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흡연 여부에 따른 한국 성인의 음료섭취와 치주질환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Beverage Consumption and Periodontal Disease by Smoking Status among Korean Adul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0, 2020년, pp.299 - 305  

김아진 (서라벌대학교 치위생과) ,  김인자 (여주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성인들의 흡연여부에 따른 음료섭취량과 치주질환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64세 중 음료섭취조사와 건강설문조사 및 구강검진을 완료한 9,04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치주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인 흡연여부를 층화변수로 사용하여 복합표본 통계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비흡연군에서 치주질환자는 비치주질환자에 비해 커피의 섭취가 많았고, 우유, 탄산음료, 과일주스의 섭취는 적었다. 흡연군에서 치주질환자는 비치주질환자에 비해 커피의 섭취가 많았고, 우유, 액상요거트, 탄산음료, 과일주스의 섭취는 적었다. 외래 변수 보정 후 비흡연군에서는 커피의 섭취가 많은 사람이, 흡연군에서는 우유의 섭취가 적은 사람이 치주질환과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일부 음료의 섭취빈도는 치주질환과 연관성이 확인되어 치주질환 예방 교육 시 음료섭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식이지침에도 음료섭취에 관한 내용을 추가할 것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evance between the frequency of beverage consumption and periodontal disease among Korean adults. The data used for analysis was obtained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The subjects were 9,042 adults ag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들은 국민들의 음료섭취가 증가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음료섭취와 치주질환에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바 대규모 국가 표본자료인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치주질환에 강력한 위험요인인 흡연여부를 층화변수로 사용하여, 음료섭취와 치주질환의 연관성을 더욱 명료하게 살펴보고자 흡연 여부에 따라 대상자를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치주 질환 예방을 위한 식이지침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국민들이 평소 자주 섭취하는 음료들과 치주질환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성인들을 대상으로 흡연여부에 따른 음료섭취량과 치주질환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2차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비흡연군에서 치주질환자는 비치주질환자에 비해 우유의 섭취가 적었고, 커피의 섭취가 많았으며, 탄산음료와 과일주스의 섭취는 적었다(p<0.
  • 음료섭취와 치주질환에 관한 단독적인 연구는 희소한 편으로, 주로 다른 식품군과 함께 일부의 음료(우유, 유제품, 탄산음료, 녹차, 커피)만이 치주질환과의 연관성이 연구되었다[4,18-21]. 이에 저자들은 국민들의 음료섭취가 증가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음료섭취와 치주질환에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바 대규모 국가 표본자료인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치주질환에 강력한 위험요인인 흡연여부를 층화변수로 사용하여, 음료섭취와 치주질환의 연관성을 더욱 명료하게 살펴보고자 흡연 여부에 따라 대상자를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치주 질환 예방을 위한 식이지침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국민들이 평소 자주 섭취하는 음료들과 치주질환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하루 평균 음료소비는?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하루 평균 음료소비는 183 mL로, 매일 종이컵(195 mL) 한 컵 정도를 마시고 있다. 하루 평균 음료 소비량은 탄산음료(81.
하루 평균 음료 소비량 중 가장 많이 소비되는 음료는?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하루 평균 음료소비는 183 mL로, 매일 종이컵(195 mL) 한 컵 정도를 마시고 있다. 하루 평균 음료 소비량은 탄산음료(81.0 mL), 과채음료(27.8 mL), 커피음료(17.
치주질환을 감소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방안이 시급한 이유는? 2016년 우리나라 치은염 및 치주질환자 수는 약 1,400만명(다빈도 질병 외래 환자수 2위)에 달하며, 요양급여비용총액이 약 11억으로 다빈도 질병 요양급여비용액 1위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10], 치주질환을 감소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치주염에 이환될 경우 원상태로 회복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저작기능이 감소되고, 더욱 진행되면 치아손실로 이어지며, 치아가 손실되면 영양결핍까지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Google. (2017. Dec). Beverage [Online]. 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 xno66558 

