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흡연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
Relationship between Adults' Smoking Realities and Periodontal Disease -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7 no.4, 2012년, pp.917 - 924  

지민경 (호원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흡연 상태와 치주질환 위험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흡연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에서 전체 대상자의 CPI 평균은 1.92이었고, 전체 대상자 6989명 중 CPI가 0-2인 그룹은 4707명(67.3%), 3-4인 그룹은 2282명(32.7%)이었다. 혼란변수를 보정하지 않았을 때 CPI가 3 이상인 그룹에서는 전혀 흡연을 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과거 흡연을 한 그룹에서의 치주질환의 유병율에 대한 위험도는 1.78배(95% CI:1.56-2.02), 현재 흡연을 하고 있는 그룹에서는 1.75배(95% CI:1.55-1.82)로 증가하였다. 성별, 연령, 교육수준과 당뇨병 유무를 보정하고도 치주질환의 유병율에 대한 위험도는 전혀 피우지 않는 그룹보다 과거 흡연한 그룹에서 1.28배 (95% CI:1.08-1.53), 현재 흡연하는 그룹에서는 1.82배(95% CI:1.54-2.16)로 높았다. 이에 흡연과 치주질환이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한 환자 스스로의 확고한 인식확립과 더불어 치과위생사는 진료실 내 체계적인 금연교육지도를 함으로써 치주 건강향상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ttempted in order to grasp the influence of smoking upon periodontal disease by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moking realities and the periodontal disease risk in adults aged over 19 in our country. In the findings, the mean in CPI of the whole subjects was 1.92. Among 6989 w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흡연과 치주질환 위험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흡연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세계보건기구에서는 흡연 문제를 중요시 다루고 있으며, 흡연의 결과는 구강질환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장래 흡연가들의 구강상태 악화는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어 많은 연구자들은 치주질환의 주 위험인자로 흡연에 주목하고 있는 상황이다[16][18].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지표를 이용해서 흡연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년에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자료를 이용하여 흡연과 치주질환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구강건강증진전략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 이에 흡연이 전신질환에 미치는 악영향 뿐 아니라 치주질환에 미치는 위해성을 예방하고, 동기유발을 통한 금연운동을 체계적으로 확립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흡연은 어떤 질병의 원인적 요인이며, 위험 요인인가요? 전 세계적으로 흡연은 폐암을 비롯한 각종 암과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만성폐질환 등 각종 질병의 원인적 요인으로서 인류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심장병, 폐질환 그리고 암 등 대부분의 주요 사망원인 질병에 대하여 공통적인 위험요인으로 밝혀 지고 있다[1].
흡연은 어떤 환경요소인가? 흡연은 비전염성 질병과 연관된 가장 중요한 단일 환경요소로 구강에도 적용되어 치주염의 중요한 원인 인자로서 작용하고[5], 치주건강의 저해요인이다[6]. 우리나라 성인 인구 중 약 85%는 치주질환에 이환되어 있고, 연령에 따라 치주염의 유병률은 증가하며, 구강 내에서 흔히 발생하는 치주질환은 치아우식증과 함께 중요하게 관리해야 할 중대 구강병인 동시에 치은의 염증이 치주인대, 치조골, 백악질의 치주조직까지 확대되는 염증성 질환으로 진성 치주낭의 형성과 치조골의 흡수, 치아의 이완동요 등이 수반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atsukami DK, Stead LF, Gupta PC, "Tobacco addiction". Lancet, Vol. 371, No. 9629, pp. 2027-2038, 2008. 

  2.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10년 하반기 흡연 실태 조사결과(보건복지부)", 서울 :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11. 

  3. 한경순, 김윤신, 강재경, 황윤숙, 한동헌, 배광학, "수도권지역 성인에서 흡연과 치주상태의 관련 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2권, 2호, pp. 250-260, 2008. 

  4. 김범준, "버퍼 크기 기반 자동재전송 프로토콜의 재전송 지속성 제어",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6권, 4호, pp. 487-492, 2011. 

  5. Bergstrom J, "Cigarette smoking as risk factor in chronic periodontal diseas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 17, No. 5, pp. 245-247, 1989. 

  6. Obeid P, Bercy P, "Effects of smoking on periodontal health. a review", Adv Ther, Vol. 17, No. 5, pp. 230-237, 2000. 

  7. 궁화수, 김동열, 김민영, 김선주, 김설회, 김은회, 나희자, 문선정, 박영남, 성정민, 임순연, 정의정, 최민숙, "치주과학", 고문사, pp. 70, 2011. 

  8. 최지연, "문화도시조성사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7권, 2호, pp. 365-373, 2012. 

  9. 양진영, 박경숙, "흡연이 구강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지, 1권, 1호, pp. 67-73, 2001. 

  10. 김숙향, 장종화, 박용덕, "일부대학생의 흡연행위와 구강건강 인식도와의 관련성", 한국치위생과학회지, 29권, 3호, pp. 139-143, 2005. 

  11. Derdivarnis JP et al, "Effect of a mouth gash in an irrigating devise on accumulating and maturation of dental plaque", J Perio, Vol. 49, pp. 480-482, 1978. 

  12. Telivuo M, Kallio P, Berg MA, Korhonen HJ, Murtomaa H, "Smoking and oral health a population survey in Finland", J Public Health Dent, Vol. 55, No. 3, pp. 133-138, 1995. 

  13. Obeid P, Bercy P, "Effects of smoking on periodontal health a review", Adv Ther, Vol. 17, No. 5, pp. 230-237, 2000. 

  14. Axelsson P, paulander J, Lindhe J,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dental status in 35-50-65 and 75-year-old individuals", J Clin Periodontol, Vol. 25, No. 4, pp. 297-305, 1998. 

  15. 한동기, 김성조, "흡연이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치주과학회지, 48권, 1997. 

  16. 박주희, 김영남, 유자혜, 김민영, 김백일, 권호근, "한국 성인에서 흡연과 치주낭 형성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9권, 3호, pp. 293-301, 2005. 

  17. Han DH, Lim S, Kim JB. "The Association of Smoking and Diabetes with Periodontitis in Koreans", J Periodontol, Mar 1, 2012. 

  18. 한동헌, 김진범, "흡연과 치주병의 연관성: 2006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자료 결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권, 4호, pp. 634-643, 2009. 

  19.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3차년도, 질병관리본부, 2009. 

  20. Do GL, Spencer AJ, Thomson KR, Ha HD, "Smoking as a risk indicator for periodontal disease in the middle-aged Vietnamese populatio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 31, No. 6, pp. 437-446, 2003. 

  21. Burt BA, "eriodontitis and ageing; reviewing recent evidence", J AM Dent Assoc Vol. 125, pp. 273-279,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