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흡연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 : 2010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3 no.3, 2013년, pp.481 - 489  

정정옥 (신흥대학 치위생과) ,  전주연 (원광보건대학 치위생과) ,  이경희 (신흥대학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peridontal diseases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5,605 adults aged 19 years or older whose infor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의 흡연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만 19세 이상의 성인에서 지역사회치주지수(Community Periodontal Index: CPI)와 흡연에 대한 정보가 모두 갖춰진 5,605명을 최종분석대상자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이 연구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에서 흡연과 치주염 유병상태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흡연이 전신질환에 미치는 악영향 뿐 아니라 치주질환에 미치는 위해성을 예방하고, 동기유발을 통한 금연운동을 체계적으로 확립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치주질환의 일차 예방으로 조기 금연관련 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을 환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년에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흡연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국민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치과의료계 종사자들의 금연교육 계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치주병과학회의 흡연에 대한 의견은 무엇인가? 미국 치주병과학회는 흡연이 치주질환의 발생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치주질환 치료의 결과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6), 20대 성인 흡연자는 비흡연자나 금연자보다 우식치아나 결손치아가 많았고, 치주질환 발생률도 높으며, 흡연자의 구강건강 수준도 비흡연자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 . 특히 흡연자의 구강 내에서 Gram 음성균이 증가하며 치태형성이 촉진되어 치주질환의 초기형태인 치은염은 물론 치주조직병, 우식증도 발생시킨다고 하였다8) .
흡연과 치주상태와의 관련성에 대한 비교 결과는? 흡연과 치주상태와의 관련성에서는 흡연군은 비흡연군과 비교했을 때 치주염의 위험이 1.63배 높게 나타났고,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1.0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ergstrom3)은 치주질환을 판단하는 여러 지수를 이용하여 흡연과 치주질환 관계를 분석하여 흡연자가 치주질환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다고 하였고, Obeid & Bercy4)는 치주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요소들 중에서 특히 심한 치주염에서 가장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 환경적 위험요소가 흡연이라고 보고하였다.
한국 성인의 흡연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평가 결과는? 1. 연령군 흡연율은 19-44세가 가장 높았으며, 소득수준이 낮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흡연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음주횟수가 많고, 운동횟수가 적으며, 체질량지수가 25이하인 경우 흡연율이 높게 나타났다. 지난 1년간 구강검진을 받지 않고, 잇솔질 횟수가 적으며,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지 않고, 주관적 구강건강이 건강하고 생각하는 그룹에서 흡연율이 높게 나타났다.  2. 남자인 경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교육수준이 낮고, 흡연군과 일주일에 음주횟수가 많을수록,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치주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지난 1년간 구강검진을 받지 않고, 잇솔질 횟수가 적을수록,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지 않을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이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우 치주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3. 흡연과 치주상태와의 관련성에서는 흡연군은 비흡연군과 비교했을 때 치주염의 위험이 1.63배 높게 나타났고, 혼란변수를 보정 한 후에도 1.0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e IS, Choe YJ. A study on the effects of smoking on oral hygiene and gingival inflammation. Collected papers for College of Dentistry at Kyunghee University 1995; 17(1): 331-7. 

  2. Kim MS, Kim AG. A study on experience of smoking level in some female undergraduates. J Korean Acad Nurs 1997; 27(4): 315-28. 

  3. Bergstrom J. Cigarette smoking as risk factor in chronic periodontal diseas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89; 17(5): 245-7. 

  4. Obeid P, Bercy P. Effects of smoking on periodontal health: a review. Adv Ther 2000; 17(5): 230-7. 

  5. Turnbull B.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 A review. J N Z Soc Periodontol 1995; 70(79): 10-5. 

  6. Yang JY, Park KS. The effects of smoking on oral environment. J Dent Hyg Sci 2001; 1(1): 67-73. 

  7. Kim SH, Jang JH, Park YD. The relationship of smoking behaviors to perceived oral health among university students. J Dent Hyg Sci 2005; 5(3): 139-43. 

  8. Han DH, Kim JB.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periodontitis: findings from the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06.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9; 33(4): 634-43. 

  9. Park IS, Lee SH, Youn HJ. A comparatives study on oral environment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J Dent Hyg Sci 2008; 8(3): 139-46. 

  10. Park JH, Kim YN, Yoo JH, Kim MY, Kim BI, Kwon HK.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periodontal pocket formation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5; 29(3):293-301. 

  11. Han GS, Kim YS, Kang JK, Hwang YS, Han DH, Bae KH. Dental hygiene and dental education : relation of smoking and periodontal status among 30s-50s Adults in metropolitan area.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8; 32(2): 250-60. 

  12. Kim HJ, Shin SJ. The study of oral health perception, oral health behavioral and family smoking status according to smoking experience in a part of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1; 11(5): 695-706. 

  13. Kim SJ, Han GS.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al symptoms and smoking, drinking of high school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3): 553-62. 

  14. Lee HO, Chun JY, Ju OJ. A study on the state of smoking and smoking-related oral health knowledge level among some adolescents. J Dent Hyg Sci 2011; 11(6): 535-42. 

  15. Han GS.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of oral malodor and smoking, drinking, oral health behavior. J Dent Hyg Sci 2011; 11(3): 213-20. 

  16.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aw data use guideline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3-4. 

  17.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port.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4-9. 

  18.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2006 national oral health survey report.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212-30. 

  19. Hill D, White V, Letcher T. Tobacco use among Australian secondary students in 1996. Aust N Z J Public Health 1999; 23(3): 252-9. 

  20.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association of smoking and health. The reality of smoking.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9: 10-5. 

  21. Park JH. Relation of smoking and periodontal pocket formation in Korean adults[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 of Yonsei, 2004. 

  22. Song AR, Park JW. Analysis of the attitude and factors toward smoking in female undergraduates. Collected papers for Gimcheon College 2004; 25(3): 11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