  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7. Dec). Frequently Consumed Food [Online]. https://www.khidi.or.kr/kps/dhraStat/result15?menuIdMENU01669&year2015 

  3. L. R. Vartanian, M. B. Schwartz & K. D. Brownell. (2007). Effects of soft drink consumption on nutrition and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 J Public Health, 97(4), 667-675. DOI : 10.2105/AJPH.2005.083782 

  4. S. M. Koo, D. G. Seo, Y. J. Park & J. Y Hwang. (2014). Association between consumption of milk and dairy products, calcium and riboflavin,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s: Using the 2007-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J Nutr Health, 47(4), 258-267. DOI : 10.4163/jnh.2014.47.4.258 

  5. H. N. Oh & H. J. Lee. (2015). The effect of energy drink on enamel erosion. J Dent Hyg Sci, 15(4), 419-423. DOI : 10.17135/jdhs.2015.15.4.419 

  6. J. H. Hyeong & Y. H. Lee. (2016). Gender-Specific association between average volume of alcohol consumption, binge drinking, and periodontitis among Korean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J Dent Hyg Sci, 16(5), 339-348. DOI : 10.17135/jdhs.2016.16.5.339 

  7. R. M. Palmer, R. F. Wilson, A. S. Hasan & D. A. Scott. (2005). Mechanisms of ac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tobacco smoking. J Clin Periodontol, 32(6), 180-195. DOI : 10.1111/j.1600-051X.2005.00786.x 

  8. G. K. Johnson & J. M. Guthmiller. (2007). The impact of cigarette smoking on periodontal disease and treatment. Periodontol 2000, 44(1), 178-194. DOI : 10.1111/j.1600-0757.2007.00212.x 

  9. F. M. Eggert, M. H. McLeod & G. Flowerdew. (2001). Effects of smoking and treatment status on periodontal bacteria: evidence that smoking influences control of periodontal bacteria at the mucosal surface of the gingival crevice. J Periodontol, 72(9), 1210-1220. DOI : 10.1902/jop.2000.72.9.1210 

  10. Healthcare Bigdata Hub. (2017. Dec). Statistics of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disease [Online].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HifrqSickInfo.do 

  11. C. Palacios, K. Joshipura & W. Willett. (2009). Nutrition and health: guidelines for dental practitioners. Oral Dis, 15(6), 369-381. DOI : 10.1111/j.1601-0825.2009.01571.x 

  12. A. T. Merchant, W. Pitiphat, M. Franz & K. J. Joshipura. (2006). Whole-grain and fiber intakes and periodontitis risk in men. Am J Clin Nutr, 83(6), 1395-4000. DOI : 10.1093/ajcn/83.6.1395 

  13. I. L. Chapple et al. (2012). Adjunctive daily supplementation with encapsulated fruit, vegetable and berry juice powder concentrates and clinical periodontal outcomes: a double-blind RCT. J Clin Periodontol, 39(1), 62-72. DOI : 10.1111/j.1600-051X.2011.01793.x 

  14. N. Schwartz, E. K. Kaye, M. E. Nunn, A. 3rd. Spiro & R. I. Garcia. (2012). High-fiber foods reduce periodontal disease progression in men aged 65 and older: the Veterans Affairs normative aging study/Dental Longitudinal Study. J Am Geriatr Soc, 60(4), 676-683. DOI : 10.1111/j.1532-5415.2011.03866.x 

  15. S. L. Melnick, J. O. Alvarez, J. M. Navia, R. B. Cogen, & J. M. Roseman. (1988). A case control study of plasma ascorbate and acute necrotizing ulcerative gingivitis. J Dent Res, 67(5), 855-860. DOI : 10.1177/00220345880670051201 

  16. H. Staudte, B. W. Sigusch & E. Glockmann. (2005). Grapefruit consumption improves vitamin C status in periodontitis patients. Br Dent J, 199(4), 213-217. DOI : 10.1038/sj.bdj.4812613 

