, 2013. 

  12. Kim JK, Baek HJ, Lee YE, Song KB, Choi YH: The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periodontal health: finding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09. J Dent Hyg Sci 14: 123-131, 2014. 

  13. Jang EJ, Yoo SM, Hwang YS, Jeong KJ, Yang HH, Park SG: The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permanent dental caries in nonsmoking Korean adult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Korean J Fam Pract 6: 89-95, 2016. 

  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 to the utilization of the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song, p.8, 2012.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establish of new health plan 20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p.100-102, 2011. 

  16. Jung YJ, Cho MH, Moon DH: Influencing factors to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n adults. J Korean Soc Dent Hyg 15: 47-54, 2015. 

  17. Hong MH: Risk factors for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s among adult workers. J Korea Acad Indust Coop Soc 15: 3706-3713, 2014. 

  18. Jin HJ, Kim EK, An SY, Im SU, Song KB, Choi YH: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status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 Korean Acad Oral Health 37: 147-153, 2013. 

  19. Burt B; Research, Science and Therapy 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Periodontology: Position paper: epidemiology of periodontal diseases. J Periodontol 76: 1406-1419, 2005. 

  20. Jung JO, Oh GJ: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oral health behaviors and periodontitis in the elderly Korean population. J Korean Acad Oral Health 35: 57-66, 2011. 

  21. Shin SJ, Ahn YS, Jung SH: The relation between dental health behaviors and socioeconomic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J Korean Acad Dent Health 32: 223-230, 2008. 

  22. Chapple IL, Genco R; Working Group 2 of the Joint EFP/AAP Workshop: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s: consensus report of the joint EFP/AAP workshop on periodontitis and systemic diseases. J Periodontol 84(4 Suppl): S106-S112, 2013. 

  23. Al-Khabbaz AK: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periodontal disease severity. Oral Health Prev Dent 12: 77-82, 2014. 

  24. Al-Shammari KF, Al-Ansari JM, Moussa NM, Ben-Nakhi A, Al-Arouj M, Wang HL: Association of periodontal disease severity with diabetes duration and diabetic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J Int Acad Periodontol 8: 109-114, 2006. 

  25. Ojima M, Hanioka T, Tanaka K, Inoshita E, Aoyama H: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status and periodontal conditions: findings from national databases in Japan. J Periodontal Res 41: 573579, 2006. 

  26. Arbes SJ Jr, Agustsdottir H, Slade GD: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periodontal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Am J Public Health 91: 253-257, 2001. 

  27. Sanders AE, Slade GD, Beck JD, Agustsdottir H: Secondhand smoke and periodontal diseas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Am J Public Health 101 Suppl 1: S339-S346, 2011. 

  28. Tanaka K, Miyake Y, Hanioka T, Arakawa M: Active and passive smoking and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in young Japanese women. J Periodontal Res 48: 600-605, 2013. 

  29. Chatrchaiwiwatana S, Ratanasiri A: Association between exhaled carbon monoxide and oral health status in active and passive smokers. J Med Assoc Thai 94: 601-609,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