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관적 과잉근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위험지각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ubjective Overwork on Health: Moderate Effect of Risk Perception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2 no.6, 2017년, pp.116 - 124  

임성준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윤다영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문광수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오세진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ubjective overwork on health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risk perce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overwork and health.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he four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KWCS) conducted by Korea Occup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선행 연구에서는 주관적 과잉근로와 위험지각의 상호작용을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주관적 과잉근로와 위험지각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개별적으로 검증했다면, 본 연구는 주관적 과잉근로와 위험지각 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함으로써, 주관적 과잉근로가 어떠한 상황에서 더 부정적인 영향을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제까지 위험노출의 만연도및 사고피해 치명성에 대한 연구는 정신적 긴장, 스트레스 등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위주로 연구되어왔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객관적 근로시간, 주관적 과잉근로, 위험노출의 만연도와 사고피해의 치명성이 근로자의 전반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위험지각의 하위요인인 위험노출의 만연도 및 사고피해의 치명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결과, 객관적 근로시간의 양, 주관적 과잉근로 수준, 위험노출의 만연도 및 사고피해의 치명성 수준이 근로자의 건강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문제에 대한 주관적 과잉근로와 사고피해의 치명성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과잉근로가 근로자의 전반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근로자의 위험 지각이 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2) 주관적 과잉근로: 희망근로시간 보다 실제근로시간이 많은 경우 주관적 과잉근로 상태로 정의했으며, 그 차이 값이 양의 방향으로 클수록 주관적 수준이 높다고 가정하였다. 객관적 근로시간과 ‘귀하가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면, 생활비를 벌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의 상태에서 주당 몇 시간이나 일하고 싶습니까?’의 두 문항 응답 차이 값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로시간을 단축하는 이유는? 전 세계적으로 국가와 기업들은 생산성, 고용창출, 직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근로시간을 단축시키고 있다. 국내에서도 장시간 근로로 인한 여러 사회적 문제 해결 및 예방을 위해 근로시간 단축 및 근무유연제와 같은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장시간 근로에 대응하는 국내의 정책은? 전 세계적으로 국가와 기업들은 생산성, 고용창출, 직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근로시간을 단축시키고 있다. 국내에서도 장시간 근로로 인한 여러 사회적 문제 해결 및 예방을 위해 근로시간 단축 및 근무유연제와 같은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2016년에 발표된 OECD 연간 근로시간 통계에 따르면, 평균 1,763시간에 비해 한국은 2,069시간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1), 장시간 근로가 일상화 되어있다 2).
장시간 근로가 근로자의 주관적 인식에 따라 달라지는 이유는? 그러나 장시간 근로가 근로자와 조직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근로시간에 대한 근로자의 주관적 인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근로자마다 희망하는 근로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양의 근로시간에 대해서도 적당한 것으로 혹은 과다한 것으로 인식하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객관적인 근로시간의 양뿐만 아니라 근로시간에 대한 주관적 인식 즉, 희망 근로시간과 실제 근로시간의 차이가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될 수 있다 1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OECD. Stat, Average Annual Hours Actually Worked per Worker, 2016. Available from http://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ANHRS. 

  2. K. H. Jung, H. S. Geum, I. U. Kwon, Y. T. Choi, Y. J. Kang, D. S. Jeon, H. J. Choi and M. Y. Kim, "Employment Impact Assessments of Improvement on the Long Working Hours Practices and Policie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2. 

  3. W. J. Jeong, H. J. Kim and J. H. Jeong, "The Over Worked South Korean: Mismatches between Actual and Preferred Hours and Working Time Prefer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Creation and Innovation, Vol. 7, No. 2, pp. 225-266. 2014. 

  4. M. Kivimaki, M. Jokela, S. T. Nyberg, A. Singh-Manoux, E. I. Fransson, L. Alfredsson, J. B. Bjorner, M. Borritz, H. Burr, A. Casini, E. Clays, D. De Bacquer, N. Dragano, R. Erbel, G. A. Geuskens, M. Hamer, W. E. Hooftman, I. L. Houtman, K. H. Jockel, F. Kittel, A. Knutsson, M. Koskenvuo, T. Lunau, I. E. Madsen, M. L. Nielsen, M. Nordin, T. Oksanen, J. H. Pejtersen, J. Pentti, R. Rugulies, P. Salo, M. J. Shipley, J. Siegrist, A. Steptoe, S. B. Suominen, T. Theorell, J. Vahtera, P. J. Westerholm, H. Westerlund, D. O'Reilly, M. Kumari, G. D. Batty, J. E. Ferrie and M. Virtanen, "Long Working Hour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ublished and Unpublished Data for 603838 Individuals", The Lancet, Vol. 386, No. 10005, pp. 1739-1746, 2015. 

  5. T. Amagasa and T. Nakayama, "Relationship between Long Working Hours and Depression in Two Working Population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pproach.",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54, No. 7, pp. 868-874, 2012. 

  6. Y. M. Lee and M. H. Jung, "Economic Impact according to Health Problems of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8, No. 4, pp. 612-919, 2008. 

  7. W. N. Burton, C. Y. Chen, D. J. Conti, A. B. Schultz, G. Pransky and D. W. Edington, "The Association of Health Risks with On-the-job Productivit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47, No. 8, pp. 769-777, 2005. 

  8. K. Hanecke, S. Tiedemann, F. Nachreiner and H. Grzech-Sukalo, "Accident Risk as a Function of Hour at Work and Time of Day as Determined from Accident Data and Exposure Models for the German Working Population",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Vol. 24, No. 3, pp. 43-48, 1998. 