  17. I. J. Kim, H. S. Lee, H. J. Ju, J. Y. Na & H. W. Oh. (2016). Cross-sectional study of the association of vitamins C and D with periodontal status. J Korea Acad Oral Health, 40(4), 215-221. DOI : 10.11149/jkaoh.2016.40.4.215 

  18. M. S. Al-Zahrani. (2006). Increased intake of dairy products is related to lower periodontitis prevalence. J Periodontol, 77(2), 289-294. DOI : 10.1902/jop.2006.050082 

  19. Y. Shimazaki et al. (2008). Intake of dairy products and periodontal disease: the Hisayama Study. J Periodontol, 79(1), 131-137. DOI : 10.1902/jop.2008.070202 

  20. B. Staab, S. Eick, G. Knofler & H. Jentsch. (2009). The influence of a probiotic milk drink on the development of gingivitis: a pilot study. J Clin Periodontol, 36(10), 850-856. DOI : 10.1111/j.1600-051X.2009.01459.x 

  21. A. R. Adegboye, L. B. Christensen, P. Holm-Pedersen, K. Avlund, B. J. Boucher & B. L. Heitmann. (2012). Intake of dairy products in relation to periodontitis in older Danish adults. Nutrients, 4(9), 1219-1229. DOI : 10.3390/nu4091219 

  22. S. H. Lee & S. C. Roh. (2013). Vitamin D level in blood of menopausal women over 50 and the relation with the proportion requiring dental scaling. J Dent Hyg Sci, 13(4), 393-402. 

  23. K. W. Paek & S. J. Lee. (2014). Correlation between vitamin C intake and periodontal disease: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J Korea Acad Oral Health, 38(2), 82-89. DOI : 10.11149/jkaoh.2014.38.2.82 

  24. S. H. Kim, A. R. Yu & Y. J. Yang. (2014). Associati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with periodontitis by smoking status among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9(1), 84-94. DOI : 10.5720/kjcn.2014.19.1.84 

  25. K. W. Paek, S. J. Lee & J. H. Back. (2015). A factor of periodontal disease and dietary pattern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 J Korea Acad Oral Health, 39(4), 280-287. DOI : 10.11149/jkaoh.2015.39.4.280 

  26. E. J. Jung & A. H. Song. (2018). Relation between beverage consumption pattern and oral health status among Korean adults. J Korean Soc Dent Hyg, 18(5), 785-795. DOI : 10.13065/jksdh.20180067 

  27. S. Parvez, K. A. Malik, S. A. Kang & H. Y. Kim. (2006). Probiotics and their fermented food products are beneficial for health. J Appl Microbiol, 100(6), 1171-1185. DOI : 10.1111/j.1365-2672.2006.02963.x 

  28. Y. Kamagata-Kiyoura, M. Ohta, G. Cheuk, M. Yazdani, M. J. Saltzman & T. Nakamoto. (1999). Combined effects of caffeine and prostaglandin E2 on the proliferation of osteoblast-like cells (UMR106-01). J Periodontol, 70(3), 283-288. DOI : 10.1902/jop.1999.70.3.283 

  29. N. Ng, E. K. Kaye & R. I. Garcia. (2014). Coffee consumption and periodontal disease in males. J Periodontol, 85(8), 1042-1049. DOI : 10.1902/jop.2013.130179 

  30. M. Daglia et al. (2002). Antiadhesive effect of green and roasted coffee on Streptococcus mutans' adhesive properties on saliva-coated hydroxyapatite beads. J Agric Food Chem, 50(5), 1225-1229. DOI : 10.1021/jf010958t 

  31. J. Y. Oh.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Life style and obesity.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4(3), 185-191. 

  32. S. Sakanaka & Y. Okada. (2004). Inhibitory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s on the production of a virulence factor of the periodontal-disease-causing anaerobic bacterium Porphyromonas gingivalis. J Agric Food Chem, 52(6), 1688-1692. DOI : 10.1021/jf03028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