  9. C. L. Cooper and S. Cartwright, "Healthy Mind; Healthy Organization-A Proactive Approach to Occupational Stress", Human Relations, Vol. 47, No. 4, pp. 455-471, 1994. 

  10. J. Y. Kim, "Mismatches between Actual and Preferred Working-time and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of Workers in Korea", The Journal of Business and Economics, Vol. 32, No. 3, pp. 229-257, 2016. 

  11. K. Y. Rhee, S. W. Song and Y. S. Kim, "Under and Over Employment and Working Condi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ol. 24, No. 4, pp. 536-546, 2014. 

  12. S. Otterbach, M. Wooden and Y. K. Fok, "Working-Time Mismatch and Mental Health.",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bor Discussion Papers, No. 9818, 2016. 

  13. M. Wooden, D. Warren and R. Drago, "Working Time Mismatch and Subjective Well-being.",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Vol. 47, No. 1, pp. 147-179, 2009. 

  14. D. De Moortel, O. Thevenon, H. De Witte and C. Vanroelen, "Working Hours Mismatch, Macroeconomic Changes, and Mental Well-being in Europ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 58, No. 2, pp. 217-231, 2017. 

  15. Y. K. Le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Hour Mismatch and Worker's Health",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5, No. 3, pp. 135-165, 2015. 

  16. M. P. Leiter, W. Zanaletti and P. Argentero, "Occupational Risk Perception, Safety Training, and Injury Prevention: Testing a Model in the Italian Printing Industr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 14, No. 1, pp. 1-10, 2009. 

  17. Y. A. Lee and N. K. Lee, "Psychological Dimensions of Risk Perception for the Korean", 2005 PMORP WORKSHOP: Psychological Mechanism of Risk Perception, pp. 1-12, 2005. 

  18. S. M. Hart, "Comparing Labour and Management Risk Perceptions of Offshore Helicopter Safety: Gaps, Shifts and Worker Participation", Economic and Industrial Democracy, Published Online Available from https://doi.org/10.1177/ 0143831X16645200, 2016. 

  19. K. H. Lee, J. H. Yoon, S. K. Kimg, I. J. Cho, S. S. Oh, S. H. Kimg, S. J. Chang, B. S. Cha and S. B. Koh,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t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Upper Extremity Symptoms amongst Male Automobile Manufacturing Worker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24, No. 1, pp. 72-85, 2012. 

  20. M. P. Leiter and T. Cox, "The Iimpact of Stress on Safe Working Behavior in Health Care: Implications for Training and Task Desig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nference, 1992. 

  21. T. Rundmo, "Associations between Risk Perception and Safety", Safety Science, Vol. 24, No. 3, pp. 197-209, 1996. 

  22. L. Golden, "Forced Overtime in the Land of the Free" in "Take Back Your Time: Fighting Overwork and Time Poverty in America", Berrett-Koehler Publishers, pp. 28-36, 2003. 

  23. OECD, Glossary of Statistical Terms, 2002. Available from https://stats.oecd.org/glossary/detail.asp?ID4849. 

  24. J. Reynolds and L. Aletraris, "Pursuing Preferences: The Creation and Resolution of Work Hour Mismatch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71, No. 4, pp. 618-638, 2006. 

  25. M. Clarkberg and P. Moen, "Understanding the Time- Squeeze: Married Couples' Preferred and Actual Work-Hour Strategie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44, No. 7, pp. 1115-1136, 2001. 

  26.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me: Work Orientations in 2005, 2015. Available from https://dbk. gesis.org/DBKsearch/SDESC2.asp?no6770&tab3&dbE. 

  27. J. Y. Kim and J. K. Ahn,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Mismatches between Actual and Preferred Hours of Work in Korea: Focusing on the Involuntary Long Working Hours",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Vol. 20, No. 3, pp. 105-135, 2014. 

  28. E. Galinsky, S. S. Kim and J. T. Bond, "Feeling Overworked: When Work Becomes Too Much", Families and Work Institute, 2001. 

  29. L. Golden and A. Okulicz-Kozaryn, "Work Hours and Worker Happiness in the US: Weekly Hours, Hours Preferences and Schedule Flexibility", Available from SSRN: http://dx.doi.org/10.2139/ssrn.2563374, 2015. 

  30. P. Slovic, B. Fischhoff and S. Lichtenstein,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Vol. 56, No.1, pp. 183-203, 1984. 

  31. J. D. Yoon, "Labor, Stress, and Health", Labor review, Vol. 24, pp. 1-3, 2006. 

  32. R. Hongsuk, K. Moon, K. Kee, J. J. Lee and S. Oah. "The Effect of Safety-Aisle on the Perception of Safety-Related Variables in the Small Sawmilling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1, No.3, pp. 109-115, 2016. 

  33. J. S. Warm, W. N. Dember, and P. A. Hancock, "Vigilance and workload in automated systems", Automation and human performance: Theory and applications, 1996. 

  34. I. Douven, "A Bayesian Perspective on Likert Scales and Central Tendency",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Available from SSRN https://doi.org/10.3758/s13423-017-1344-2, 2017. 

  35. J. T. Nadler, R. Weston and E. C. Voyles, " Stuck in the Middle: The Use and Interpretation of Mid-points in Items on Questionnaires", The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Vol. 142, No. 2, pp. 71-89, 2015. 

  36. K. Moon, J. Y. Ahn, T. I. Jang and S. Oah. "Is the Risk Unloaded on Dispatch and Service Supplier?: Influence of Indirect Employment on Safety, Health and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2, No.3, pp. 90-98,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